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저유서 및 송곡문집 판각 ( )

목차
관련 정보
포저유서 및 송곡문집 판각
포저유서 및 송곡문집 판각
출판
유물
국가유산
조익(趙翼)과 그의 셋째 아들 조복양(趙復陽)의 문집 판목.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포저유서및송곡문집판각(浦渚遺書및松谷文集板刻)
분류
기록유산/서각류/목판각류/판목류
지정기관
충청남도
종목
충청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87년 12월 30일 지정)
소재지
충청남도 공주시 마곡사로 966 (사곡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익(趙翼)과 그의 셋째 아들 조복양(趙復陽)의 문집 판목.
내용

1987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조익의 호는 포저, 시호는 문효(文孝)이며 풍양인이다. 윤근수(尹根壽)의 문인으로 성리학 · 예학 등에 밝았고, 문과를 거쳐 벼슬이 좌의정에 올랐다.

『포저유서』는 조익의 문집으로 35권 18책과 연보(年譜) 5권 2책의 40권 2책이 전해왔다. 그 내용은 시(詩), 소(疏), 차(箚), 계사(啓辭), 서(書), 잡저(雜書), 서(序), 기(記), 발(跋), 잠명(箴銘), 교문(敎文), 교서(敎書), 전(箋), 정문(呈文), 이자(移咨), 책문(策問), 축문(祝文), 제문(祭文), 묘문류(墓文類), 행장(行狀) 등이었다.

후보(後補)로 가례향의(家禮鄕宜) 필본과, 주서요류(朱書要類) 인본(印本), 그리고 포저선생 동계록(同契錄) 필본 등 11권의 합편(合編)으로 포저전집(浦渚全集) 상 · 하권을 풍양조씨 문중에서 펴냈다.

조복양은 1609년(광해군 1)에 출생하여 1671년(현종 12)에 사망했는데, 호는 송곡(松谷), 시호(諡號)는 문간(文簡)으로 김상헌(金尙憲)의 문인이다. 문과를 거쳐 벼슬이 대제학 판서 등 요직을 지내는 동안 치적이 있었다.

송곡집은 12권 6책으로 1705년(숙종 31) 그의 조카 지정(持正) · 지항(持恒)의 공수(共修)로 송곡의 아우 내양(來陽)의 글 도산유고(道山遺稿) 약간을 끝에 붙였다. 그 내용은 시(詩), 소답(疏答), 계사(啓辭), 책문(冊文), 교서(敎書), 불윤비답(不允批答), 전(箋), 상량문(上樑文), 표(表), 잡저(雜著), 제문(祭文), 비지(碑誌), 행장(行狀), 부록(附錄)으로 되었다.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 신양리 풍양조씨 포저공 종중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충청남도, 1996)
『송곡집(松谷集)』(경인문화사, 1995)
『송곡집(松谷集)』(趙復陽, 한국고전번역원, 『韓國文集叢刊』, 2013)
『포저집(浦渚集)』(趙翼, 한국고전번역원, 『韓國文集叢刊』, 2013)
『포저선생집(浦渚先生集)』(보경문화사, 1989)
『충남도지』(충청남도, 1979)
『고선책보(古鮮冊譜)』(경인문화사, 1969)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