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봉문집 목판 ( )

목차
관련 정보
제봉문집 목판
제봉문집 목판
출판
유물
국가유산
조선 중기의 문신 ·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시문집 목판.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제봉문집목판(霽峰文集木版)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사간본
지정기관
광주광역시
종목
광주광역시 시도유형문화유산(1992년 03월 16일 지정)
소재지
광주 남구 원산동 776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시문집 목판.
내용

481판. 1992년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제봉집》 5권과 《속집 續集》 1권, 《유집 遺集》 1권으로 되어 있고, 문집 외에 《정기록 正氣錄》 1권, 《유서석록 遊瑞石錄》 1권 등이 있다. 원집 5권과 속집은 모두 시로 되어 있고, 유집은 표전 · 교서 · 격문 · 시 · 잡저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원집에 1,149수(734제), 속집에 42수(42제), 유집에 44수(34제)로 총 1235수(810제)가 전하고 있다. 또한 장응회(莊應會)와 이항복(李恒福)이 쓴 서문, 그리고 유근(柳根)이 쓴 발문 등이 실려 있다. 시는 절구와 율시, 오언과 칠언 등 다양한 시형이 구사되어 있다.

《정기록》에는 임진왜란 때 순절한 고경명과 그의 두 아들 종후 · 인후의 충효 정신이 기록되어 있고, 《유서석록》은 고경명이 42세 되던 4월 광주목사 임훈(林薰)의 초청으로 함께 서석산에 올랐던 감회를 쓴 수필이다. 뛰어난 문장과 서석산의 실경, 이곳에 출입한 명류들의 발자취, 그리고 서석산 주변의 유서 깊은 산사 · 고적들이 흥미 있게 서술된 역사적 기행록이다.

이 목각판은 고경명의 막내아들 고용후(高用厚)가 1617년(광해군 9) 남원부사로 있을 때에 제작한 것으로, 광주광역시 남구 원산동 장흥고씨 문중에 소장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