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신제 ()

목차
관련 정보
평창 대관령 산신제
평창 대관령 산신제
민간신앙
의례·행사
마을 수호신인 산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마을제사. 무속의례.
이칭
이칭
산제, 산제사, 산치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마을 수호신인 산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마을제사. 무속의례.
개설

산신제는 산제·산제사·산치성(山致誠) 등으로 일컫기도 한다. 산신제는 따로 독립되어 행해지기도 하지만, 동제의 일환으로 산신제가 행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산신제는 예전의 산악신앙이 변모된 형태로서 현재는 마을 수호신에 대한 신앙으로 알려져 있다.

『삼국유사(三國遺事)』 처용랑(處容郎) 망해사조(望海寺條)를 보면, 헌강왕이 오악신(五岳神)에게 제사를 올렸다는 기록이 있어 산신신앙의 시원을 확인하게 한다.

대부분 마을에서 산신을 모시는데, 마을 뒷산에 산신단·산신당·산제당을 마련하여 그곳에서 모신다. 산신제는 그 시기가 마을마다 일정하지 않으나, 새해를 맞이해서 초삼일에서부터 상원 사이에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내용

산신제의 진행은 마을 공동의 동제 형식을 취한다. 산신제의 경비는 마을 공동으로 추렴한다. 산신제를 담당하는 인원은 제관·축관·화주 등으로, 이들은 부정(不淨)이 없는 이로서 생기복덕(生氣福德: 생기일과 복덕일)한 사람으로 선정한다.

산신제의 담당자로 발탁되면 일정한 기간 동안 목욕재계하고 금기를 행한다. 이러한 금기는 제관들에게만 한정되지 않고 산신제를 행하는 마을 사람에게도 해당되어 부정한 짓을 하지 않고 살생을 금하는 것이 보통이다.

제를 진행하는 이의 임무로 제관은 헌주(獻酒)를 하면서 제를 집전하고, 축관은 축문을 읽으며, 화주는 제사에 소용되는 음식 등을 마련한다. 제구(祭具)는 제사 때마다 새로 장만하기도 하고 한번 장만하여 당에 보관하기도 한다.

산신제는 보통 밤 10시경에 시작하여 새벽 1시경까지 진행하고, 제사가 끝나면 징을 쳐서 끝났음을 알린다. 산신제가 끝난 다음날 제사 음식을 나누어 음복을 하고, 농악대와 더불어 흥겨운 놀이를 벌이는 것이 상례이다.

산신제를 지내는 의의는 마을에 풍년과 안녕함을 기원하고, 주민들의 화합을 다지는 장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참고문헌

『전설지』(경기도, 1988)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경기도편(문화재관리국, 1978)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