밭매기노래

구비문학
작품
여성들이 밭을 매면서 부르는 노래.
내용 요약

「밭매기노래」는 여성들이 밭을 매면서 부르는 노래다. 혼자 밭을 맬 경우에는 일의 완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밭매기노래」를 통해 개인적 심사를 표현하기 용이하다. 시집살이의 고통, 신세 한탄 등이 노래가 되는 경우가 많다. 자료에 따라 서사적 요소를 갖추기도 하고, 다른 갈래의 사설을 차용하기도 한다.

정의
여성들이 밭을 매면서 부르는 노래.
내용

늦봄부터 가을까지 하는 밭매기는 여성들의 일과에서 빠질 수 없는 일 중 하나였다. 한꺼번에 큰 힘이 드는 일은 아니지만, 햇볕이 내리쬐는 날씨에 쪼그리고 앉은 자세로 장시간 밭을 매는 일은 고된 작업이었다. 상황에 따라 한두 명이 하기도 하고, 여러 명이 함께 하는 경우도 있다. 혼자 밭을 맬 경우에는 일의 완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개인적 주9를 표현하기 용이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구연되는 소리들은 분량이 늘어나고 이야기의 서두, 중간, 결말 등이 갖추어지는 서사민요로 발전하기도 한다. 여성들이 부르는 밭매는 소리에는 생활에 따른 부조리함을 노래하거나, 가족 간의 갈등에서 희생당해야 했던 여성의 한을 표출한 노래가 많다. 가창자들은 노래를 통하여 부당한 현실에 항거(抗拒)하고 풍자(諷刺)하고자 하였다.

밭매기노래의 구성 및 형식

「밭매기노래」를 부르는 곡조는 지역에 따라 다르다. 강원도, 전라북도 동부 산간 지역에서는 메나리조, 전라남도에서는 육자배기 가락, 일정한 곡조 없이 자유 리듬으로 읊조리며 흥얼거리는 곳도 있다. 가창 방식은 작업의 상황에 따라 독창(獨唱)으로 부르는 경우와 여러 사람이 주15 또는 주16으로 부르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전라남도의 해안이나 도서 지역에서 전해지는 < 흥글소리>는 ‘흥얼거리면서 하는 소리’라는 뜻이다. 관련 자료는 아래와 같다.

어매 어매 우리 어매 멋 할라고 나를 나서 날 이런 데 여왔는가 / 울어머니 날 슬 때는 온갖 주20이 다 쌨는디 곰곰초를 원했든가 / 곰곰삼삼 생각하믄 아무래도 못 살겄네 / 어매 어매 울어매가 날 슬 때나 시어마니 딸 슬 세나 / 나무장반에다 물 실은 주2 반반 질러 주3 어뜬 사람이 시집을 못 살게 / 어매 어매 우리 어매 요내 나를 데려가소 / 임아 임아 어린 임아 / 한 이불 속에서 잠을 자도 이내 속을 몰라주네 / 임아 임아 정들었다고 정엣말 말소 / 이별수 들면은 못할 말이 다 없이 하네(후략)(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관리 관하 정영엽(1929년생), 『한국민요대전: 전남민요해설집』)

위 노래의 화자(話者)는 시집살이를 도저히 참을 수 없어, “어매 어매 울 어매” 사설을 반복하면서 친정어머니에게 자신이 처한 상황을 하소연한다. 현재 화자의 처지를 알아줄 수 있는 사람은 친정어머니밖에 없기 때문이다. 현재 생활을 정리하고 스님이 되어 출가할 것이라고 하며, 자신이 생활한 흔적을 보려면 농 틈에 찔러 놓은 행주치마를 보라고 한다. 흥글소리는 대부분 6박의 구조가 내재하여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4박 구조도 나타난다. 서사민요와 같이 고난을 겪는 주인공의 이야기를 노래하면서 가창자 자신의 경험을 담기도 한다.

아래는 다른 갈래를 차용(借用)한 형태이다.

주17을 뛰지 주18 누캉 묵고 사노 / 너캉 나캉 둘이 묵고 살지 / 이 팔밭을 뛰지 가주 누캉 묵고 사노 / 너캉 나캉 묵고 살지 / 이 팔밭을 뛰지 가주 누캉 묵고 사노 / 너캉 나캉 묵고 살지(경상북도 경주시 산내면 내칠1리 상개태 박수행(1927년생), 『한국민요대전: 경북민요해설집』)

위 인용문은 ‘우렁각시’ 설화(說話)와 관계된 민요이다. 혼자 살던 나무꾼이 화전 밭을 일구면서 혼잣말을 하니 그것을 들은 우렁각시가 자신과 함께 먹고 살자는 내용을 반복해서 노래하였다. 이처럼 다른 갈래의 사설을 적극적으로 차용하는 것은 「밭매기노래」의 특징 중 하나이다.

참고문헌

원전

단행본

강등학, 『한국민요의 현장과 장르론적 관심』(집문당, 1996)
김혜정, 『여성민요의 음악적 존재양상과 전승원리』(민속원, 2005)
『한국민속문학사전: 민요』(국립민속박물관, 2013)
주석
주1

나물이.

주2

나무쟁반에 물 담은 듯.

주3

똑같이 생각하면.

주4

일구기 위해 불을 놓은 화전밭.

주5

일궈서.

주6

성악에서, 혼자서 노래를 부름. 또는 그 노래. 우리말샘

주7

민요의 가창 방식의 하나. 한 사람이 선창하면 한 사람 또는 여러 사람이 후렴 따위를 이어 부르는 방식이다. 우리말샘

주8

민요의 가창 방식의 하나. 선창자와 후창자가 모두 변화 있는 가사를 주고받는 식으로 부르는 창법이다. 우리말샘

주9

마음속으로 생각하는 일. 또는 그 생각. 우리말샘

주10

순종하지 아니하고 맞서서 반항함. 우리말샘

주11

남의 결점을 다른 것에 빗대어 비웃으면서 폭로하고 공격함. 우리말샘

주12

늘어놓는 말이나 이야기. 우리말샘

주13

이야기를 하는 사람. 우리말샘

주14

돈이나 물건 따위를 빌려서 씀. 우리말샘

주15

민요의 가창 방식의 하나. 한 사람이 선창하면 한 사람 또는 여러 사람이 후렴 따위를 이어 부르는 방식이다. 우리말샘

주16

민요의 가창 방식의 하나. 선창자와 후창자가 모두 변화 있는 가사를 주고받는 식으로 부르는 창법이다. 우리말샘

주17

일구기 위해 불을 놓은 화전밭.

주18

일궈서.

주19

나물.

주20

나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