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투 ()

목차
관련 정보
민속·인류
놀이
상류층 사람들이 즐겨하던 노름으로 그림과 숫자가 그려진 종이쪽으로 승부를 가리는 성인남자놀이.
이칭
이칭
팔목
목차
정의
상류층 사람들이 즐겨하던 노름으로 그림과 숫자가 그려진 종이쪽으로 승부를 가리는 성인남자놀이.
내용

이 수투는 지방에 따라 투전(鬪牋)·투전(投箋)·수투전(數鬪牋)·팔대가(八大家)·팔목(八目)·수천(數千) 따위로 불리며 노는 방법도 조금씩 다르다.

이 놀이에 쓰이는 투전 목은 한지를 서너겹 덧붙이고 여러 가지 글씨를 써서 들기름을 먹인 종이쪽으로, 길이가 15㎝, 너비가 1.3㎝ 정도 된다. 투전(鬪牋) 또는 수투전(數鬪牋)의 ‘전(牋)’은 투전 목의 모양이 종이쪽임을 나타내는 말이며, 투전(投箋)의 ‘투(投)’는 이를 놀 때 차례대로 한 장씩 빼어 방바닥에 던지는 데에서 온 것이다.

이 놀이는 서민층의 젊은 남자들이 노름으로 하는 짓고땡, 투전과는 달리 반드시 네 사람이 한패를 이루며 수투 목도 80장이다. 이 80장의 목은 사람[人]·물고기[魚]·새[鳥]·꿩[雉]·별[星]·말[馬]·토끼[兎]·노루[獐]의 여덟 종류로 나뉘고, 이것들은 다시 각기 1에서 10까지의 열 장씩으로 이루어진다.

사람·물고기·꿩 네 가지는 장(將) 9·8·7·6·5·4·3·2·1의 순서로 내려 먹지만 별·말·토끼·노루 네 가지는 장 1·2·3·4·5·6·7·8·9의 차례로 올려 먹는다. 장의 장은 ‘도통’이라고 하여 어느 장이든지 잡을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그리고 각 수투 목 뒤에는 초서(草書)로 ‘落葉(낙엽)’이라고 휘갈겨 써서 이를 펴들어도 상대는 내용을 알 수 없다.

놀이방법은 먼저 수투 목을 잘 섞은 다음 첫 번째는 패의 연장자부터 3장씩 차례로 6번 떼고 7번째에서는 2장씩 갖는다. 따라서 한 사람이 20장씩 가지고 부챗살처럼 펴들고 노는데, 대개 좋은 쪽을 먼저 뽑아서 손바닥에 쥐고 차례대로 뽑아서 쌓아간다. 이렇게 해서 맨 아래쪽부터 펴들게 되므로 왼쪽으로 좋은 것이 몰리게 마련이다.

네 사람은 각자의 형편과 전략에 따라 목을 내며 이에 응수하는 4장 중에 같은 종류의 더 높은 수를 낸 사람(만약 ㄱ이 ‘사람 7’을 내었을 때 ‘사람 8’로 잡는 식이다.)이 4장을 먹어다가(이를 한 수라고 부른다.) 한 수씩 엎어놓는데, 이렇게 4장 한 수씩의 20번 놀이에서 수를 가장 많이 먹은 사람이 일등으로 ‘장원’이 되며 한 수도 못 먹거나 제일 적게 먹은 사람은 ‘조시’라고 부른다.

한 판이 끝나고 다음부터는 이긴 사람, 즉 선이 먼저 떼고 시작한다. 또 지방에 따라서는 수투의 일종인 ‘사오패’나 ‘곱새치기’ 또는 ‘두수치기’를 할 때에 자기 몫을 내면서 그 숫자를 노래 조로 부르는데 이를 ‘수투불림’이라 한다. 한 보기를 들면 다음과 같다.

“주먹 같은 일자(一字), 일자나 한 장 들고 보니 일일송송 야밤중에 새별이 어인말고//도굿대 같은 이자(二字), 이자나 한 장 들고 보니 이등[丘] 저등 북을 치니 회월기생이 춤을 춘다//활촉 같은 삼자(三字), 삼자나 한 장 들고 보니 삼동가리 놋제같이 경상감사가 맞들었다//총자루 같은 사자(四字), 사자나 한 장 들고 보니 사촌은 팔촌이라 오촌은 당숙이다

//중놈 대가리 오자(五字), 오자나 한 장 들고 보니 오촌은 당숙이라 사촌은 팔촌이다//호래기같은 육자(六字), 육자나 한 장 들고 보니 육원 딴머리 각시머리가 노리개라//두 다리 동갠 칠자(七字), 칠자나 한 장 들고 보니 칠 년 대한 가뭄에 옥수같은 빗방울이 여기도 뚝떡, 저기도 뚝떡//개 발톱 같은 팔자(八字), 팔자나 한 장 들고 보니 팔십에 노인이 아홉 상좌 거느리고 나무 밑을 걸어간다

//두 눈이 꿈쩍 구자(九字), 구자나 한 장 들고 보니 구십에 노인이 팔상좌 거느리고 나무 밑을 걸어간다//이리저리 장자(將字), 장자나 한 장 들고 보니 장안의 광대 박광대, 오만 장이 내 돈이라.”

성대중(成大中)이 쓴 ≪청성잡기 靑城雜記≫에는 이 놀이를 장현(張炫)이 17세기 중엽에 중국에서 들여왔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수투 목의 형태나 놀이방법으로 미루어보아 우리 고유의 놀이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서울육백년사』 3(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79)
『한국의 민속놀이』(김광언, 인하대학교출판부, 1982)
「수투전고(數鬪牋攷)」(조지훈, 『민족문화연구』 2,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66)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광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