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락와집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유광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5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유광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5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35년 유광천의 5세손 유영희(柳永禧)가 연보를 작성하고, 6세손인 유병구(柳秉九)와 유병희(柳秉熙)가 편집·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유병구와 유병희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16권 8책. 석판본. 전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4에 시 645수, 권5∼9에 소(疏) 23편, 계사(啓辭) 6편, 차자(箚子) 2편, 상언(上言) 1편, 책(策) 1편, 일기 1편, 어제경의문대(御製經義問對) 9편, 권10∼12에는 서(書) 84편, 잡저 10편, 서(序) 7편, 기 13편, 발 14편, 표·전(表箋) 2편, 상량문 1편, 축문 3편, 제문 11편, 행장 4편, 묘표 1편, 권13∼16에 부록으로 차귀락와원운(次歸樂窩原韻) 101수, 서(書) 107편, 만사 108편, 제문 6편, 연보 1편, 행장 1편, 묘갈명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소 가운데 「계사의소(癸巳擬疏)」는 임금에게 병이 생기는 원인은 중화(中和)의 길을 잃고 국사에 번뇌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하고, 치료 방법은 오직 성인의 학문을 힘써 배우고 실천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덕치와 교화가 동시에 이루어져서 나라는 태평해지면, 결국에 군왕도 마음을 편안히 하고 몸을 쉬게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사헌납겸진시사십조(辭獻納兼陳時事十條)」에서는 나라의 정치가 점차 어지러워지고 시폐가 늘고 있는데, 이것을 바로잡기 위한 급선무로서 열 가지의 개선책을 밝히고 있다. 그 내용은 성학을 힘써 덕성을 기를 것, 경술(經術)을 높여 인재를 기를 것, 선거를 공정하게 하여 오래도록 책임을 맡길 것, 검소하고 덕망을 높여 사치하는 풍조를 혁신할 것, 구호정책을 펴서 은혜를 베풀 것, 경계를 확정하여 세금을 균등하게 받을 것, 군정을 잘 다스려 군비를 감축할 것, 청렴함을 권장하여 과폐(科弊)를 막을 것, 관제를 변통해 문무관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할 것, 균역을 혁파해 민폐를 없앨 것 등이다.

책 가운데 「논붕당책(論朋黨策)」에는 붕당을 만들지 말고 황극(皇極)의 중심을 세워서 탕평책(蕩平策)을 써야 한다는 유광천의 정치적인 역량이 잘 표현되어 있다. 잡저 가운데 「산언(散言)」은 주로 경전(經典)에 있는 은미한 말과 매우 깊은 뜻만을 발췌하여 자신의 견해를 밝힌 것으로, 이기설(理氣說)에 있어서는 주기론(主氣論)을 반박하고 이통기국설(理通氣局說)에 찬동하고 있다.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