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

훈민정음
훈민정음
언어·문자
문헌
문화재
1446년에, 정인지, 신숙주 등이 훈민정음 예의, 해례, 정인지 서문 등을 담아 간행한 훈민정음 해설서.
이칭
이칭
훈민정음해례본, 훈민정음원본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국보(1962년 12월 20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
정의
1446년에, 정인지, 신숙주 등이 훈민정음 예의, 해례, 정인지 서문 등을 담아 간행한 훈민정음 해설서.
개설

책이름을 글자이름인 훈민정음과 똑같이 ‘훈민정음’이라고도 하고, 해례(解例)가 붙어 있어서 ‘훈민정음 해례본’ 또는 ‘훈민정음 원본’이라고도 한다. 집필자들은 정인지 · 신숙주(申叔舟) · 성삼문(成三問) · 최항(崔恒) · 박팽년(朴彭年) · 강희안(姜希顔) · 이개(李塏) · 이선로(李善老) 등 집현전의 8학자이다.

서지적 사항

전권 33장 1책. 목판본.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간송미술관(澗松美術館) 소장. 1446년 9월 상한(上澣:초하루에서 초열흘까지의 기간)에 완성되었다.

현존본은 1940년경 경상북도 안동 어느 고가에서 발견된 것으로, 고(故) 전형필(全鎣弼) 소장본(현 간송문고 소장)이며, 전권 33장 1책의 목판본이다.

광곽(匡郭)은 가로 16.8㎝, 세로 23.3㎝이고, 본문(예의) 부분은 4장 7면으로 면마다 7행에 매행 11자, 해례 부분은 26장 51면 3행으로 면마다 8행에 매행 13자, 정인지의 서문은 3장 6면에 한 자씩 낮추어서 매행 12자로 되어 있다. 그리고 끝에는 ‘정통 11년(1446) 9월 상한’이라는 반포일이 기록되어 있다.

이 책도 발견 당시 완전한 것은 아니고, 처음 2장이 빠져 있던 것을 나중에 붓글씨로 적어 넣었던 것인데, 적을 때 실수하여 세종 어제서문의 끝 자 ‘이(耳)’가 ‘의(矣)’로 되는 등 오자가 있다.

내용

먼저, ‘훈민정음 해례본’의 구성내용을 약술하면아래와 같다.

  1. 본문(예의)

① 어제서문(훈민정음 창제목적을 밝혔다.)

② 예의(새 글자의 음가, 운용법을 설명하였다.)

  1. 해례

① 제자해(제자원리, 제자기준, 자음체계, 모음체계, 음상 등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② 초성해(초성이 무엇인가를 다시 설명하였다.)

③ 중성해(중성이 무엇인가를 다시 설명하고, 중성글자의 합용법을 제시하였다.)

④ 종성해(종성의 본질과 사성 등을 설명하였다.)

⑤ 합자해(초성 · 중성 · 종성 글자가 합해져서 음절 단위로 표기되는 보기를 보이고, 중세국어의 성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⑥ 용자례(단어의 표기례를 제시였다.)

  1. 정인지서문

훈민정음의 창제이유, 창제자, 훈민정음의 우수성, 이 책의 편찬자, 편찬연월일을 분명히 밝혔다.

다음으로 위의 내용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본문(예의)

① 어제서문

세종어제 서문에서는, 표기수단을 가지지 못한 비지식층 백성들에게 표기수단을 가지게 하기 위하여 세종이 친히 훈민정음을 창제하였다고 창제목적이 밝혀져 있다.

② 예의

어제서문에 이어서 중국 36자모표에 나오는 한자를 그대로 이용하지 않고, 외래어인 한자어의 전래자음(傳來字音)을 이용하여 새로 만든 훈민정음(글자)의 음가를 설명하였다. 이 중에서 초성 23자모체계는, 비록 전래자음을 가지고 음가를 설명하기는 하였으나, 중국 36자모체계의 영향을 받은 체계였으며, 인위적인 개신(改新) 의도를 가지고 정리하였던 『동국정운(東國正韻)』 23자모체계와도 일치하여, 15세기 중세국어의 초성체계와 부합되지 않는 면도 조금 있다.

[표 1] 훈민정음23자모표

區分 牙音 舌音 脣音 齒音 喉音 半舌音 半齒音
全淸 ㄱ君 ㄷ斗 ㅂ彆 ㅈ卽 ㆆ挹
次淸 ㅋ快 ㅌ呑 ㅍ漂 ㅊ侵 ㅎ虛
全濁 ㄲ蚪 ㄸ覃 ㅃ步 ㅉ慈 ㆅ洪
不淸 ㆁ業 ㄴ那 ㅁ彌 ㅇ欲 ㄹ閭 ㅿ穰
不濁
全淸 ㅅ戍
全濁 ㅆ邪

전청 · 차청과 같은 술어는 제자해에 나오고, 예의편에서는 단지 아음 · 설음과 같은 오음(五音) 분류만 표시하였고, 전탁은 병서(竝書)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초성자의 설명을 위하여 이용한 한자들은 중성자와 종성자도 그대로 설명할 수 있도록 고른 것이었다.

중성자는 ‘ㆍ · ㅡ · ㅣ · ㅗ · ㅏ · ㅜ · ㅓ · ㅛ · ㅑ · ㅠ · ㅕ’로 정하였는데, 분명히 이중모음인 ‘ㅛ · ㅑ · ㅠ · ㅕ’도 기본단위자로 삼은 것이 특색이었고, 종성자는 초성글자를 다시 써서 표시하도록 규정하였다.

예의편의 끝에서는 연서(連書)와 병서 · 합용(合用) 등의 표기방식과 위에서 아래로, 좌에서 우로 초성 · 중성 · 종성 글자를 자소(字素)처럼 써서 음절단위로 쓸 것을 규정하였고, 각 음절마다 방점으로 성조를 왼쪽에 표시하도록 하였다.

  1. 해례

해례편은 새로 만든 글자의 제자원리를 주로 밝히고, 그 음가 · 운용법, 이 문자가 표시하는 음운체계 등을 자세히 설명한 부분이다. 다만, 조선 초기에 우리 나라는 『성리대전(性理大全)』 등을 통하여 송학사상(宋學思想)을 고도로 섭취하고 있었던 시기였으므로, 해례편의 기술에 있어서도 이러한 송학이론을 적용하여 일종의 언어철학을 전개한 부분이 상당히 많다.

① 제자해

제자해에서는 『태극도(太極圖)』 · 『역학계몽(易學啓蒙)』 ·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 등 송학계통의 서적에서 이론을 섭취하여, 제자해의 첫머리부터 태극 · 음양(陰陽) · 오행(五行)과 결부된 언어관을 제시하고, 훈민정음의 창제도 성음(聲音)에 따라 음양의 이치를 다한 것이라고 하였다.

이어서 훈민정음의 제자원리가 상형(象形)에 있음을 말하고, 자음자(子音字)의 제자에 있어서는 먼저 조음위치별(調音位置別)로 기본이 되는 초성자(初聲字)를 정하고, 이 기본자들은 각각 그 조음방식 또는 조음위치를 상형하여 제자된 것임을 말하였다.

그리고 각 조음위치에서 발음되는 자음은, 그 발음이 세게 나는(‘厲’로 표현) 정도에 따라 이 기본문자에 획을 더하여 제자한다고 하였다(보기, ㄴ→ㄷ→ㅌ). 계속하여 다시 오행설을 가지고 각 자음을 오행 · 계절 · 음계(音階) · 방위(方位) 등과 결부시켜 설명하고, 오행과 결부된 오성의 음상(音相)을 발음기관 및 오행의 특질과 연관시켜서 설명한 다음, 중국의 전통적인 어두자음(語頭子音) 분류법인 36자모표의 분류방식에 따라 훈민정음의 자음자를 분류 설명하였다.[표 2]

[표 2] 오행설에 따른 자음 분류

五聲
五行
五時 李夏
五音
五方 中央 西

또한 오행과 결부된 오성의 음상을 발음기관 및 오행의 특질과 연관시켜서 설명하였다.[표 3]

[표 3] 오성의 음상

오성 오행 발음기관 음상 오행과 음상과의 연관
錯而長 聲似喉而實 如木之生於水而有形也
銳而動 聲轉而槎 如火之轉展而揚揚也
方而合 聲含而廣 如土之含蓄萬物而廣大揚也
剛而斷 聲屑而滯 如金之屑暉而鍛成也
邃而潤 聲虛而通 如水之虛明而流通也

다음에 전탁(全濁)의 음가는 ‘전청소리가 엉긴 것(凝)’이라고 설명하고, 훈민정음 28자와 따로 제정한 순경음(脣輕音)의 음가는, “가벼운 소리를 가지고 입술을 잠깐 합하고 목구멍소리(숨소리)가 많다.”고 하였다.

중성글자는 초성글자와는 달리 천(天) · 지(地) · 인(人) 삼재를 상형하여 기본모음자 ‘ㆍ · ㅡ · ㅣ’를 제자하였음을 말하고, 이들 기본모음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표 4]

[표 4] 기본모음자

자형 상형내용 발음상태 소리(聲)
· 天圓 혀를 옴츠림(舌縮) 깊음(深)
地平 혀를 조금 움츠림(舌小縮) 깊지도 얕지도 않음(不深不淺)
人立 혀를 옴츠리지 않음(舌不縮) 얕음(淺)

이 세 기본모음자는 중세국어의 7단모음체계를 세 갈래로 인식하고 제자한 것으로서, ㅣ모음을 별도로 보고, ‘ㆍ’모음계열과 ‘ㅡ’모음계열로 나누어서 나머지 모음자들[ㅗ · ㅏ · ㅜ · ㅓ, 이를 초출자(初出字)라고 하였음]을 제자하였음을 설명하였다.[표 5]

[표 5] 초출자의 제자원리

자 형 성 격 음 양
ㆍ + ㅡ →
ㅣ + ㆍ →
ㅡ + ㆍ →
ㆍ + ㅣ → ㆎ

그리고 이들의 관계를 다시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ㅗ ㅜ 입을 오므림[구축(口蹙)]

↑ ↑

· ㅡ

↓ ↓

ㅏ ㅓ 입을 벌림[구장(口張)]

중성 11자 가운데 나머지[‘ㅛ · ㅑ · ㅠ · ㅕ’, 이들을 재출자(再出字)라고 하였음]는 ㅣ에서 시작되는 음으로 보고(起於ㅣ), 이어 또다시 역(易)의 수(數)나 위(位)를 가지고 중성글자들을 설명하기도 하고, 초성 · 중성 · 종성 세 글자들의 결합을 설명하기도 하였다.[표 6]

[표 6] 위수도(位數圖)

方位 五 行 定 位 成 數
천 一 지 六
지 二 천 七
천 三 지 八
지 四 ㆎ 천 九
중앙 천 五 · 지 十 ㅡ

② 초성해

초성해에서는, 초성이란 운서의 자모에 해당한다고 하고 한자음을 가지고 다시 설명하였다.

③ 중성해

중성해에서는, 중성이란 한자음의 개음(介音)+운복음(韻腹音)임을 역시 한자음을 가지고 설명하였는데, 중국음운학에서 음절말음[운미(韻尾)라고 함]으로 다루는 반모음 〔j〕 까지도 중성에 포함시켜, 제자해에서 설명한 11자 이외에, 다음과 같이 여러 모음자가 합용되어 중모음으로 쓰일 수 있음을 말하였다.

기본자 ㆍ ㅡㅣ

초출자 ㅗ ㅏ ㅜ ㅓ

재출자 ㅛ ㅑ ㅠ ㅕ

합용자 ㅘ ㅝ ㆇ ㆊ

일자중성+ㅣ ㆎ ㅢ ㅚ ㅐ ㅟ ㅔ ㆉ ㅒ ㆌ ㅖ

이자중성+ㅣ ㅙ ㅞ ㆈ ㆋ

④ 종성해

종성해에서는 종성이란 자음으로 끝나는 음절말음임을 역시 한자음을 가지고 다시 설명하고, 중세국어의 성조를 우선 종성만 가지고 설명하였다. 즉, 불청불탁자(不淸不濁字)는 평성 · 상성 · 거성의 종성이 되고, 전청자 · 차청자 · 전탁자는 입성의 종성이 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국어의 종성은 ‘ㄱ · ㆁ · ㄷ · ㄴ · ㅂ · ㅁ · ㅅ · ㄹ’ 8자면 족(足)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한자음의 입성 가운데, ‘ㄷ’종성음을 일반에서 ‘ㄹ’로 발음하고 있는데, 이를 ‘ㄷ’음으로 발음해야 된다고 하였다.

⑤ 합자해

합자해에서는, 초성 · 중성 · 종성 글자를 자소처럼 인식하여, 이들 3요소를 좌로부터 우로, 위로부터 아래로 써서 음절단위로 쓸 것을 규정하였고, 합용병서 · 각자병서의 서법(書法)을 초성 · 중성 · 종성에 걸쳐 설명하였다.

이어 당시의 국어성조를 다시 설명하여, 입성은 중세국어의 성조단위가 아님을 말하였다. 즉, 긷:깁 몯 등이 종성만을 가지고 볼 때는 입성이지만, 성조로서는 평성 · 상성 · 거성이 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반설경음(半舌輕音) ‘ᄛ’도 반설중음(半舌重音)인 ‘ㄹ’과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말하고, 중모음 !ㅗ의 가능성도 제시하였다.

⑥ 용자례

용자례에서는 중세국어에서 90단어의 예를 들어, 그 표기법을 보였다. 초성 ‘ㄱ · ㅋ · ㆁ, ㄷ · ㅌ · ㄴ, ㅂ · ㅍ · ㅁ, ㅸ · ㅈ · ㅊ, ㅅ · ㅎ · ㅇ, ㄹ · ㅿ’의 표기례를 각각 2 단어씩 들었는데, 각자병서와 ㆆ의 표기례가 제외되고, ㅸ의 표기례를 보인 것이 특징이다.

중성은 ‘ㆍ · ㅡ · ㅣ · ㅗ · ㅏ · ㅜ · ㅓ · ㅛ · ㅑ · ㅠ · ㅕ’의 표기례를 각각 4단어씩 보였으며, 종성은 ‘ㄱ · ㆁ · ㄷ · ㄴ · ㅂ · ㅁ · ㅅ · ㄹ’의 8종성의 표기례만을 각각 4단어씩 보였다.

  1. 정인지서문

정인지의 서문에서는, 제 말의 소리는 있어도 글자가 없어서 한자를 빌려 씀이 아무래도 어거지라는 것, 한자로 씌어진 책의 뜻을 깨치기 어렵다는 것, 한문으로는 의사소통이 힘들다는 것, 이두(吏讀) 사용이 불편하다는 것 등을 훈민정음 창제의 이유로 들었다.

이어 세종이 1443년(세종 25) 겨울에 훈민정음을 창제하였다는 것, 훈민정음은 간단하여 깨치기 쉬운 글자이면서 여러가지로 응용이 가능하여, 대개의 음(음악, 한자음, 자연음까지)을 표기할 수 있고, 이 글자의 창제로 한문책의 해석도 쉬워졌으며 의사소통도 가능해졌다고 하였다.

그리고 해례본의 저술자가 정인지 · 최항 · 박팽년 · 신숙주 · 성삼문 · 강희안 · 이개 · 이선로 등 8명이라고 하였다. 이 서문을 쓴 날이 1446년 9월 상한이므로, 이 책의 완성일을 알려준 데도 이 서문의 가치가 있다.

의의와 평가

세종 때는 모든 분야에 걸쳐서 우리 것을 존중하고 밝혀보려는 기운이 충만되어 있던 시대였으므로, 이러한 기운이 국어의 문자화(文字化)를 위한 훈민정음 창제로 나아갔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다른 나라에서도 자기 언어를 위한 새 글자를 제정한 일은 있지만, 『훈민정음』 같은 서적을 펴낸 일은 없다.

그러므로 이 책은 문화사적인 면에서도 중요한 의의를 가지는 책으로, 1997년 1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에서 세계기록유산’으로 선정되었다.

참고문헌

『국어학사』(강신항, 보성문화사, 1979)
『신고국어학사』(유창균, 형설출판사, 1969)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연구』(이기문, 한국연구원, 1963)
『새로 지은 국어학사』(김윤경, 을유문화사, 1963)
『한글갈』(최현배, 정음사, 1961)
『국어학사』(김형규, 백영사, 1955)
『훈민정음통사』(방종현, 일성당서점, 1946)
『조선문자급어학사』(김윤경, 조선어학회, 1938)
「세종대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김완진, 『성곡논총』3, 1972)
「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리숭녕, 『아세아연구』2, 1958)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강신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