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연등동 벅수 ( 벅수)

목차
관련 정보
여수 연등동 벅수 남정중 정면
여수 연등동 벅수 남정중 정면
민간신앙
유적
문화재
전라남도 여수시에 있는 2기의 장승. 노변(路邊)장승. 국가민속문화재.
목차
정의
전라남도 여수시에 있는 2기의 장승. 노변(路邊)장승. 국가민속문화재.
내용

2기(基). 1990년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었다. 길 언덕 양편에 각각 세워져 있으며, 벅수(마을 어귀나 다리 길가에 수호신으로 세운 사람의 모양의 형상. 나무나 돌로 만드는데, 눈이 불거지고 어금니가 내뻗쳤으며, 혀가 늘어져 무섭게 생겼다.)가 서 있는 곳을 중심으로 한 이 일대를 속칭 벅수골이라 부르기도 한다.

서로 마주하고 있는 벅수에는 ‘南正重(남정중)’과 ‘火正黎(화정려)’라는 글씨가 각각 음각 되어 있다.

남정중은 높이 174㎝, 너비 37㎝이며 머리에는 복두형의 관모를 쓰고 있다. 치켜 올라간 눈썹, 긴 귀, 큰 코, 툭 불거진 눈망울, 그리고 드문드문 이를 드러낸 입, 턱수염 등이 이 벅수의 생김새이다.

이에 반하여 화정려는 높이 173㎝, 너비 39㎝로 크기는 비슷하다. 머리에는 역시 관모를 쓰고 있으며, 갈래갈래 올라간 눈썹, 긴 귀, 매부리코, 왕 방울눈, 이를 드러낸 입 등 마주하는 벅수와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화정려의 뒷면에는 ‘戊申四月二十八日午時立(무신4월28일오시립)’이라는 음각이 있고 ‘化主□主事□金□昇(화주□주사□김□승)’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어 제작연대를 알려주는 단서가 되기는 하나, 이상의 내용만으로는 어느 해 무신년인지 연대를 밝힐 수가 없다.

마을주민들에 따르면 남정중이 하늘을 맡고(天神), 화정려는 땅을 관장(地神)한다고 설명한다. 이는 중국 삼황시대(三皇時代)에 황제가 중(重)에게 준 벼슬이름인 남정(南正)이 사천(司天)의 직책이고 여(黎)에게 준 벼슬이름이 사지(司地)의 직책이라는 『사략(史略)』의 기록을 해석하고 있는 것이다.

이 벅수는 특정마을에 소속되어 있는 마을 벅수 또는 마을장승으로서의 기능은 발견되지 않아 노변장승이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마을주민에 따르면 옛날 좌수영 성에는 동문ㆍ남문ㆍ서문 등 세 개의 성문이 있었고 각각 성문부근에는 수문장 및 방위신 구실을 하는 돌벅수가 있었으며, 그 돌벅수가 서 있던 자리는 지금의 덕충동ㆍ봉산동ㆍ연등동인데 그 가운데 동문의 벅수는 없어지고 연등동과 봉산동의 벅수만이 남아 있다고 한다.

참고문헌

『남녘의 벅수』(이종철, 김향문화재단, 1990)
『벅수와 장승』(김두하, 집문당, 1990)
집필자
이종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