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자총통 ()

목차
관련 정보
현자총통
현자총통
과학기술
유물
국가유산
조선 중기에 사용하였던 유통식 화포(有筒式火砲).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현자총통(1995)(玄字銃筒(1995))
분류
유물/과학기술/무기병기류/병장기류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95년 12월 04일 지정)
소재지
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110 (매곡동, 국립광주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중기에 사용하였던 유통식 화포(有筒式火砲).
내용

1995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 총통은 규모에 따라 천자(天字) · 지자(地字) · 현자(玄字) · 황자(黃字) 총통으로 나뉘고, 그 중 세 번째에 해당하는 현자총통은 유통식 화기(火器)로 조선 태종 때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여 널리 사용된 전형적인 중화기(重火器)이다.

1992년 전라남도 여천시(지금의 여수시) 백도 근해에서 인양되었다. 전체길이 75.8㎝, 총 구경 6.5㎝이며, 손잡이는 1개가 부착되어 있다.

이 총통의 간지 부분은 마멸로 확인이 어려우나 명문(銘文)에 의해 가정년간(嘉靖年間, 1522∼1566)에 양내요동(梁內了同)이란 장인이 주조한 것이며, 국내에 전하는 현자총통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즉, 1978년 보물로 지정된 천자총통(天字銃筒)의 장인(匠人)과 동일인이며, 1934년 평양에서 발굴된 ‘가정을묘명(嘉靖乙卯銘)’ 현자총통의 양내요동과 비교해 볼 때 제작시기는 조선 명종 10년인 1555년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 현자총통은 명문이 있어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것일 뿐만 아니라 보존상태도 양호하여 국방과학기술문화 유산으로서 화포 발달사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국립광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화포식언해(火砲式諺解)』
국립광주박물관(http://gwangju.museum.go.kr)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