거북놀이

목차
관련 정보
이천 거북놀이
이천 거북놀이
민속·인류
놀이
추석날에 거북모양을 만들어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노는 청소년놀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추석날에 거북모양을 만들어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노는 청소년놀이.
내용

경기도와 충청남북도·강원도 지역 등에 분포되어 있으며, 광주(廣州)와 예산지방에서는 음력 정월대보름에도 행한다. 마을사람들 모두가 참여하여 함께 즐기며, 각 가정의 복을 빌어주는 놀이이다.

먼저 마을 청년들이 모여 옥수숫대를 벗겨 거북의 모양을 만든다. 그 속에 앞에 한 사람, 뒤에 한 사람씩 두 사람이 들어가서 마치 거북처럼 돌아다닐 수 있게 한다. 이 거북 앞에는 거북을 몰고 다니는 거북몰이가 거북의 목에 줄을 매어 끌고 가고, 그 뒤에는 농악대가 꽹과리·북·소고·징·장구 등 풍물을 요란스럽게 치면서 동네를 한 바퀴 먼저 도는데, 이것을 길놀이라고 한다.

길놀이가 끝나면 동네에서 비교적 부유한 집을 찾아간다. 찾아간 집 대문 앞에서 농악대 일동이 풍물을 울리면서 문안을 드리며 수문장굿을 친다. 대문간에 나온 집주인에게 거북몰이가 “이 거북이가 동해 바다를 건너 여기까지 왔습니다.”라고 하면 집주인은 “여기까지 오시느라고 수고가 많았습니다. 어서 들어오십시오.”라고 한다. 그러면 거북몰이가 앞장서고 일행이 뒤따라 들어간다.

그런 다음 그집 마당에서 우물굿(용왕굿)·마당굿을 쳐주고 한바탕 춤을 추면서 논다. 이때 일행 중에 상쇠가,

거북아 거북아 놀아라

만석 거북아 놀아라

천석 거북아 놀아라

이 집에 사는 사람

무병장수 하사이다

이 마을에 사는 사람

무병장수 하사이다. (천안 지방)

라고 축원을 하는데, 한 구절이 끝날 때마다 꽹과리를 친다.

그렇게 한바탕 놀다가 거북이가 땅바닥에 엎드려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면 거북몰이가 “쉬―” 하고 손을 저어 춤과 음악을 중단시키고 집주인을 향하여, “이 거북이가 동해바다를 건너 여기까지 오느라고 힘이 지쳐 누웠으니 먹을 것을 좀 주십시오.” 한다. 잠시 후에 주인집에서는 떡·과일·술·밥·반찬 등 음식을 푸짐하게 차려서 내어놓는다.

음식을 먹은 뒤, 거북몰이가 “거북아 먹이도 나왔으니 인사나 하고 가자.”하면, 거북이가 집주인을 향하여 넙죽 절을 한다. 그런 다음 부엌과 대청에 가서도 각각 조왕굿과 성주굿을 쳐주고는 한바탕 마당에서 뛰어놀다가 다른 집으로 간다.

이 놀이는 지방에 따라 풍물굿의 순서나 사설에 있어 약간의 차이가 있다. 그리고 거북을 만드는 재료도 옥수숫대나 수숫대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왕골·덩굴·대나무·볏짚 따위를 가지고 만들기도 한다. 거북은 바다동물 가운데서 가장 오래 살고 또 병이 없는 동물로 알려져 있어, 십장생(十長生)의 하나이다.

이 놀이는 거북처럼 마을사람들의 무병장수를 빌고 또 마을의 잡귀를 쫓기 위해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거북이 다녀간 집은 재앙이 달아나고 복이 온다고 하여 다투어 거북을 맞이하여 가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의 세시풍속』(최상수, 고려서적, 1960)
『한국민속놀이의 연구』(최상수, 성문각, 1975)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경기·충남·충북편-(문화재관리국, 1975·1976·1978)
『이천의 민속 거북놀이』(하주성 편, 이천문화원, 1985)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