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광이 쫓기 (이 쫓기)

목차
관련 정보
야광이 쫓기
야광이 쫓기
민속·인류
개념
설날 밤에 야광이 귀신을 쫓기 위하여 대문에 체를 걸어두는 세시풍속.
목차
정의
설날 밤에 야광이 귀신을 쫓기 위하여 대문에 체를 걸어두는 세시풍속.
내용

민간에서는 설날 밤에 야광이라는 귀신이 인가에 들어와서 사람들의 신을 신어보아 자기 발에 맞으면 신고 간다는 속설이 있다. 그렇게 되면 그 신발 임자는 그해의 운수가 나쁘다고 하여, 아이들과 어른이 모두 신을 방안에 들여놓고 일찍 잠을 잔다.

이때 대문 위에다 체를 걸어두거나, 마당에 장대를 세우고 체를 달아 매어두면 야광이가 와서 체의 구멍을 세어보다가 잘못 세어 또다시 세고, 또 세고 하다가 신을 신어보는 것도 잊어버리고 새벽닭이 울게 되어 물러간다고 한다. 옛날 지방에 따라서는 오후 5시부터 귀신을 쫓는다 하여 먼저 딱총을 놓고 대문 위에 체를 걸어놓는 집도 있었다.

정조 때의 실학자인 유득공(柳得恭)의 ≪경도잡지 京都雜志≫ 원일조(元日條)에 “귀신의 이름에 야광이라는 것이 있으니 밤에 사람의 집에 들어와 신을 훔치기를 좋아한다. 그러면 신의 임자는 불길하다. 그러므로 어린이들은 이를 두려워하여 신을 감추고 불을 끄고 일찍 잔다. 그리고 마루의 벽에다 체를 걸어두면 야광이가 와서 그 구멍을 세다가 다 못 세고 닭이 울면 도망간다고 한다.” 라는 기록이 있다.

또한, “야광은 약왕(藥王)의 음이 와전된 것이다. 약왕의 형상이 추하므로 아이들이 두려워하기 때문에 어린이를 일찍 재우고자 이러한 이야기를 만들어낸 것이다. "라고 하였다. 약왕은 약왕보살의 준말로서 ≪법화경≫에 나오는 스물 다섯 보살 중의 하나인데, 좋은 약을 값없이 남에게 주어 중생의 심신의 병고를 덜어주고 고쳐주는 보살이다.

유득공은 야광을 약왕의 와전으로 보았으나, 이는 잘못된 견해로 보이니, 생각하건대 귀신은 밤에 잘 나타나고 빛을 낸다고 하는 것으로써 야광이라고 쓴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야광은 귀신이요, 약왕은 보살인 약왕인 것이다. 이 둘의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다고는 볼 수 없는 것이다.

이 민속에 있어서의 문제는 어찌하여 야광이라는 귀신을 쫓기 위하여 다른 도구는 다 제쳐두고 유독 체를 걸어 쫓으려고 하는가이며, 또 야광이가 체의 구멍을 왜 세는가에 있다.

이는 눈[目]의 기능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눈은 능히 물건을 알아 살피는 힘이 있다고 믿고 있거니와, 우리 민간에는 눈을 많이 가진 것이 귀신에게 두려움을 주고 또 물러가게 한다는 신앙이 있다.

이는 장례식 때에 행렬 앞에 네 눈을 가진 방상씨(方相氏) 가면을 세우는 것을 보더라도 알 수 있다. 특히, 체의 구멍은 많은 눈이 모여 있으므로 귀신이 이 체 구멍을 보고 이것은 많은 눈을 가진 자임에 틀림없다고 생각하고, 이를 두려워하여 그 집안에 들어가는 것을 주저할 것이다.

또 체의 수많은 구멍을 하나 하나의 눈으로 잘못 보고, 도대체 얼마나 많은 눈이 있는가 하고 체의 구멍을 세기 시작한다. 구멍을 세고 있는 중에 너무 많아 헛갈리어 또다시 세고, 또다시 세고 하다가 세지 못하는 사이에 날이 밝아 귀신은 달아나고 말 것이라는 생각에서 구멍이 많은 체를 걸어두는 것이라 생각된다.

참고문헌

『경도잡지(京都雜志)』
『한국의 세시풍속』(최상수, 고려서적, 1960)
「야광(夜光)이 쫓기 고(考)」(최상수, 『문화재』 113, 문화재사, 1981)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최상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