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부일구 ()

앙부일구
앙부일구
과학기술
개념
1434년에 제작된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해시계.
내용 요약

앙부일구는 1434년에 제작된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해시계이다. 세종대왕이 이순지에게 제작을 명하여 백성들이 다니는 대로변에 설치한 대중시계이다. 해 그림자를 만드는 영침, 해 그림자를 받아 시각과 절기를 읽는 반구형의 수영면이 주요 구성품이다. 수영면이 반구형으로 오목한데, 그 모양이 ‘하늘을 우러르는[仰] 가마솥[釜] 같다’고 해서 ‘앙부’라고 불렀다. 천구상의 태양 운행을 완벽하게 재현한 기구로, 해 그림자가 드리워진 절기선과 시각선의 눈금을 읽으면 별도 계산 없이 시각과 절기를 지평환에서 곧바로 파악할 수 있는 간편한 기구이다.

정의
1434년에 제작된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해시계.
개설

1434년(세종 16)에 제작되었다. 앙부일구의 제작자는 불분명하지만 “( 세종이) 이순지(李純之)에게 명해 의상(儀象)을 교정(校正)하게 하니, 곧 지금의 간의(簡儀) · 규표(圭表) · 대평(大平 또는 天平) · 현주(懸珠) · 앙부일구(仰釜日晷)와 보루각(報漏閣) · 흠경각(欽敬閣)은 모두 이순지가 세종의 명을 받아 이룬 것이다”라는 『세조실록(世祖實錄)』의 기사를 참조할 때, 이순지가 앙부일구를 비롯한 각종 의상 제작에 책임자로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연원 및 변천

앙부일구는 대체로 원대(元代) 주1이 만든 ‘앙의(仰儀)’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앙부일구는 곧 앙의이며, 그 제도는 『원사(元史)』에서 볼 수 있다”라고 한 『국조역상고(國朝曆象考)』의 언급이 이러한 주장의 근거 가운데 하나였다. 그러나 앙의의 유물이 남아있지 않고, 그것을 제작하여 사용했다는 역사기록이 없다는 점을 근거로 앙부일구의 독창성을 강조하는 견해도 있다. 요컨대 앙의에서 아이디어를 얻기는 하였으나, 앙부일구는 조선왕조에서 해시계로 다시 태어난 창작품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세종 때 제작된 앙부일구는 현재 남아 있지 않다. 현존하는 앙부일구는 모두 조선 후기에 제작된 것이다. 문헌기록을 통해서 볼 때 조선 후기의 앙부일구는 세종 때의 그것과 약간의 차이가 있다. 시각 표시를 12지신의 동물그림 대신 글자로 했다는 점, 조선 후기 시헌력(時憲曆)으로 역법이 개정됨에 따라 시제(時制)가 기존의 1일 100각법에서 96각법으로 변경되어 시각 눈금이 달라졌다는 점, 그리고 주천도수가 365 1/4도에서 360도로 바뀌면서 한양의 북극고도가 달라졌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현재 여러 개의 앙부일구가 존재하고 있다. 휴대용 앙부일구까지 포함하면 10여 개 정도가 남아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내용

대부분의 해시계는 해 그림자를 받는 수영면(受影面, 이른바 時盤面)이 평면이다. 이에 비해 앙부일구는 수영면(시반면)이 반구형으로 오목하다. ‘앙부’라는 명칭은 그 모양이 ‘하늘을 우러르는[仰] 가마솥[釜] 같다’고 해서 붙여진 것이다. 현존하는 앙부일구를 참조해 볼 때 앙부일구는 해 그림자를 만드는 막대인 영침(影針), 해 그림자를 받아 시각과 절기를 읽는 반구형의 수영면, 수영면의 주둥이에 해당하는 시각과 절기를 표기한 지평환(地平環), 이를 지지하고 있는 네 개의 다리, 그리고 다리를 받치는 동시에 물을 채워 수평을 잡을 수 있도록 고안된 십자 모양의 물받이로 구성 있다.

이 가운데 핵심적인 부분은 영침과 수영면이라 할 수 있다. 수영면은 구형의 천구를 반으로 잘라 오목한 내부 면에 눈금을 새겨 넣었다. 수영면의 주둥이에 해당하는 지평환에는 방위와 절기, 시각을 새겨 넣었다. 영침은 지평환의 정남 위치에서 한양의 북극고도만큼 내려간 지점, 곧 남극에서 정확히 북극을 향하도록 수영면에 박혀있다. 영침의 끝부분은 해 그림자를 선명하게 받을 수 있도록 뾰족한 바늘 모양으로 되어 있다.

수영면에 그려져 있는 선분은 영침과 수직으로 그려진 13개의 절기선(節氣線)과 절기선에 수직으로 그려진 시각선(時刻線)이다. 시각선은 정중앙의 자오선을 오시 정초각 0분으로 해서 좌우에 묘시에서 유시까지 낮 동안의 시각을 잴 수 있도록 자오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그려져 있다. 절기선은 24절기를 파악할 수 있도록 13개의 선이 시각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그려져 있다. 13개의 선 가운데 한 가운데가 춘 · 추분선이고, 맨 위의 선이 동지선(冬至線), 맨 아래의 선이 하지선(夏至線)이다.

의의와 평가

앙부일구는 천구상에서 일정한 주기를 갖고 회전하는 태양의 운행을 완벽하게 재현하는 기구였다. 따라서 해 그림자가 드리워진 절기선과 시각선의 눈금을 읽으면 별도의 계산 없이 그때의 시각과 절기를 곧바로 파악할 수 있는 간편한 기구이다. 앙부일구는 한양의 위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영침을 한양의 북극고도에 맞추어 설치함으로써 한양을 기준으로 한 국가 표준시계라는 점에서 그 특징을 찾을 수 있다. 다음으로 앙부일구는 지구의 자전축 방향인 북극에 맞추어 천구적도좌표계와 일치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지구의 자전운동으로 인해 나타나는 태양의 일주운동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천문시계였다.

다음으로 주목해야 할 점은 세종 때 앙부일구를 만들어 혜정교 옆과 종묘 남쪽에 설치하였다는 사실이다. 그곳은 일반인들이 왕래하는 대로변이었다. 따라서 앙부일구는 백성들이 직접 보고 시간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중시계였던 셈이다. 이와 함께 세종 때 앙부일구에서는 지평환 부분에 시각을 글자로 표시하지 않고 12지신의 동물그림으로 표현했다는 것이다. 이는 글자를 모르는 백성들로 하여금 시간을 읽을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참고문헌

『세조실록(世祖實錄)』
『국조역상고(國朝曆象考)』
『조선의 서운관』(조지프 니덤 등, 이성규 옮김, 살림, 2010)
『우리역사 과학기행』(문중양, 동아시아, 2007)
『시간과 시계 그리고 역사』(전상운, 월간시계사, 1994)
『한국과학기술사』(전상운, 정음사, 1975)
「해시계의 역사와 그 원리」(이은성,『동방학지』33,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82)
「이씨조선의 시계제작 소고」(전상운,『향토서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63)
주석
주1

중국 원나라의 과학자(1231~1316). 자는 약사(若思). 세조를 섬기고, 수리ㆍ토목 사업에 큰 공적을 남겼다. 중국 역법 사상 획기적이고 새로운 수시력(授時曆)을 만들었다. 저서에 ≪추보(推步)≫, ≪입성(立成)≫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이은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