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곡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송내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7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송내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7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8권 10책. 목활자본. 1907년 저자의 손자인 종규(種奎)가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종규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183수, 권2·3에 소 28편, 권4∼8에 서계(書啓) 19편, 헌의(獻議) 9편, 서(書) 198편, 권9에 잡저 11편, 권10에 서(序) 24편, 권11에 기 19편, 제발(題跋) 28편, 권12에 제문 16편, 축문 39편, 권13·14에 묘비명 8편, 묘갈명 15편, 권15에 묘지명 18편, 권16·17에 묘표 38편, 시장(諡狀) 3편, 권18에 행장 7편, 전(傳) 2편, 부록으로 연보·가장·사제문(賜祭文)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월야(月夜)」·「문앵(聞鶯)」 등 서정적 감회를 읊은 시들이 주목을 끈다. 소에는 1865년(고종 2) 만동묘(萬東廟)의 철폐를 반대하는 상소문이 있다. 이밖에 군학(君學)과 시무에 대한 소신을 밝힌 「의상육조소(擬上六條疏)」가 있고, 나머지는 사직소가 대부분이다.

서(書)에는 조병덕(趙秉悳)·송수인(宋壽仁) 등에게 보낸 것이 많은데, 주로 예학에 관하여 문답한 것이다. 잡저에는 「분황의(焚黃儀)」·「잡록(雜錄)」 등 의식과 예설에 관한 것을 비롯하여 「과규(課規)」·「검담서원강규(黔潭書院講規)」 등 각종 규칙에 관한 글이 많아, 그가 매우 규범적 사고를 가진 인물이었음을 알게 한다.

전의 「전함평몽성사과몽태형제전(全咸平夢星司果夢台兄弟傳)」은 임진왜란 때 금산과 진산(珍山) 등지에서 의병을 일으켜 많은 전공을 세운 전몽성(全夢星)·전몽태(全夢台) 형제의 사적을 기록한 글이다.

참고문헌

『헌종실록(憲宗實錄)』
『철종실록(哲宗實錄)』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