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명순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후기 군기시첨정, 보성군수, 함경북도병마우후 등을 역임한 무신.
이칭
수초(遂初)
시호
충숙(忠肅)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97년(선조 30)
사망 연도
1637년(인조 15)
본관
성산(星山: 지금의 경상북도 성주)
주요 관직
군기시첨정|보성군수|함경북도병마우후
관련 사건
정묘호란|병자호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군기시첨정, 보성군수, 함경북도병마우후 등을 역임한 무신.
개설

본관은 성산(星山). 자는 수초(遂初). 아버지는 선무랑(宣務郎) 배시망(裵時望)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24년(인조 2) 무과에 급제하였다. 1627년 정묘호란 때 인조가 강화도에서 후금(後金)을 치기 위해 위사(衛士)를 모집할 때, 이에 응모해 선전관(宣傳官)이 되었다. 이어 전사 300인을 거느리고 안릉(安陵)에 이르러 많은 후금군의 목을 베었다. 그 공으로 도총부도사(都摠府都事)에 승진하였다.

도총부경력(都摠府經歷)·감찰(監察)·군기시첨정(軍器寺僉正)을 역임하고, 보성군수(寶城郡守)로 외직에 나아가 많은 치적을 쌓았다. 그 뒤 절충장군(折衝將軍)·함경북도병마우후(咸鏡北道兵馬虞候)·덕원도호부사(德源都護府使)를 지냈다.

1636년 병자호란 때 영장(營將)으로 남도절도사(南道節度使)를 따라 근왕병(勤王兵)을 일으킬 때, 왕이 40여 일간 남한산성에 포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원수(元帥)와 남북절도사들이 모두 양근(楊根)에 모여 청나라 군사를 두려워해 진병(進兵)을 꺼리었다. 이에 통분하여 싸울 것을 결심했으나, 주장(主將)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화의가 성립되어 왕이 도성으로 돌아오자 모든 장수들은 군사를 파하고 돌아갔으나, 배명순은 철수하는 청나라 군사와 철령(鐵嶺)에서 싸워 승리하였다. 그리고 퇴각하는 청나라 군사의 뒤를 추격, 안변 남산역(南山驛)까지 이르렀다.

여기서 적의 동태를 살핀 후 진격하려 했으나, 적을 얕본 주장의 명령으로 밤에 강행군을 하던 중, 복병의 기습을 받고 싸우다 전사하였다. 무덤은 성주군 조곡에 있다.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덕원도호부에 추사비(追思碑)가 있다.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참고문헌

『인조실록(仁祖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집필자
이장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