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6m. 용담사는 백제 성왕 때 창건하였고 고려시대에 중창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 불상은 중창할 때 본존불로 봉안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타원형의 자연석을 이용한 대좌 위에 서 있는 거대한 이 불상은 마멸이 심하여 세부적인 판독은 어려우나, 고려시대 불상으로는 매우 양감 있게 표현되었다.
긴 얼굴에 높은 육계(肉髻)를 얹었다. 눈 · 코 · 입 등은 거의 마멸되어 알아볼 수 없으나 크고 긴 귀는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다. 목에는 형식적인 삼도가 희미하게 남아 있고, 당당한 어깨는 장대하고 강건하다. 그러나 고려시대에 나타났던 괴체화(塊體化)가 아닌 매우 당당하고 양감이 풍부한 불상이다.
몸의 굴곡도 역시 마멸이 심하여 알아보기 힘들다. 그러나 측면에 남아 있는 옷주름을 보면 굵고 간략한 음각선으로 새겼고, 발목 부분은 세로줄의 옷자락 무늬를 보여주고 있다. 두 손은 복부 근처에 대고 있으나, 마멸 때문에 분명하지 않다.
광배는 일종의 거신광배(擧身光背) 형태로, 불상과 동일한 돌로 조각되었다. 광배 바깥쪽 주위는 불꽃무늬를 돌렸는데 많은 부분이 결실되었다. 양팔 옆 광배 오른쪽에는 원형, 왼쪽으로는 사각형의 구멍이 있는데 이것은 목조가구(木造架構)의 흔적으로 생각된다. 대좌는 타원형의 자연 거석으로 발밑의 촉을 끼워서 신체와 연결하고 있다.
이 불상은 장신의 체구로 간략한 조각 수법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수법은 의습에서나 광배 · 대좌에서도 나타나고 있어서 고려 초기 제작으로 추정하게 한다. 이러한 거구의 불상으로는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보물, 1963년 지정), 함양 덕전리 마애여래입상(보물, 1963년 지정),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보물, 1963년 지정) 등이 있으며, 이 시기 거구 불상들의 제작 과정을 알 수 있는 좋은 예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