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지시 줄다리기 ( 줄다리기)

목차
관련 정보
기지시 줄다리기 / 신 모시러 가는 모습
기지시 줄다리기 / 신 모시러 가는 모습
민속·인류
놀이
문화재
윤년의 음력 3월 초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에서 풍년이 들기를 염원하는 농경의식의 하나로 행하는 성인남녀놀이. 경기놀이.
내용 요약

기지시 줄다리기는 충청남도 당진시 기지시리에서 풍년을 염원하는 농경 의식의 하나로 행하는 성인남녀놀이이다. 윤년 음력 3월 초에 행해지는 줄다리기로, 물 윗마을들과 물 아랫마을들이 서로 대결한다. 참가 인원은 제한 없이 지역 주민은 남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줄다리기에 필요한 원줄은 본부에서 만들고, 원줄에 매달 곁줄은 각 마을에서 만들어 온다. 물 아랫마을 편이 이겨야 풍년이 든다고 하여 매년 물 아래편이 승리한다. 승부욕을 초월한 민속놀이다. 이 줄다리기는 2015년에 베트남 등의 줄다리기와 함께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목차
정의
윤년의 음력 3월 초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에서 풍년이 들기를 염원하는 농경의식의 하나로 행하는 성인남녀놀이. 경기놀이.
내용

1982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기지시는 현지에서 ‘틀무시(틀모시)’ 또는 ‘틀못’이라고 부른다. 전설에 의하면 이곳은 풍수상으로 보아 옥녀가 베짜는 형국이어서 베를 주1하는 시늉으로 줄다리기가 생겼다고 하기도 하고, 또 기지시리의 지형이 지네형이어서 지네모양의 큰 줄을 만들어 줄다리기를 했다는 설도 있다.

기지시리의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에 마을 동편에 있는 국수봉(國守峰)의 국수당에서 행해지나, 줄다리기는 윤년의 음력 3월 초에만 행해진다. 따라서, 줄다리기를 하는 해에는 3월에 당제를 지내고, 이어서 줄다리기 행사로 들어간다.

합덕에서 기지시리를 거쳐 당진 · 서산으로 가는 국도를 경계로 해서, 국도의 남쪽은 물 위, 즉 수상(水上)이라 하고, 북쪽은 물 아래, 즉 수하(水下)라고 부르는데, 수하인 송악면 일부와 송산면 · 우강면 · 용대면 · 석문면과 당진 일부, 신평면 일부 마을과, 수상인 송악면 일부와 순성면 · 면천면과 합덕 일부, 당진 일부 마을이 서로 대결한다.

참가인원에는 제한이 없고, 거주자는 남녀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므로, 한쪽이 많을 수도 있다. 줄이 길기 때문에 긴 국도에서 만든다. 먼저 동아줄을 만들고 다시 세 개로 한 줄을 만드는데, 큰 줄은 사람의 손으로 만들 수 없어서 줄 꼬는 틀을 이용한다. 다 만든 원줄은 사람이 올라앉아 양 발이 땅에 닿지 않을 정도로 지름이 1m쯤 된다. 원줄의 작은 것은 아홉 가닥, 큰 것은 열다섯 가닥이고, 중줄은 열두 가닥이고, 길이는 50∼60m쯤 된다.

원줄은 본부에서 만드나, 곁줄은 각 마을에서 제각기 만들어 와서 단다. 수하인 물 아래가 암줄이고 수상인 물 위가 수줄이 되는데, 암 · 수 두 줄을 연결시키면 원줄이 100m가 넘고, 곁줄은 원줄보다 길기 때문에 줄의 전체길이는 150m가 훨씬 넘는다. 줄다리기가 시작되면 양편 주민들은 농악을 울려 기세를 올리며 줄 옆에 모여선다.

중앙선에 기지시의 ‘두레농기’를 꽂고 좌우에 수상의 청기(靑旗), 수하의 황기(黃旗)가 선다. 양편은 대장이 지휘하는데, 심판의 신호에 따라 첫번째 신호에 줄을 잡고, 두번째 신호에 줄을 들어 끌어간 쪽이 이긴다. 수하편이 이겨야 풍년이 든다고 하는데, 북쪽의 수하편이 매년 승리한다. 지형은 북쪽이 약간 낮아서 수상이 불리하게 되어 있으나, 수하가 이겨야 풍년이 들기 때문에 져도 불평은 없다.

자기편이 꼭 이겨야 한다는 승부욕을 초월하여 다만 풍년이 들기를 염원하는 농경의식의 하나로 행하여지는 민속놀이이다. 줄다리기가 끝난 뒤 줄은 이긴 쪽 차지가 되는데, 승부가 나는 순간 사람들이 다투어 줄을 끊어간다. 특히, 암줄과 수줄을 연결시켜 비녀목을 꽂은 부분의 줄은 불임증과 요통에 효과가 있다고 믿고 있다. 1982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이우영(李禹永)이 당제(堂祭) 및 줄다리기의 기능보유자로 인정되어 있다.

당진 기지시줄다리기는 2015년 12월 2일 유네스코 제10차 무형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우리나라의 기타 줄다리기 5건(영산줄다리기, 삼척기줄다리기, 남해선구줄끗기, 감내게줄당기기, 의령큰줄땡기기) 및 베트남, 필리핀, 캄보디아 줄다리기 종목 등과 더불어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참고문헌

『한국민속문화론』(임동권, 집문당, 1983)
『문화재대관』무형문화재편(문화재관리국, 1983)
주석
주1

갓 짠 천을 삶거나 빨아 볕에 바래는 일. 우리말샘

집필자
김선풍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