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룡 ()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계몽차의」, 「정주서변의」, 『봉촌문집』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덕용(德容)
봉촌(鳳村)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86년(정조 10)
사망 연도
1849년(철종 즉위년)
본관
경주(慶州)
출생지
대구
정의
조선 후기에, 「계몽차의」, 「정주서변의」, 『봉촌문집』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덕용(德容), 호는 봉촌(鳳村). 달성(達城)의 강동(江洞)에서 출생. 아버지는 최흥한(崔興漢)이며, 어머니는 영산신씨(靈山辛氏)로 신광준(辛光俊)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재주가 뛰어나 학문을 배우고 뒤에 정종로(鄭宗魯)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22년(순조 22) 사마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가 학문을 연구했다. 1823년(순조 23)에 유생들이 만인소(萬人疏)를 올려 서얼(庶蘖)의 관리 임용을 청할 때 소수단의 일원으로 활약했으며, 1827년(순조 27) 서학의 교주 이경언(李景彦) 등의 처벌을 청하는 상소를 올려 사학이라고 천주교를 배척했다.

세상이 어지러워 분경(奔競: 엽관운동)이 심해짐을 보고 향리로 돌아와 독암서당(讀巖書堂)을 지어 후진을 가르치니 배움을 청하는 사람이 문전을 매웠다. 고을의 과거한 사람의 명부를 보관하는 사마소(司馬所)를 중수하고 향약의 세부지침을 만들어 자치제도를 확립하고 마을의 풍속을 규정했다.

당시의 대학자인 홍직필(洪直弼)·유치명(柳致明)·김익동(金翊東) 등과 경전과 예서에 대하여 의견을 나누었으며, 경전(經典)의 주요 내용을 도시(圖示)하여 맥락을 분명하게 가르쳤다. 성리학과 훈고학에 대해 깊이 연구하여 「사서변의(四書辨疑)」·「재이록(在邇錄)」·「소학췌의(小學贅疑)」·「계몽차의(啓蒙箚疑)」·「정주서변의(程朱書辨疑)」 등 많은 논문을 남겼으며, 저서로는 『봉촌문집(鳳村文集)』 22권이 있다.

참고문헌

『봉촌문집(鳳村文集)』
『입재문집(立齋文集)』
『정재문집(定齋文集)』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권오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