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구

목차
관련 정보
옹구
옹구
주생활
물품
새끼로 망태처럼 엮어 만들어 식품이나 모래 · 재 따위를 나를 때 사용하는 용구.
이칭
이칭
옹고, 원구, 온구, 옹기, 망구
목차
정의
새끼로 망태처럼 엮어 만들어 식품이나 모래 · 재 따위를 나를 때 사용하는 용구.
내용

『천일록(千一錄)』에는 ‘옹고(擁罟)’로,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와 「월여농가(月餘農歌)」에는 ‘망구’로 표기되었다.

지역에 따라서는 ‘원구’(경기도 반월)·‘온구’(경기도 화성·덕적)·‘옹기’(충청북도 봉양, 경상북도 울진)·‘망구’로 불린다.

옹구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발채와 같이 둥근 나무를 로마자 Ⅱ자 모양으로 짠 틀의 좌우 안쪽에서 위 아가리가 넓고 불이 처지게 망태기처럼 새끼로 엮어 내려간다. 그리고 안쪽을 바깥보다 길게 해서 끝이 바닥을 한번 싸도록 한다.

짐을 실을 때에는 긴 막대기를 줄과 줄의 사이사이로 꿰어놓았다가 부릴 때에 막대기를 빼면 바닥이 열리면서 물건이 쏟아져 나온다. 이것으로는 주로 무·호박·감자·배추 따위나 두엄을 나른다. 또 하나는 앞의 것처럼 새끼로 주머니를 짜지 않고 밑이 없는 가마니 두 장으로 대신한다.

물건을 옮길 때에는 밑부분을 모아서 졸라매거나 널빤지를 깔아 받침으로 삼기도 한다. 조른 끈을 풀거나 널빤지를 잡아 빼면 안의 물건이 쏟아져내린다. 이와 같은 것으로는 모래나 재 따위를 실어 나른다. 한번에 120∼140㎏을 실을 수 있다. 무게는 10㎏ 내외이다.

참고문헌

『한국농기구고(韓國農器具攷)』(김광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6)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광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