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산제 ()

목차
관련 정보
당산제
당산제
민간신앙
의례·행사
호남 · 영남 지역에서 마을의 수호신인 당산신에게 마을의 풍요와 평안등을 기원하는 마을제사.
이칭
이칭
당산굿
내용 요약

당산제는 호남·영남 지역에서 마을의 수호신인 당산신에게 마을의 풍요와 평안 등을 기원하는 마을 제사이다. 당산굿, 동제, 당제라고도 한다. 제일은 음력 정월대보름이나 정초, 10월 보름이다. 제사는 대개 자정을 전후한 시간에 시작해 새벽에 마친다. 제의는 유교식 절차로 행해지고, 풍물을 치는 매굿과 병행하여 진행된다. 당산제를 마친 후 마을 구석구석과 각 집을 찾아가 굿을 친다. 이를 매구치기, 마당밟기, 지신밟기라고 한다. 당산제를 마친 후 줄다리기를 해서 풍흉을 점치기도 한다. 동제는 마을의 평안을 위한 제의이자 축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목차
정의
호남 · 영남 지역에서 마을의 수호신인 당산신에게 마을의 풍요와 평안등을 기원하는 마을제사.
내용

마을의 수호신인 주1에게 마을의 풍요와 평안 등을 기원하는 지역공동체적 의례이다. 당산굿 · 동제(洞祭) · 당제(堂祭)라고도 한다. 제일(祭日)은 주로 음력 정월대보름이나 정초가 가장 많고, 그밖에 10월 보름에 제사를 지내기도 한다. 제관은 생기복덕(生氣福德)을 가려서 부정이 없는 깨끗한 사람으로 선정한다.

제관으로 선정된 사람은 산가(産家) · 상가(喪家)의 출입과 외지출타 등을 금하고, 개고기 등의 궂은 음식을 피하고 언행을 삼가며, 목욕재계를 하는 등 매사에 근신한다. 제일이 다가오면 당산나무와 당산석 · 신당 등 제장(祭場) 주변을 청결히 한 뒤 금줄을 두르고 황토를 몇 줌 놓아 부정을 막는다. 제물은 화주나 제관집에서 준비하는데 대체로 메 · 주(酒) · 과(果) · 포(脯) · 편 · 채(菜) 등이다.

제사비용은 마을공동 제답(祭畓)의 수입에서 충당하거나 집집마다 추렴하여 쓴다. 제사는 대개 자정을 전후한 시간에 시작하여 새벽녘에 끝마친다. 제의는 주제자(主祭者)에 따라 진행방식이 다른데, 마을사람 가운데 선정된 제관이 주제할 경우 제물진설(祭物陳設) · 신주헌작(神酒獻爵) · 재배 · 당산축 · 소지(燒紙) · 퇴식 · 음복 등의 순서로 유교식 절차에 따른다. 무당이 주관할 경우 제관이 헌작 · 재배 · 축문 · 소지 등 간단한 제를 올린 다음 무녀(巫女)와 공인(貢人)이 주2으로 진행한다. 대부분의 경우 제의는 유교식 절차로 행하여지는데, 풍물을 울리는 주3과 병행하여 진행된다. 농악대가 치는 매굿은 마을제사의 시작을 알리거나 신을 맞아들이는 의미로서 치는 들당산굿이 있다.

또한 제당(祭堂)의 잡귀잡신의 침입을 막고 또 쫓는 의미의 매구[埋鬼]굿이 있다. 그리고 제가 끝나고 신을 보내기 위한 날당산굿 등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당산제가 끝나면 마을공동 시설인 우물 · 창고 · 정자 · 다리 등을 돌면서 굿을 친 다음 각 가정을 방문하여 문굿 · 샘굿 · 조왕굿 · 마당굿 등 집안 구석구석을 돌면서 굿을 치는데, 이를 매구치기 또는 마당밟기 · 지신밟기라고도 한다. 이러한 당산굿은 당산제를 전후하여 2, 3일 동안 계속되기도 한다. 또한, 당산제가 끝난 당일이나 그 이튿날 밤에는 마을사람들이 동서 또는 남녀로 편을 갈라 줄다리기를 하여 그해 농사의 풍흉을 점친다.

이기는 쪽이 풍년이 드는데, 특히 여자쪽이 이겨야 풍년이 든다고 한다. 줄다리기를 한 뒤 줄은 태워서 논밭에 거름이 되게 하거나 신체(神體)인 당산나무나 당산석[石竿] 등에 감아두어 풍년을 기원하기도 하는데 이를 ‘당산 옷입힌다.’고 한다. 줄을 감을 때는 부정을 가리며 감아놓은 줄에는 일년 내내 손을 대서는 안 된다고 한다.

당산제는 다른 동제와 비교하여볼 때 유교식 제사와 매굿, 줄다리기가 복합 병행되고 있는 점이 특색이다. 또한, 다른 동제와 마찬가지로 마을의 풍년과 평안을 위한 제의인 한편, 마을사람들 모두가 참여하여 즐김으로써 축제의 성격도 지니고 있다.

신성기간 동안 마을사람들은 얽혀 있는 감정을 해소하는 화해의 장(場)을 마련하고, 마을성원 모두가 참여하여 일체감을 가짐으로써 지역공동체의 유대를 강화시키고, 노동으로 힘든 생활에 활력을 주는 청량제의 구실을 한다.

참고문헌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문화재관리국, 1974∼1983)
『한국민속대관』 3-민간신앙·종교-(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82)
『한국(韓國)의 신당형태고(神堂形態考)』(장주근,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 1, 1964)
「한국신당연구」(김태곤, 『국어국문학』 29, 1965)
주석
주1

당산할아버지와 당산할머니

주2

열두 거리로 이루어진 중부 지방의 굿. 여러 신을 모셔다 두루 보호를 받자는 데서 나온 굿으로, 굿의 순서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지는 않으나 대개 부정풀이로 시작하여 뒷전풀이로 끝난다. 우리말샘

주3

주로 농촌에서 하는 민속 행사의 하나. 음력 정월 초승에 풍물패가 풍물을 치면서 마을을 돈 다음 집집마다 들어가 악귀를 쫓고 복을 빈다. 메굿 또는 매구굿이라 한다. 우리말샘

집필자
이종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