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강다리 (다리)

목차
건축
유적
북한 평양직할시 대동강구역에 있었던 삼국시대 고구려의 나무 다리. 목교.
목차
정의
북한 평양직할시 대동강구역에 있었던 삼국시대 고구려의 나무 다리. 목교.
내용

1981년 여름 발견되었다. 조사발굴 사업은 휴암동 쪽에서 진행되었는데, 다리의 첫머리 부분 구조물은 10㎝ 정도의 두께로 덧쌓인 자갈과 모래층 밑에서 드러났다. 골조물의 대부분은 길이 670㎝, 너비 38㎝, 두께 26㎝ 가량 되는 밤나무 각재이다.

다리의 입구 부분에는 첫머리 부분에서부터 밖으로 부채살처럼 퍼진 깔판들이 가지런히 놓여 있으며 본래의 모습이 잘 남아 있다.

다리의 첫머리 부분에는 교각과 교각 사이에 놓였던 골조가 땅에 묻힌 채로 남아 있었다. 그리고 강 건너편 천호동 쪽에서는 2개의 교각기둥이 강바닥에 박힌 채로 남아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다리의 첫머리 부분과 입구가 연결된 부분의 동쪽에서는 다리 구조물의 하나인 등불대터가 발견되었다.

이 터는 바닥을 다진 다음에 귀틀모양으로 쌓아올렸으며, 그 크기는 동서 112㎝, 남북 154㎝이다. 여기에 쓰인 목재는 두께가 17㎝, 너비가 10∼14㎝ 되는 것들로서, 서로 든든히 맞물려 있었다. 다리의 길이는 375㎝, 강 복판에서 너비는 9m 정도이다.

이 다리는 쇠못이나 꺽쇠를 비롯한 그 어떤 쇠붙이도 쓰지 않고, 모든 이음새를 사개물림(네 갈래로 오려내 맞추는 일)하여 견고성을 보장하고 있다.

이 다리 유적과 함께 고구려시대의 질그릇조각·기와조각들도 발견되었다. 이 다리의 북쪽 3∼4㎞ 반경에 당시의 왕궁인 안학궁(安鶴宮)과 대성산성(大城山城)이 있고, 서쪽에는 청암리토성(淸巖里土城)이, 동쪽에는 고방산성(高芳山城)이 있다.

그리고 다리의 남쪽에는 미림벌이 펄쳐졌는데 다리가 놓인 방향으로 곧바로 가면 동명왕릉(東明王陵)이 있으며, 서남쪽으로는 낙랑벌이 있다.

이 다리는 고구려가 수도를 평양으로 옮긴 427년(장수왕 15) 이후에 쌓은 것으로 보이는데, 고구려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북한의 자연지리와 사적』(통일원, 1994)
집필자
김영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