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태 ()

김도태
김도태
근대사
인물
3.1운동 당시 48인의 한 사람으로 활약한 교육자.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1년(고종 28) 9월 11일
사망 연도
1956년 12월 26일
본관
경주(慶州)
출생지
평안북도 정주
관련 사건
3·1독립운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3.1운동 당시 48인의 한 사람으로 활약한 교육자.
개설

1891년 평안북도 정주에서 출생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10년 평북 정주의 오산학교를 졸업하고 경기도 용인에 자리한 삼악학교, 1912년 만주 신흥무관학교 교사로 재직했다. 1913년 귀국했고 1916년 도쿄세이소쿠[東京正則]영어학교 입학했다. 졸업 후 1918년 황해도 재령에 있는 명신학교에서 지리·역사교사 교사로 근무했다.

1919년 2월 독립만세운동 계획 당시, 현상윤(玄相允)의 부탁으로 기독교계의 이승훈(李昇薰)과의 연락을 담당해, 이승훈과 최남선(崔南善)의 회동을 성공시켰다. 이후 민족대표 48인 중의 하나로 투옥되었으나 재판에서 증거불충분으로 석방되었다.

1921년부터 25년간 휘문(徽文)중학교 교사로 재직했다. 1938년 일제의 해군기념일(5.27)을 맞아 1905년 러시아 발틱 함대를 격파한 '일본해 해전'을 '트라팔가·유틀란트 해전'과 함께 '세계 3대 해전'으로 소개하는 글(『매일신보』, 1938.5.27)과 1942년 소년·소녀들에게 일본군이 점령한 지역의 기후와 지리를 설명하는 글을 게재했다.

1945년 경성여자상업학교(현 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 문영여자중학교, 휘문중학교 등의 교장 및 조선지리학회회장 등을 거쳐, 1949년 공군사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1956년 12월 26일 사망했다.

상훈과 추모

1968년 대통령 표창, 1980년 건국포장,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받았다.

참고문헌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왜정시대인물사료』 6(국회도서관, 1983)
『대한연감(4288년판)』(대한연감사, 1955)
『매일신보』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심재욱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