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곡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강유의 시 · 소 · 명 · 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강유의 시 · 소 · 명 · 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활자본. 6대손 필건(弼健)·필기(弼耆)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민종현(閔鍾顯)의 서문과 권말에 성대중(成大中)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권1∼3에 시 224수, 소(疏) 9편, 명(銘) 2편, 제문 1편, 부록에 교유서(敎諭書) 2편, 제문 2편, 호막별첩시(湖幕別帖詩) 13수, 묘갈명·첩후(帖後) 등이 수록되어 있다.

「척화소(斥和疏)」는 병자호란 때 화의논의를 반대한 상소이고, 호조참의로 있을 때 올린 「응지진시폐소(應旨陳時弊疏)」는 왕의 물음에 대하여 답한 글로, 상류사회가 사치와 가각(苛刻)에 흘러 백성들이 시달리고 있으니 소박한 생활로써 대중에게 모범을 보여야 한다고 하였다.

이밖에 「토계명(土階銘)」은 태평성대를 구가하던 요순시대의 토계삼층(土階三層)을 본받아 선정을 베풀어야 한다는 주장으로, 그의 정치사상을 엿볼 수 있는 글이다.

집필자
권오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