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석견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병조참의, 대사간, 이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자건(子健)
한벽재(寒碧齋)
이칭
용국(鏞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44년(세종 26)
사망 연도
1500년(연산군 6)
본관
해주(海州)
주요 관직
이조참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병조참의, 대사간, 이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자건(子健), 호는 한벽재(寒碧齋). 정윤성(鄭允成)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유(鄭攸)이고, 아버지는 정유공(鄭由恭)이며, 어머니는 육씨(陸氏)이다. 정붕(鄭鵬)의 작은아버지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74년(성종 5)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예안현감 · 사간원정언을 지냈다. 1483년 천추사(千秋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1485년 이조좌랑에 올랐다. 다음 해 사헌부지평이 되어 경연(經筵)에서 원사(元史)를 강(講)하는 대신, 경서(經書)를 강할 것을 주청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곧 이조정랑으로 옮겨 보덕 허침과 『삼강행실(三綱行實)』을 산정(刪定)하였다.

1489년 사헌부장령으로 승진하였다. 이 때 유자광(柳子光)이 장악원제조로 임용되자, 장악원제조는 덕망이 있는 자라야 오를 수 있는 자리라는 것을 이유로 체직을 요청했다가 성균관사예로 전직되었으며, 경차관(敬差官)이 되어 밀양에 파견되기도 하였다. 이듬해 강경서(姜景敍) 등과 함께 사유(師儒)로 천거되었으며, 의정부사인의 직에 있으면서 사유에 뽑혔다.

잠시 김해부사로 외직에 나갔다가 1493년 동부승지에 임명되었다. 그 해 제포(薺浦)에서 왜인과 본국인 사이에 다툼이 일어나 문제가 크게 되자 경상도경차관이 되어 제포에 파견되었는데, 그 때 본국인의 심문을 잘못하여 국위를 손상시켰다는 이유로 사헌부의 탄핵을 받았다. 1495년(연산군 1) 지성균관사(知成均館事), 병조의 참지 · 참의를 역임했고, 2년 뒤 대사간을 거쳐 이조참판에 올랐다.

1498년 무오사화가 일어나자 일찍이 김종직(金宗直)의 문집을 간행했다 하여 파직당하였다. 김종직 · 정여창(鄭汝昌) 등과 도의교(道義交)를 맺어 성리학을 강론했고, 성종 21년 사유(師儒)로 선발된 13인 가운데 한 사람이기도 하다. 청빈하여 전도(前導)가 없이 다니니 ‘산자관원(山字官員)’이라는 별명을 듣기도 하였다. 선산 경락사(景洛祠)에 제향되었다.

참고문헌

『성종실록(成宗實錄)』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국조방목(國朝榜目)』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해동잡록(海東雜錄)』
『대동기문(大東奇聞)』
『영남인물고(嶺南人物考)』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