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목 ()

규장각서목
규장각서목
출판
개념
책의 현존본을 조사하여 엮거나, 문헌에서 조사하여 현존본과 합쳐 엮거나, 간행하고자 엮거나, 책판만을 엮거나 편찬문헌에 관해 엮은 목록의 총칭.
정의
책의 현존본을 조사하여 엮거나, 문헌에서 조사하여 현존본과 합쳐 엮거나, 간행하고자 엮거나, 책판만을 엮거나 편찬문헌에 관해 엮은 목록의 총칭.
장서목록

우리 나라 서목을 위의 개념에 근거하여 시대에 따라 그 종류를 편찬체재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현존본을 조사하여 엮은 것은 공장목록(公藏目錄)과 사장목록(私藏目錄)으로 나눌 수 있다. 공장목록에는 조선조 왕실도서관의 소장자료목록, 서원 및 향교의 소장자료목록, 광복 후 국내 여러 기관의 소장자료목록이 있고, 사장목록에는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자료를 자신이 직접 발간하거나 제삼의 개인 또는 단체가 발굴하여 목록으로 엮은 것이 있다.

공장목록 중 왕실도서관에 소장된 자료를 대상으로 한 것 가운데, 가장 광범위하게 조사되어 체계화된 것은 규장각자료의 목록들이다. 이들 규장각목록은 정조 때부터 최근까지 목록이 작성되었는데, 가장 오래된 것이 ≪규장총목 奎章總目≫이다.

이 목록은 서호수(徐浩修)가 1781년(정조 5)에 엮은 ≪열고관서목 閱古觀書目≫ 6권 및 ≪서서서목 西序書目≫ 2권의 합본에, 같은 해 7월 개유와(皆有窩)에 소장된 서적을 추가로 정리하여 편찬한 ≪개유와서목 皆有窩書目≫ 4권 3책을 더한 것이다. 이는 조선왕조의 도서목록 중 가장 규모가 큰 것이며, 이의 분류법은 전통적인 고서 사부분류법(四部分類法)의 표본이 되고 있다.

한국본을 수록한 초찬(初撰)의 해제목록은 일찍이 없어졌고, 현존하는 목록은 남권희(南權熙)가 <규장각 서고의 서목과 장서변천 분석―현존서목을 중심으로>라는 논문에서 조사하여 밝혀 놓았다. 이를 참조하면 ≪서고장서록 西庫藏書錄≫·≪서서서목첨록 西序書目籤錄≫·≪서서서목별록 西序書目別錄≫의 세 종류임을 알 수 있다.

≪서고장서록≫은 1790년경 규장각검교직각 서정수(徐鼎修) 등이 편집한 것으로, 조선시대에 엮어진 서목 가운데 현존하는 최고의 한국본서목이다. 이 목록은 사부분류법의 순서를 따르지 않은 유문별(類門別) 약식목록이지만, 서지기술 사항이 자세하여 전문적인 서지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서서서목첨록≫은 1792년경 서호수와 서유구(徐有榘)가 편찬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목록은 ≪서고장서록≫과는 달리 어제류(御製類)를 유문에서 독립시켜 어제어필·선첩선보(璿牒璿譜)·어정(御定)으로 나누고, 또 ≪서고장서록≫에서 별도 취급된 강도이래건(江都移來件)·내하구건(內下舊件)·봉모당이래건(奉謨堂移來件)을 각 유문에 포함시키고 있다.

이 서목에는 또한 사부장표법(四部裝縹法)을 적용하고 있는데, 사부의 각 부별 표시에 홍전(紅箋)·청전(靑箋)·황전(黃箋)·백전(白箋)을 사용하고, 왕실 서적에는 심홍색(深紅色)의 첨(籤)을 사용하고 있다. 이 서목은 현재 일본 동경(東京)고마자와대학(駒澤大學) 도서관의 다쿠소쿠안문고(濯足菴文庫)에 소장되어 있고, 마에마(前間恭作)가 필사한 것은 도요문고(東洋文庫)에 소장되어 있다.

≪서서서목초본≫은 1795년경 규장각의 각신과 검서관이 관여하여 편찬한 것이다. 분류의 유문 전개는 위의 ≪서서서목첨록≫과 같이 4부 30류로 나누고 있어 그 수는 같으나 유별 내용이 다르다. ≪서고장서록≫이나 ≪서서서목첨록≫에 비하여 특이한 것은 운관활인(芸館活印)·역원활인(譯院活印) 등의 인출사항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는 점이다.

원본은 일본 센다이시(仙台市) 도후쿠대학(東北大學) 부속도서관의 가리노문고(狩野文庫)에 소장되어 있고, 이의 필사본은 일본의 아사미문고(淺見文庫) 및 도요문고와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정조 때에 이어 규장각도서는 그 뒤에도 계속 점검되어 목록이 작성되었다.

현존하는 ≪규장각서목 奎章閣書目≫ 3책은 제1책이 <이문원서목 摛文院書目>, 제2책이 <서서서목>, 제3책이 <열고관서목>인데, 이는 고종 때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갑오경장 이후 규장각의 분과제도로 기능이 확장됨에 따라 궁내부 규장각도서관에서는 규장각·춘방(春坊)·집옥재(集玉齋)·북한산행궁(北漢山行宮) 등에 소장되어 있는 고서 10만여 책을 수집하여 ≪제실도서목록 帝室圖書目錄≫의 제목으로 1909년에 간행하였다. 그 뒤 1919년 ≪조선도서해제 朝鮮圖書解題≫, 1934년 ≪조선총독부고도서목록보유 朝鮮總督府古圖書目錄補遺≫를 출간하였다.

1965년 서울대학교 도서관에서 한국본만을 재정리하여 ≪규장각도서목록 奎章閣圖書目錄≫을 엮었고, 그 뒤 하버드대학 연경학사(燕京學社)의 도움을 얻어 ≪규장각도서한국본총목록 奎章閣圖書韓國本總目錄≫을 출판하였으며, 1981년 규장각고서와 서울대학교 소장 고서를 합쳐 ≪규장각도서한국본종합목록 奎章閣圖書韓國本綜合目錄≫을 편찬, 간행하였다.

조선 후기의 왕실장서목록으로는 ≪문헌각서목 文獻閣書目≫·≪보문각책목록 寶文閣冊目錄≫·≪장서각도서한국판총목록 藏書閣圖書韓國版總目錄≫이 있다. ≪문헌각서목≫은 1827년(순조 27) 이 서고에 소장되어 있던 2,525책을 재정비하여 엮은 것이며, 전체적인 체계는 ≪서고서목 西庫書目≫의 영향을 받고 있다.

≪보문각책목록≫은 고려 때 1116년(예종 11) 11월 보문각의 서책을 정리하여 엮은 것이며, 1801년에서 1869년(고종 6) 사이에 엮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장서각도서한국판총목록≫은 규장각 봉모당의 구장본(舊藏本)을 비롯한 적상산외사고본(赤裳山外史庫本), 군영도서(軍營圖書), 낙선재(樂善齋)에 수집되었던 한글소설류, 칠궁(七宮)의 구장본, 선원전의 구장본, 종묘·영릉(英陵)·수릉(綏陵)·명릉(明陵)·온릉(溫陵)·건릉(健陵) 등의 재실 구장본과 그 동안 자체에서 구입한 도서를 포괄하고 있다.

조선시대의 서원 및 향교에 소장된 자료를 체계화한 서목으로는 ≪영남각읍교원책록 嶺南各邑校院冊錄≫을 비롯하여 ≪도산서원장서목록 陶山書院藏書目錄≫·≪병산서원장서목록 屛山書院藏書目錄≫이 전해지고 있다. 이 분야에서 가장 방대하게 집대성된 것은 이춘희(李春熙)가 엮은 ≪이조서원문고목록 李朝書院文庫目錄≫이다.

이 목록은 남한에 현존하는 34개 서원에 소장된 1만8054책을 조사, 수록하고, 각 책의 자세한 서지사항을 기록하고 있어 이 분야를 연구하는 데 기본적인 서지도구가 되고 있다. 이춘희는 또한 <조선조향교문고에 관한 연구>·<존경각고 尊經閣考>·<조선조 교육문고에 관한 연구> 등을 발표하여 조선조 공장문고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던 교육문고의 내용과 성격을 밝히는 데 일익을 담당하였다.

광복 후 국내외 여러 기관의 소장자료목록 중 국내의 것을 먼저 개관해 보면, 국립중앙도서관에서 ≪고서목록 古書目錄≫ 1∼5(1970∼1973)를 출간하고, 그 중에서 선본을 골라 ≪선본해제 善本解題≫ 1∼4(1970∼1972)를 엮어냈으며, 고문서에 대하여서도 ≪고문서해제 古文書解題≫ 1∼2(1972∼1973)가 나와 이용자들에게 편리를 제공하고 있다.

개인문고는 위창(葦滄)·일산(一山)·우촌(雨村)·승계(勝溪)·의산(義山)·무구재(無求齋)·동곡(東谷)의 7개 문고를 설치하였는데, 그 중 위창·일산·우촌·승계의 4개 문고를 합쳐 단권의 목록으로 출간하였다.

국회도서관은 1971년 윤병태(尹炳泰)의 편찬으로 ≪한국고서종합목록≫을 발행하였는데, 이 목록은 국내의 주요 도서관과 기관에 소장된 고서는 물론, 누락된 개인문고를 실사 또는 소장목록을 입수하여 방대하게 엮은 종합장서목록으로, 각 도서관의 고서 수집에 있어서는 꼭 필요한 서지도구이다.

서울대학교에서는 동아문화연구소가 1966년 ≪한국근세대외관계문헌비요 韓國近世對外關係文獻備要≫와 ≪한국경제관계문헌집성 韓國經濟關係文獻集成≫을 펴냈고, 중앙도서관이 ≪규장각한국본종합목록≫과 ≪규장각도서중국본총목록≫(1982), ≪규장각한국본도서해제≫ 1∼7(1978∼1984)과 그 색인(1987), ≪규장각고문서≫ 1∼4(1986∼1987)를 발행하였다. 서울대학교 소장의 문고목록으로는 ≪일사문고목록 一簑文庫目錄≫(1966), ≪가람문고목록≫(1966), ≪상백문고목록 想白文庫目錄≫(1978) 등이 나왔다.

고려대학교도 여러 권의 목록을 냈는데 자체 내 소장 고서목록으로는 ≪귀중도서목록 貴重圖書目錄≫(1980)과 ≪한적목록(구장) 漢籍目錄(舊藏)≫(1984)이 있고, 문고목록으로는 ≪석주문고목록 石州文庫目錄≫(1973)을 비롯하여 육당(六堂)(1974)·신암(薪菴)(1974)·해사(海史)(1974)·경화당(景和堂)(1975)·화산(華山)(1975)·만송(晩松)(1979)·공량(公亮)(1982) 등의 문고목록이 있다.

동국대학교는 많은 불교 장서와 해원루(海圓樓) 장서를 포함하여 1978년 ≪고서목록≫을 냈다. 이 밖에도 연세대학교와 성균관대학교가 ≪고서목록≫ 1∼2를, 건국대학교가 ≪한적목록≫을 발행하였고, 지방대학 중에서는 계명대학교가 ≪고서목록≫을 냈고, 영남대학교는 장서목록 중 한고적편(漢古籍篇)을 두고 동빈문고(東賓文庫)는 부록으로 싣고 있다.

그 밖에 고서의 소장량은 많지 않지만 고서목록을 낸 곳은 서울종로시립도서관이 1971년 ≪고서해제목록≫을, 같은 해 한국은행이 ≪한은도서목록―고서편≫을, 중앙행정도서관이 ≪한적목록≫을 발행하였다. 그 뒤 1973년 국사편찬위원회가 ≪한적목록≫을 발간하였다.

최근 문화재관리국이 전국의 개인·서원·향교·사찰 등에 소장된 전적·고문서에 대하여 종합 조사한 결과 시·도별로 ≪한국전적종합조사목록 韓國典籍綜合調査目錄≫을 내고 있는데, 그 가운데 제1집 대구직할시·경상북도편(1986)을 비롯하여 제9집 충청북도·제주도편(1996)이 출간되었다. 이 목록이 완성되면 가장 방대한 한국학 분야 종합서지가 될 것이다.

해외 소재, 특히 일본의 여러 도서관에 소장된 한국고전에 대하여 외국인이 작성한 서목 중 중요한 것으로는 ≪호사문고조선본서목 蓬左文庫朝鮮本書目≫(1957)·≪게이오의숙도서관장화한서선본해제 慶應義塾圖書館藏和漢書善本解題≫(1958)·≪시세키아시카가학교고서목록 史蹟足利學校古書目錄≫(1965)·≪캘리포니아대학한적목록≫·≪파리동양어학교한적목록 巴里東洋語學校韓籍目錄≫ 등이 있다.

사장(私藏)목록 중 개인장서를 자신이 직접 서목으로 작성한 것은 이인영(李仁榮)의 ≪청분실서목 淸芬室書目≫(1944)이다. 이 목록은 자신이 수집한 고서 중 선본 570여 종을 골라 책마다 형태서지적인 해제를 붙였는데, 특히 간행연도와 판종의 기술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성격의 것으로는 한국민족미술연구소가 1967년에 발간한 ≪간송문고한적목록 澗松文庫漢籍目錄≫이 있다. 제3의 개인 또는 단체가 여러 개인이 소장하고 있던 고서를 발굴하여 서목을 작성한 것으로는 국학자료보존회가 발간한 장서목록이 그 좋은 예이다. 1974년 이겸로(李謙魯)의 ≪산기문고목록 山氣文庫目錄≫을 시작으로 여러 수장가의 목록이 나왔다.

또, 천혜봉(千惠鳳)과 박상국(朴相國)이 공동으로 호림박물관(湖林博物館)에 소장된 고려 초조대장경을 조사하여 개설과 판본해설을 곁들여 작성한 ≪초조대장경조사연구 初雕大藏經調査硏究≫가 있다. 이 밖에도 김약슬(金約瑟)의 ≪추사김정희의 장서목록≫을 비롯한 논고형식으로 나온 몇 가지 서목이 있어 참고가 된다.

문헌목록

문헌에서 조사하여 현존본과 합쳐 엮은 서목은 그 형식에 따라 일반적인 것과 주제적인 것으로 나누어진다. 일반적으로는 나려시대의 문헌을 엮은 이성의(李聖儀)·김약슬 공편의 ≪나려예문지 羅麗藝文志≫ 유인본 1책과 백린(白麟)·임종순(任鍾淳) 공편의 ≪나려문적지 羅麗文籍誌≫ 1책이 있다.

전자는 신라·고려 전시대에 걸쳐 저술된 문헌 735종을 골라 집록하였는데, 내용은 각종 주제의 서명을 고구려편·백제편·신라편으로 나누어 음순으로 편성하였으며, 가요편의 문헌에 한하여 별도로 마련하고 그 아래에 역조별로 나누고 있다.

후자는 전자와 그 성격이 비슷하나 저자의 전기를 삽입시킨 것이 특징이다. 나려시대부터 조선 중기까지 저술된 문헌을 체계화한 서목에는 ≪해동문헌총록 海東文獻總錄≫ 7권이 있다. 이는 조선 인조 때 김휴(金烋)가 엮은 것으로, 낙동강 부근의 명문대가를 방문, 총 640종을 조사하여 유별로 나누고 64항목에 해제를 붙인 현전 최고의 나려종합목록이다.

신라 때부터 조선 말기까지의 문헌을 포괄적으로 조사하여 엮은 서목으로는 ≪증보문헌비고≫ 예문고(藝文考)가 있다. 그 내용은 역대서적을 앞에 두고 경·사·자·집으로 나누었으며, 체재는 문장형식과 서목형식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 서목을 모방하여 1927년 이정구(李定求)가 편찬한 ≪사천년문헌통고 四千年文獻通考≫에도 예문고가 들어 있다.

조선 말기 이전에 간행된 우리 나라 고문헌을 집록하여 엮은 것으로는 ≪국서음휘 國書音彙≫가 있다. 이 서목의 편자는 알 수 없으나, 본문 중 태왕(太王)·이태왕(李太王) 등의 문구가 있는 것으로 보아 1910년 이후에 편찬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본래 송석하(宋錫夏)의 필사본이었으나 김근수(金根洙)가 국어국문학자료총서 제9집인 ≪고서잡록≫의 부록으로 첨부하여 1962년에 영인, 간행한 이후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 밖에 국외인이 엮은 서목에는 쿠랑(Courant,M.)의 ≪조선서지 朝鮮書誌≫와 마에마의 ≪고선책보 古鮮冊譜≫·≪선책명제 鮮冊名題≫·≪조선의 판본 朝鮮の板本≫ 등이 있다. 이 중 ≪조선서지≫는 쿠랑이 프랑스 공사관 서기로 한국에 있을 때 수집한 자료와 그 밖의 여러 소장본을 모아 독자적인 주제로 체계화한 서목이다.

≪고선책보≫는 마에마가 경성주재 조선공사 통역관으로 한국에 있으면서 1904년경부터 1942년 사이에 수집한 재산루장본(在山樓藏本 : 현재 東洋文庫 소장) 873부 2,475책 외 한국·일본·만주 지방의 여러 장서를 탐방, 조사하여 3책으로 엮은 서목이다.

≪선책명제≫는 미완성 수고(手稿)의 주제서목이기는 하나 역시 도움이 되는 서지자료이다. ≪조선의 판본≫은 우리 나라의 판본을 주제별과 판종별로 개관한 것이며, 자기 소장과 도서관 소장의 고서 중 190종을 선정, 해제하여 참고서목으로 첨부하였다.

주제적인 것에는 불교·의학·국어학·역사·지리·서지 분야에 참고될 만한 서목들이 있다. 불교 분야를 보면, 신라의 학문승들이 찬술 또는 주석한 장소(章疏)를 집록한 것으로, 민영규(閔泳珪 )편의 ≪신라장소록장편 新羅章疏錄長編≫이 있다. 이는 신라 학문승들의 장소를 지승(智昇)의 ≪개원석교록 開元釋敎錄≫을 본따 총록과 별록으로 엮은 것이며, 신라시대의 불교문헌을 다루는 데 있어서 중요한 참고자료이다.

조선시대 불교문헌에 대한 것으로는 구로다(黑田亮)가 저술한 ≪조선구서고 朝鮮舊書考≫를 비롯하여 ≪조선불서연표 朝鮮佛書年表≫·≪간기부각조선불전목록 刊記附刻朝鮮佛典目錄≫(1940.5.10.) 등이 있어 조선시대 불교문헌 조사 및 기초연구에 도움이 된다.

광복 후 한국불교 전반에 관한 참고자료로는 안춘근(安春根)의 ≪한국불교서지고 韓國佛敎書誌考≫와 지인수(池仁洙)의 ≪한국불교관계해제목록 韓國佛敎關係解題目錄≫이 있고, 한국에 있어서 찬술, 간행 그리고 국역된 불경을 계통별로 모아 연구, 분석한 것으로는, 허영선(許英仙)의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한역제판(漢譯諸版)에 관한 서지적 연구>와 하영숙(河英淑)의 <법화경판종고 法華經版種考>가 있다.

의학 분야에 있어서 조선시대의 문헌을 다룬 것으로는 미키(三木榮)의 ≪조선의서지 朝鮮醫書誌≫가 있다. 이는 미키가 1928년 봄 우리 나라에 와서 1944년 일본으로 돌아갈 때까지 자기와 다른 학자의 장서는 물론, 동양의 주요 도서관에서 한국 의서를 조사하여 엮은 서목인데, 내용은 조선 고유의서, 중국의서의 조선판, 의약관계 조선본, 조선의서의 중국 및 일본판, 조선의서목록의 순으로 되어 있다.

이 책과 아울러 조선 유사 이래 한일합방 때까지의 의약관계 사항을 연월일 순으로 엮은 ≪조선의사연표 朝鮮醫事年表≫가 있고, 이 두 책을 토대로 이론적으로 체계화시키고 삽입시킨 ≪조선의학사 및 질병사 朝鮮醫學史及疾病史≫(1963)가 출판되었다. 그 뒤 각 시대의 의서간행을 일목요연하게 알 수 있는 의서 연구가 나왔는데, 김두종(金斗鍾)의 ≪한국의학사 韓國醫學史≫와 ≪한국의학문화대연표 韓國醫學文化大年表≫이다.

국어학 분야로는 조선시대 언해본(諺解本)의 서지조사 및 연구에 도움을 주는 자료로 오구라(小倉進平)의 ≪조선어학사 朝鮮語學史≫가 있다.

국역자료의 해제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는 최현배(崔鉉培)의 ≪한글갈≫(1941)을 비롯하여 방종현(方鍾鉉)의 <일사국어학논집―도서해제 一簑國語學論集―圖書解題>(1963), 김윤경(金允經)의 <국어학 기초문헌의 해제>, 김근수의 <국어국문학―고서잡록 國語國文學―古書雜錄>(1962), 안병희(安秉禧)의 <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 연구>, 안문자(安文子)의 <한글 옛소설의 서지적 연구> 등이 있다.

역사 분야에는 조선시대 후기에 이루어진 두 종류의 중요한 서목이 있는데, ≪연려실기술≫ 문예전고(文藝典攷)와 ≪해동역사 海東繹史≫ 예문지(藝文志)이다. ≪연려실기술≫은 이긍익(李肯翊)이 조선 야사류(野史類) 중에서 국사관계 서적 약 400종을 골라 술이부작(述而不作)의 태도로 엮은 책으로, 별집 권14에 문예전고가 수록되어 있다.

문예전고의 내용은 학문·문장·필법·서화가·족보·주자·언해·≪여지승람≫·≪경국대전≫·예서류·문집·야사류·병서류·역가류 등으로 되어 있다. 그 중 학문 이하 ≪경국대전≫까지는 문장기술식이고, 예서류 이하가 서목에 해당한다. 수록범위는 좁으나 각 문미(文尾)에 밝힌 출처와 더불어 훌륭한 참고자료가 된다. ≪해동역사≫는 한치윤(韓致奫)이 중국측 사료 523종과 일본측 사료 22종을 섭렵하여 엮은 서목이다.

지리 분야에 있어서 조선시대 지리지에 관한 것으로 김전배(金田培)의 <조선조의 읍지연구>와 이겸로의 <조선고지도목록 朝鮮古地圖目錄>이 있다. 근세 한국의 강역과 지방지 연구에 필요한 서지자료로는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에서 간행된 ≪한국지방지종관 韓國地方誌綜觀≫(1974), 이찬(李燦)의 ≪한국고지도 韓國古地圖≫, 양태진(梁泰鎭)의 <근세 한국의 국역지지에 관한 서지적 고찰>과 <백두산 천지에 관한 지리지 연구> 등이 있다.

또한, 서지 분야에는 윤병태의 ≪한국서지연표 韓國書誌年表≫, 이희재(李姬載)의 ≪한국서지자료관계문헌해제목록 韓國書誌資料關係文獻解題目錄≫, 제홍규(諸洪圭)의 ≪한국서지관계문헌목록 韓國書誌關係文獻目錄≫, 천혜봉의 ≪한국서지 韓國書誌≫ 등이 있어서 중요한 서지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간행목록

문헌을 간행하고자 엮은 서목에는 불경간행목록이 있는데, ≪신편제종교장총록 新編諸宗敎藏總錄≫과 ≪대장경목록 大藏經目錄≫이 이에 해당한다. ≪신편제종교장총록≫은 의천(義天)이 20여 년에 걸쳐 고려·송·요·일본 등 여러 나라에서 경·율·논 삼장(三藏)에 대한 고래 학문승들의 장소를 집록한 속장간행목록(續藏刊行目錄)이다.

내용은 권1에 경부의 장소, 권2에 율부의 장소, 권3에 논부의 장소를 수록하고 있으며, 각 권에는 주요 경·율·논별로 장소가 약식체재로 적혀 있다. ≪대장경목록≫은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의 간행목록으로 목판본 상·중·하 1책이 있고, 여기에 근거하여 동국대학교에서 함차별(函次別)로 엮은 ≪대장경세별목록 大藏經細別目錄≫(1958) 1책과 영인판 고려대장경 제48로써 엮은 ≪고려대장경총목록―해제·색인 高麗大藏經總目錄―解題·索引≫(1976)이 있다.

≪대장경목록≫에서 또하나 주목할 것은 이 목록이 목록 말미인 통함(洞函)에 들어 있지 않고 갱함(更函)에 수록되어 있어, 갱함 앞의 천함(天函)부터 초함(楚函)까지 570함에 실린 경전이 초조대장경 구성에 기초가 되고, 갱함부터 통함까지의 장경은 재조시 추조본(追雕本)에 해당되므로, 초조대장경목록도 간행목록임을 알 수 있다.

책판목록

책판만을 엮은 책판목록에서 우선적으로 들 것은 ≪고사촬요책판목록 攷事撮要冊板目錄≫이다. 1554년(명종 9) 어숙권(魚叔權)이 당시 팔도에 장치되어 있는 책판을 조사하여 서명만을 약식체재로 적은 것이며, ≪고사촬요≫가 개정·증보됨에 따라 내용의 증감이 이루어졌다. 책판은 임진왜란 이전 본에만 실려 있어 임진왜란 이전 지방의 전적문화를 연구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이다.

이 책판목록은 도별(道別) 또는 분류별로 재조직되어 천혜봉의 ≪고서목록집성≫에 실렸고, 자모순 배열은 정형우(鄭亨愚)·윤병태 공편의 ≪한국책판목록총람 韓國冊板目錄總覽≫에도 수록되어 있다. 임진왜란 이후에 이루어진 책판은 여러 종류가 있다. ≪고책판소재고 古冊板所在攷≫는 임진왜란 이후에 개판된 것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그 중 경상도 책판에 대해서는 ≪영남책판기 嶺南冊板記≫에 의거하고 있어 임진왜란 이전의 책판도 들어 있다.

≪완영책판목록 完營冊板目錄≫은 호남·호서·영남 지방의 책판이 대부분이고 함경도가 일부 포함되어 있다. 이 책판을 토대로 1791년 이후 재조사하여 엮은 것이 ≪오거서록 五車書錄≫이며, 이 책에 의거, 재조사하여 ≪삼남책판 三南冊板≫의 제목으로 발표된 것이 있는데 이는 1800년 이후에 작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교남책록 嶠南冊錄≫은 성대중(成大中)이 수집한 가중장서(家中藏書) 중 영남 각지의 책판에서 찍어낸 것만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1783년에 엮은 것이다.

또, ≪영남서책목록 嶺南書冊目錄≫의 제목이 붙여진 자료도 있는데, 이는 1867년 이후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임진왜란 이후의 책판목록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누판고 鏤板考≫이다. 규장각이 중앙 및 지방관서, 그리고 사사기관의 자료를 일차 조사하고, 1796년 서유구가 재편집한 것인데 수록범위가 가장 포괄적이고 서지사항이 자세하면서도 정확하다.

이 밖에 1840년(현종 6) 경기·강원·충청·황해·전라·경상·평안 7도의 각지에서 책판한 목록을 조사하여 엮은 ≪각도책판목록 各道冊板目錄≫이 있고, 최근 문화재관리국 박상국(朴相國)전문위원이 전국의 70개 사찰, 9개 대학과 개인박물관을 조사하여 엮은 ≪전국사찰소장목판집 全國寺刹所藏木板集≫(1987)이 있다.

편찬목록

편찬문헌에 관하여 엮은 서목으로 ≪군서표기 群書標記≫가 있다. ≪군서표기≫는 ≪홍재전서≫ 권179∼184에 수록되어 있는데, 1772년(영조 48)부터 1800년(정조 24) 사이에 간사(刊寫)된 어정서(御定書)와 명찬서(命撰書)가 연대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책은 서명을 표출하고 저자·권책수·판종을 자세히 밝힌 다음 비교적 자세하게 해제를 붙이고 있다.

이 서목은 정조 때에 간사(刊寫)된 관본의 저작연대와 간행연대를 조사하는 데 필요한 서지도구이다. 그 밖에 시대를 한정하여 관본을 조사, 분석하고 서목을 작성한 강순애(姜順愛)의 <조선 영조조의 도서편찬 및 간행에 관한 서지적 연구>와 윤정옥(尹正玉)의 <순조·헌종조의 관찬·관인서적에 관한 연구>가 있다.

참고문헌

『나려예문지(羅麗藝文志)』(이성의·김약슬, 홍문서관, 1964)
『이조서원문고목록』(이춘희, 국회도서관, 1969)
『초조대장경조사연구』(千惠鳳·朴相國, 成保文化財團, 1988)
「攷事撮要の冊板目錄について」(李仁榮, 『東洋學報』 30―2, 1943)
「신라장소록장편(新羅章疏錄長編)」(민영규, 『백성욱박사송수기념불교학논문집,』 1959)
「일본도서관소장의 한국고전」(천혜봉, 『도서관』 137, 1968)
「문헌각(文獻閣)과 문헌각서목(文獻閣書目)의 분석」(남권희, 『도서관학』 11, 1984)
「대장목록(大藏目錄)의 체계에 관한 연구」(정경모, 『한국비블리아』 6, 1984)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강순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