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휘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중기에, 통례원상례, 광주목사, 첨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경회(景晦)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41년(중종 36)
사망 연도
1611년(광해군 3)
본관
광산(光山)
주요 관직
첨지중추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에, 통례원상례, 광주목사, 첨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경회(景晦). 할아버지는 군수 김종윤(金宗胤)이고, 아버지는 증찬성 김호(金鎬)이며, 어머니는 전의이씨(全義李氏)이다. 큰아버지인 김석(金錫)에게 입양되었다. 정지운(鄭之雲)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여러 차례 과거에 실패하고 음보로 활인서별제(活人署別提)·사포서별제(司圃署別提)·수운판관(水運判官)·통례원인의(通禮院引義)·감찰·종부시주부(宗簿寺主簿)·호조좌랑·공조좌랑·형조정랑·호조정랑·종친부전적(宗親府典籍)·통례원상례(通禮院尙禮) 등을 역임하였다.

외직으로는 교하현감·임피현령 및 청도·단양 등 여러 고을의 군수를 거쳐 광주목사(廣州牧使)를 지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집, 체찰사 정철(鄭澈)의 종사관으로 종군하였다. 이듬해 관병과 의병의 연합군을 이끌고 오산의 독성산성(禿城山城)을 지키다가 정철이 무고를 당하자 낙향하였다.

그 뒤 조정에서 호패법(號牌法)을 시행하려 하자 그 불편한 점을 상소하였고, 정여립(鄭汝立)을 여러 차례 규탄하였다. 재질이 민첩하고 지략이 뛰어났다. 만년에 수직(壽職: 나이가 많은 자에게 주는 대우직)으로 가선대부에 첨지중추부사가 되었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계곡집(谿谷集)』
집필자
이장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