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자형 ()

윤자형 / 고종이 내린 조칙
윤자형 / 고종이 내린 조칙
근대사
인물
대한제국기 때, 선전관 등을 역임하다가 을사조약 이후 의병투쟁을 전개하였고, 원각교를 창시해 민족의식을 고취한 무신 · 의병장 · 종교인.
이칭
이칭
자신(滋新), 내경(來卿)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68년(고종 5)
사망 연도
1939년
출생지
충청남도 예산
정의
대한제국기 때, 선전관 등을 역임하다가 을사조약 이후 의병투쟁을 전개하였고, 원각교를 창시해 민족의식을 고취한 무신 · 의병장 · 종교인.
생애 및 활동사항

일명 자신(滋新)·내경(來卿). 충청남도 예산 출신. 1891년(고종 28) 무과에 급제한 뒤 선전관을 지냈다. 병서와 경서를 두루 섭렵한 문무겸전의 지장(智將)으로 활약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될 때 동지를 규합하여 지리산으로 들어가 을사의병전쟁을 진두 지휘하였다. 고종은 1908년 7월 7일자로 옥새를 찍어 조칙을 내렸다. 고종은 특사를 시켜 윤자형을 가의대부 의병대장 겸 삼남도육군대도독(嘉義大夫義兵隊長兼三南道陸軍大都督)으로 삼고 남삼도대원수군제사목(南三道大元帥軍制事目) 전12개조를 지어 시행하도록 독려하였다.

12개조의 주요내용은 삼도의 군량대사 작전권을 윤자형의병대장에게 일임한다면서 윤자형은 단을 쌓아 하늘에 고하고 임진·병자 의병의 순국정신을 본받아서 석인을 새겨 쓰고 장관(將官)들을 임면하며(인사권 부여), 장병과 백성을 위무하고 상벌을 엄정, 신속하게 하되 태만자, 비협력자, 백성의 권익을 침범하는 자는 바로 참수하라는 것이다.

아울러 특별한 공이 있는 자는 기록, 포상하라고 명령하였다. 또, 사술(邪術)에 현혹되지 말고 주식(酒食)을 금하라고 명령하였다. 1930년대는 전라남도 광주 무등산에서 동지를 규합, 원각교(圓覺敎)를 개창하였다. 원각교는 민족종교로서의 기능을 하였다. 이후 그는 예산 향리에서 죽었다.

상훈과 추모

1990년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한민족광복투쟁사』(이현희, 정음문화사, 1989)
「고종조칙(高宗詔勅)」
「남삼도대원수군제사목(南三道大元帥軍制事目)12조(條)」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현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