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경복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전기 판중추원사, 경상도병마절도사 등을 역임한 무신.
이칭
시호
양정(襄靖)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377년(우왕 3)
사망 연도
1438년(세종 20)
본관
진주(晉州)
주요 관직
경상도병마절도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전기 판중추원사, 경상도병마절도사 등을 역임한 무신.
생애 및 활동사항

본관은 진주(晉州). 1402년(태종 2) 무과에 급제하여 사복시부정(司僕寺副正)을 지내고, 상호군이 되었다.

1410년 무과중시에 급제한 뒤 첨지총제(僉知摠制)가 되었으며, 길주도조전지병마사(吉州道助戰知兵馬使)를 거쳐 경원병마사가 되었다. 이듬해 다시 첨지총제가 되었고, 다음해 경성등처병마절제사(鏡城等處兵馬節制使)가 되어 국경을 수비하였다.

1414년 동지총제에 올랐고, 1423년(세종 5) 함길도도절제사를 거쳐 1427년 의정부참찬에 올랐다. 1430년 판좌군도총제부사(判左軍都摠制府事)로 함길도병마절제사를 겸임하였다.

1432년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가 되어 서울에 올라올 때까지 15년간이나 북방의 국경지대를 수비하였는데, 백성을 사랑하고 야인들을 진무하여 변경지방의 경비에 만전을 기하였다.

특히, 1433년 정흠지(鄭欽之)·정초(鄭招)·황보인(皇甫仁) 등과 함께 진서(陣書)를 편찬할 때 총재로 참여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유명한 『계축진설(癸丑陣說)』이다. 이것을 진도(陣圖)와 함께 주인(鑄印)으로 간행하여 군사교육의 교재로 삼았다.

1435년 찬성에 승진하였고, 곧이어 판중추원사를 지냈다. 이듬해 사직하고 고향에 돌아가 있다가 다시 경상도병마도절제사가 되었다. 성품이 너그럽고 활을 잘 쏘았으며, 개국 초기에 국가의 무비(武備)를 위하여 많은 공로를 세워 국가의 기틀을 견고하게 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시호는 양정(襄靖)이다.

참고문헌

『태종실록(太宗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용재총화(慵齋叢話)』
『대동기문(大東奇聞)』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