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부 수성비 ( )

목차
관련 정보
대구부 수성비
대구부 수성비
건축
유적
국가유산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있는 조선시대 대구읍성의 수축 관련 기념비.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대구부수성비(大邱府修城碑)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지정기관
대구광역시
종목
대구광역시 시도유형문화유산(1982년 03월 04일 지정)
소재지
대구광역시 수성구 팔현길 248 (만촌동, 영남제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있는 조선시대 대구읍성의 수축 관련 기념비.
내용

1982년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현재 영남제일관문(嶺南第一關門) 앞에 영영축성비(嶺營築城碑)와 함께 서 있다. 원래는 영영축성비 옆에 나란히 있었으나 1906년 대구읍성이 헐리면서 1932년 현재의 대구향교(大邱鄕校) 경내로 이전되었고 다시 현 위치로 옮겨졌다.

비신(碑身)은 청색 화강석으로 만들어졌고, 높이 191㎝, 너비 73㎝, 두께 45㎝이며, 비갓은 황백색 화강석으로 된 팔작지붕형을 이루고 있다.

비문(碑文)에 의하면 대구읍성의 성벽을 원래보다 더 높이고, 신축(新築) 97보, 개축(改築) 118보, 보축(補築) 1,409보 하였으나 치첩(雉堞 : 성 위에 낮게 쌓은 담)의 신축이 2,680보, 문루(門樓) 및 공해(公廨)는 신축 72칸, 중건(重建) 37칸, 중수(重修) 57칸, 보수(補修) 265칸이었다.

또 동 · 서 · 남 · 북 사대문의 문루를 고쳐 짓고, 성벽 위에 6개의 누각을 세웠다고 하며, 모든 누각은 단청(丹靑)을 올리고 치첩은 백회(白灰)로 분장하였으며 낙성식도 거행되었다는 등의 사실을 기록하였다.

이 비석은 1870년(고종 7) 3월에 비문은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 겸 대구도호부사(大邱都護府使) 김세호(金世鎬)가 짓고, 글씨는 절충장군(折衝將軍) 최석로(崔錫魯)가 썼다.

참고문헌

『대구의 향기』(대구직할시, 1982)
『문화재도록』(대구직할시, 1987)
『대구시사』 5(대구시사편찬위원회, 1995)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