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경 ()

목차
민속·인류
개념
동지를 전후하여 못에 언 얼음의 갈라진 방향을 보고 농사의 풍흉을 알아보는 농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동지를 전후하여 못에 언 얼음의 갈라진 방향을 보고 농사의 풍흉을 알아보는 농점.
내용

‘용갈이’ 또는 ‘용의 밭갈이’라고도 한다. 못에 언 얼음이 마치 극젱이(농기구)로 밭을 갈아놓은 듯이 얼음장이 양쪽으로 넘겨져 있어 사람들은 이것을 용의 짓이라 하여 이것을 보고 그해의 풍흉을 점친다.

곧, 그 갈아 젖힌 것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향하여 있으면 풍년이 들고, 서쪽에서 동쪽으로 가운데로 향하여 있으면 흉년이 들며, 또 동서남북이 온통 갈아 젖혀져 있으면 풍년도 흉년도 아니라고 한다.

≪동국여지승람≫ 권43 연안도호부(延安都護府) 산천조(山川條)에 따르면, “와룡지(臥龍池)는 속명으로 남대지(南大池)라 하는데, 매년 겨울이 되면 못물이 얼어터지매 혹은 세로로, 혹은 가로로 터지니 그 고을사람들이 이것을 용이 밭가는 것이라 하여 이듬해의 풍흉을 점친다. 가로로 갈라지면 풍년이 들고, 세로로 갈라지면 홍수가 지고, 전혀 갈라지지 않으면 흉년이 든다고 한다.

조선 태종 때에 안노생(安魯生)이 이 일을 조정에 보고하니 조정에서는 유사(有司)에 명하여 매년 봄·가을로 제사를 드리게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동국세시기 東國歲時記≫ 11월조에 보면, 충청도 홍주(洪州) 합덕지(合德池)와 밀양(密陽)의 남지(南池)에도 용의 밭갈이로 다음해의 농사일을 징험(徵驗)하는 내용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밖에도 안악(安岳)의 석통지(石筒池), 함창(咸昌)의 공검지(共儉池) 등에도 이러한 용경풍속이 전한다. 이와 같이 큰 저수지의 못물은 농사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므로 이른바 ‘용경’이라는 점풍은 풍흉에 지대한 관심을 가진 농민들이 해마다 보아온 징험(徵驗 : 경험에 비추어 앎)에서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한국의 세시풍속』(최상수, 고려서적, 1960)
「용전설(龍傳說)」(최상수, 『민속나들이』 8, 상의, 1977.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