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수무 ()

목차
관련 정보
만수무
만수무
무용
작품
조선 순조 때 창작된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목차
정의
조선 순조 때 창작된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내용

조선 순조 때 창작된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임금에게 선도(仙桃 : 仙境에 있다는 복숭아)를 올리며 만수무강을 비는 내용의 춤으로, 1828년(순조 28) 6월 진작(進爵)에서 익종(翼宗) 예제(睿製)의 악장(樂章)을 진상하기 위한 정재로 처음 추어졌다. 선모(仙母) 1인, 협무(挾舞) 4인으로 구성되며, 족자(簇子) 1인, 봉탁(奉卓) 2인, 봉반(奉盤) 1인이 따로 있다.

순조 무자(戊子) ≪진작의궤≫ 부편(附編) 만수무조에 의하면 “그 춤은 헌선도의(獻仙桃儀)와 같다.”라고 한 바와 같이 만수무의 내용은 죽간자의 구호, 선모의 치어가 족자의 창사, 선모의 창사로 되어 헌선도와는 다르나 선모가 선도반(仙桃盤)을 올리는 점에서 공통되고 있다.

또 헌선도는 당악정재이고, 만수무는 향악정재에 들지만 그 연출방법에 있어서는 헌선도를 본받아 만수무를 춘 것 같다. 먼저 음악이 만년장환지곡(萬年長懽之曲)을 아뢰면 선모와 좌우의 협무가 중앙에 나와 서고 선모가 조금더 나아가면 족자가 칠언으로 된 창사를 부른 다음 춤추다가 선모가 선도반을 받들고 군왕의 수(壽)를 비는 창사를 부르고, 이어서 협무가 세취(細吹)로 가곡 편(編)가락에 맞추어 국한문으로 된 창사를 노래한다.

참고문헌

『진작의궤(進爵儀軌)』(순조 무자)
『국연정재창사초록(國讌呈才唱詞抄錄)』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
『한국전통무용연구』(장사훈, 일지사, 1977)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장사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