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봉 ()

한문학
인물
조선 전기에, 『하곡집(荷谷集)』을 저술한 문인.
이칭
미숙(美叔)
하곡(荷谷)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51(명종 6)
사망 연도
1588(선조 21)
본관
양천(陽川)
주요 저서
하곡집(荷谷集)
주요 작품
해동야언(海東野言)|이산잡술(伊山雜述)
주요 관직
사가독서|서장관|이조좌랑|창원부사
내용 요약

허봉(許篈, 1551~1588)은 조선 전기에 『하곡집(荷谷集)』을 저술한 문인이다. 그의 본관은 양천(陽川)으로 자는 미숙(美叔), 호는 하곡(荷谷)이다.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허엽(許曄)이고, 허난설헌(許蘭雪軒)의 오빠이자 허균(許筠)의 형이며, 유희춘(柳希春)의 문인(門人)이다. 1574년 성절사 서장관으로 자청하여 명나라에 가서 중국의 양명학자들과 담론을 나누며 양명학을 변척하였다. 『해동야언(海東野言)』, 『이산잡술(伊山雜述)』 등의 편서가 전한다.

정의
조선 전기에, 『하곡집(荷谷集)』을 저술한 문인.
가계 및 인적사항

그의 본관은 양천(陽川)으로 자는 미숙(美叔), 호는 하곡(荷谷)이다.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허엽(許曄)이고, 허난설헌(許蘭雪軒)의 오빠이자 허균(許筠)의 형이며, 유희춘(柳希春)의 주2이다.

생애와 활동사항

허봉은 1568년(선조 1)에 생원(生員)과, 1572년(선조 5) 친시문과(親試文科)에 주3로 급제하여, 이듬해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했다. 1574년(선조 7) 성절사(聖節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자청하여 명나라를 다녀왔으며, 기행문 주4를 썼다. 허봉이 서장관으로 자청한 것은 당대 양명학(陽明學)을 분별하여 배척하기 위한 것으로 명나라의 학자들과 양명학에 대한 논쟁을 이 기행문에 자세하게 기록하였다.

1575년(선조 8) 이조 좌랑이 됐으며, 1577년(선조 10) 교리를 거쳐 1583년(선조 16) 창원부사를 역임했다. 그는 김효원(金孝元) 등과 동인의 선봉이 되어 서인들과 대립했다. 1584년(선조 17) 병조판서 이이(李珥)의 직무상 과실을 들어 탄핵하다가 종성에 유배됐고, 이듬해 풀려났으나 정치에 뜻을 버리고 방랑 생활을 했다. 1588년(선조 21) 38세의 젊은 나이로 금강산 아래 김화연 생창역에서 죽었다.

허봉은 많은 저술을 남겼으나 모두 없어졌으며 현재 『 조천기』, 『 해동야언』, 『하곡집』 등에 241수의 시만 전하고 있다. 『 하곡시초』의 발문을 보면 허균이 먼저 104수의 시를 뽑아 ‘시초’를 엮고 나머지는 ‘보유’에 넣었는데, ‘시초’와 ‘보유’에는 시 238수가 수록되어 있으며, ‘속보유’에도 53수의 시가 더 실려 있다.

현재 전하는 『하곡집』은 종손 허양이 가지고 있던 허봉의 자필고본(1574년 작) 『조천기』와 『과강록』을 합편하고 1707년(숙종 33) 허규가 충청도 관찰사 허지와 함께 공산에서 목판으로 간행한 것이다.

학문 세계

그의 학문 세계는 「하곡조천기」에 명확하게 보인다. 성리학적 주1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 성학집요(聖學輯要)』에 큰 관심을 두었다. 그리고 양명학으로 무장된 중국학자들과의 담론에서도 주체적 인식으로 그들의 논리를 배척하였다.

저서

저서로는 『하곡집』, 『하곡수어(荷谷粹語)』가 있다. 허봉은 특히 시인으로 유명하였는데, 그의 시는 깨끗하고 산뜻하면서도 정숙하고 아름답다는 평을 들었다. 편서로는 『해동야언(海東野言)』, 『이산잡술(伊山雜述)』 등이 있다.

참고문헌

원전

『국역 연행록선집Ⅰ』(민족문화추진회, 1976)
『문소만록(聞韶漫錄)』
『선조실록(宣祖實錄)』
『지봉유설(芝峰類說)』
『하곡집(荷谷集)』

단행본

이가원, 『한국한문학사』(민중서관, 1976)

논문

김경록, 「허봉의 대명사행과 양명학변척」, 『연행록 연구총서 6: 역사(숭실대학교 한국전통문예연구소 학술총서 1)』(학고방, 2006)
박수천, 「하곡 허봉의 시문학」, 『한국한시작가연구』(태학사, 2002)
박수천, 『조선 중·후기 한시와 비평문학의 탐색』(태학사, 2013)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도는 역대의 성인이 계승하여 내려왔다는 사상

주2

문하에서 배우는 제자. 우리말샘

주3

조선 시대에, 과거 합격자를 성적에 따라 나누던 세 등급 가운데 셋째 등급. 문과(文科)에서는 23명, 무과(武科)에서는 20명을 뽑아 정구품의 품계를 주었으며, 성균관ㆍ승문원ㆍ교서관의 임시직인 권지(權知)에 임명하였다. 우리말샘

주4

조선 선조 7년(1574)에 하곡(荷谷) 허봉이 지은 기행문. 성절사 정사의 서장관으로 중국 명나라 베이징에 갔다가 돌아오는 동안의 일기이다. 3권 3책.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5)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