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구

목차
관련 정보
발구
발구
산업
물품
말이나 소의 목에 얹어 매는 형태로 물건을 운반하는 데 쓰는 도구.
이칭
이칭
발고
목차
정의
말이나 소의 목에 얹어 매는 형태로 물건을 운반하는 데 쓰는 도구.
내용

서까래와 같은 통나무 두개를 ‘발고’라고도 하는데 달구지의 전신이라고도 할 원시적인 연장이다.

사다리 모양으로 위는 좁고 아래 쪽이 벌어지도록 연결시킨 모양인데 앞쪽에는 가로대(멍에)를 박아서 소 등에 얹으며 뒤의 양쪽에는 짧은 기둥을 세우고 여기에 역시 가로대(달애)를 붙였다. 이 달애는 실린 물건이 흘러 떨어지는 것을 막아준다.

그리고 땅에 닿는 달애의 아랫부분은 지면에 평행이 되도록 깎아준다. 이렇게 해야만 저항이 적어 눈이나 얼음 위에서 잘 미끄러진다. 발구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으나 길이는 3∼4m이며, 너비는 1m 내외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달애에 두개의 바퀴가 달린 작은 달구지를 연결시켜서 끌기도 한다.

달구지의 사면에는 낮은 널벽을 세운다. 무게는 무겁지 않으나 부피가 큰 것을 실을 때에는 달애에 또 다른 발구를 잡아매어 운행하기도 한다. 또한 ‘똥뒤’라고 하여 긴 통나무 위에 짧은 기둥을 세우고 여기에 Y자 모양으로 한쪽이 벌어진 틀을 박아 달애에 연결시키기도 한다.

앞이 벌어진 부분에는 물건이나 곡식이 담긴 광주리 따위를 얹는다. 발구는 대체로 얼음이 깔리거나 눈이 깊어서 달구지를 이용할 수 없는 곳에서 많이 쓰이는데, 함경도를 비롯한 평안도의 산간지대에서 많이 쓰였다. 무게는 20㎏ 내외이다.

참고문헌

『한국농기구고』(김광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6)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광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