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태평양영화제 (Asia)

목차
관련 정보
아시아태평양영화제
아시아태평양영화제
영화
의례·행사
아시아지역의 영화산업 진흥을 목적으로 개최하는 예술축제. 국제영화제.
목차
정의
아시아지역의 영화산업 진흥을 목적으로 개최하는 예술축제. 국제영화제.
내용

1954년 일본의 발의로 해마다 아시아 회원국들이 돌아가며 개최하고 있다. 한국·일본·자유중국·홍콩·인도네시아·필리핀·말레이시아―싱가포르·타이·베트남 등 아시아 9개국의 영화단체들로 구성된 영화제작자연맹(F.P.A)이 주최하여 경쟁식의 영화제를 창설하였다.

제1회 영화제는 1954년일본 동경에서 개최되었고, 극영화 부문 작품상인 골든 하베스트상을 비롯하여 감독·각본·촬영·편집·음악·녹음·미술·주연 및 조연 남녀배우상, 그리고 비극영화 부문 작품상인 실버 하베스트상과 촬영·기획상이 마련되었다. 이 영화제 본래의 목적은 영화예술의 향상과 각국 영화인들의 우호증진이었으나, 1960년대 후반 이후 영화의 매매 알선을 위한 전시장으로 그 성격이 변질되어가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또한 영화산업의 경제적 변동에 따라 행사경비의 대부분을 주최국이 부담하고, 또 영화제의 효과에 대한 의문이 생기기 시작하여 1970년 제16회 영화제에서 일본이 경쟁제도 폐지와 영화제 개혁안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그에 따라 연맹규약이 크게 개정되었고 영화제도 1972년 제18회부터 비경쟁으로, 또 주최국이 견본시(見本市)를 겸하는 것으로 바뀌게 되었다.

1971년에는 새로 캄보디아가 가맹하였고,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가 분리되어 가맹국은 11개국이 되었으나, 그 뒤 통일 베트남의 가입과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가 새로 가맹하여 현재 구성국은 14개국이며 발족 당시와는 많이 달라졌다. 1982년 제27회 영화제부터는 명칭을 ‘아시아태평양영화제’로 변경하고 부분경쟁을 도입하였다.

우리 나라는 1957년 동경에서 열린 제4회 영화제에 〈시집가는 날〉·〈백치 아다다〉를 출품한 이래 해마다 4, 5편의 작품을 출품하고 있다.

우리 나라의 역대 주요 수상작으로는 〈시집가는 날〉(1957, 희극상)·〈사랑방손님과 어머니〉(1962, 최우수작품상)·〈김약국의 딸들〉(1964, 비극상)·〈남과 북〉(1965, 비극상)·〈초혼 招魂〉(1965, 비극영화 작품상)·〈좌선 坐禪〉(1984, 최우수다큐멘터리상) 등이 있다.

그리고 주요 수상자는 음악상에 김성태·전정근·정윤주·황문평, 미술상에 정우택·이명수, 촬영상에 최동학·정일성, 녹음상에 이경순·김한근, 편집상에 양성난·유재원, 감독상에 신상옥·김수용·변장호·배창호·임권택, 각본상에 김강윤·이은성, 남우주연상에 김승호·신영균·김진규·박노식·최무룡·하명중, 여우주연상에 도금봉·최은희·김지미·김창숙·이미숙·장미희, 남녀조연상에 김희갑·허장강·장혁·김일우·고두심·방희 등이 있다.

초기의 영화제 성격은 작품의 경쟁에 있었으나 경쟁의 과열 등 부작용 때문에 요즈음에 와서는 경쟁적 요소보다는 친선 축제로 성격이 바뀌었고, 회원국 상호간의 영화수출입의 촉진과 문화교류에 목적을 두고 있으나 사실상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고 있다.

한국은 1962년서울에서 처음 아시아영화제를 연 것을 비롯, 1997년 제42회 제주 유치까지 일곱 차례나 개최하였다.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