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구(광주광역시) (())

광주광역시 남구청
광주광역시 남구청
인문지리
지명/행정지명ˑ마을
광주광역시의 남부에 위치한 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광주광역시의 남부에 위치한 구.
개관

동쪽으로는 동구와 화순군, 서쪽으로는 서구와 광산구, 남쪽으로는 나주시, 북쪽으로는 서구, 동구, 북구에 접해 있다. 동경 126°55'~126°45', 북위 35°02'~35°08'에 위치한다. 면적 60.99㎢, 인구는 22만 1318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6개 행정동(30개 법정동)이 있으며, 구청은 광주광역시 남구 봉선로 1(주월동)에 있다.

자연환경

남구의 지형은 무등산에서 이어지는 능선을 따라 동쪽 경계와 서쪽 서구와의 경계를 이루는 지역의 낮은 산지 사이에 자리 잡고 있다. 구의 동쪽 경계를 이루는 산지는 치마봉(205m)에서 쥐봉(195m)을 걸쳐 분적산(412m)∼정광산(353)∼건지산∼죽령산을 지나 지석강으로 이어지면서 낮아진다. 서쪽 경계를 이루는 산지는 옥녀봉(233m)에서 금당산∼황새봉(187m)∼화방산∼송학산∼봉황산을 지나 황룡강으로 낮아진다. 하천은 대촌동을 중앙으로 가로지르는 대촌천을 제외하고는 거의 발달하지 못해 대부분의 지형이 침식에 의해서 형성된 침식지형이다.

황해 연안을 흐르는 제주해류(황해해류) 및 남서쪽에서 이동해 오는 저기압의 영향으로 온난하고 강수량이 많으며, 전남평야와 남령산지의 경계지대에 위치하므로 양 지역의 점이형(漸移型) 기후를 나타낸다.

연평균기온은 13.6℃이며, 1월 평균기온은 -0.0℃, 8월 평균기온은 26.1℃로 연교차(年較差)는 26.2℃이다. 강수량은 연중총량 1,289㎜로 3∼5월에 18%, 6∼9월에 59%의 비가 내리며, 연강수 일수는 133일 정도이다.

바람은 북서풍과 서풍이 많으며, 여름철에는 남동쪽을 가로막고 있는 무등산지의 영향으로 남풍과 서풍이 많고, 계절풍은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겨울에는 북서계절풍, 여름에는 남서계절풍이 분다.

역사

효덕동 · 유덕동 · 서창동에서 발견된 유적, 유물은 청동기시대의 민무늬토기편과 석기류 등이 발견되어 그 이전에도 극락강 부근의 구릉지대가 아주 오래 전부터 사람들의 생활무대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백제시대에 노지(奴只)라 하였다가 나중에 무진군이라 고쳤고, 통일신라시대에 무진주(武珍州)을 두었다. 757년(경덕왕 16)에 무주(武州)라 개칭하였으며, 892년에 견훤이 이곳에 후백제를 세웠고, 899년에 무주에서 전주로 옮겼다.

940년(태조 23)에 무주를 광주로 고쳤고, 995년 광주자사로 강등, 나중에 해양현으로, 익주로, 광주목으로, 화평부로, 무진주로, 광주목으로 이름이 자주 바뀌었다.

1430년 광주목이 무진군으로, 1451년 광주목으로, 1489년 광산현으로, 이후 다시 광주목으로 강등과 승격이 자주 발생하였다.

1896년 광주군에 전라남도 관찰부를 두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광주군은 15면 152리를 관할하게 되었는데, 서구지역은 극락면과 서창면에 속하게 되었다. 1917년 광주면이 지정면이 되었고, 1930년에 서구지역인 극락면 송정이 화정리로 개칭되었다. 1931년 광주면이 광주읍으로 승격하였고, 1935년 4월 1일에 서구지역인 신기리와 내방리가 광주읍에 편입되었다. 10월 1일에 광주읍은 광주부로 승격하였고, 광주군이 광산군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1949년 8월 15일에 광주부를 광주시로 개칭하였고, 1955년 7월 1일 광산군의 서방면, 효지면, 극락면, 석곡면 일부를 광주시에 편입하였다. 1955년 7월 1일 4개 출장소를 개설하였는데 서구지역은 유림출장소의 관할 하에 있었다. 1973년 7월 1일 구제 실시에 따라 중부 · 동부 · 북부출장소를 통합하여 동구, 남부 · 서부 · 지산출장소를 통합하여 서구를 두었는데, 서구는 46개 동을 관할하였다.

1995년 3월 1일 양림동 외 17개 동으로 남구를 개청하였다. 1995년 3월 1일 봉선동을 봉선 1·2동으로 분동, 1995년 4월 20일 광산구 대촌출장소 관할 구역을 편입하여 대촌동으로, 백운 2동 일부(백운동 651, 652번지 일대)를 주월 2동에 편입하였다. 1998년 10월 1일 동 통폐합으로 사구동과 서 1·2동을 사직동으로 통합하고 2000년 6월 30일 동 통폐합으로 월산 1·2·3동을 월산동으로 통합하여 현재 16개 동을 관할하고 있다.

유물 · 유적

문화유산으로 (전)광주성거사지오층석탑(보물, 1963년 지정), 덕림사지장보살과시왕상 일괄(보물, 2021년 지정)이 있고,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으로 광주향교, 지산재, 제봉문집목판, 포충사소장고경명문적, 기대승종가소장문적, 오웬기념각 등이 있다. 광주향교는 1985년, 지산재는 1979년, 제봉문집목판은 1992년, 포충사소장고경명문적은 1994년, 기대승종가소장문적은 1994년, 오웬기념각은 1998년에 전부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국가무형유산은 광주칠석고싸움놀이가 있고, 광주광역시 시도무형유산으로 필장, 판소리고법, 판소리춘향가(동초제) 등이 있다. 광주칠석고싸움놀이는 1970년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고, 필장은 2005년, 판소리고법은 1995년, 판소리춘향가(동초제)는 2000년에 전부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기념물로는 포충사(광주광역시 기념물, 1974년 지정) 칠석동은행나무(광주광역시 기념물, 1979년 지정), 고씨삼강문(광주광역시 기념물, 1985년 지정), 우일선선교사사택(광주광역시 기념물, 1989년 지정), 양림동호랑가시나무(광주광역시 기념물, 1985년 지정), 괘고정수(광주광역시 기념물, 1998년 지정) 등이 있다.

민속문화유산은 이장우가옥, 최승효가옥, 필문이선제부조묘 등이 있다. 이장우가옥은 1989년 광주광역시 민속문화재(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고, 최승효가옥은 1989년 광주광역시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필문이선제부조묘는 1990년 광주광역시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문화유산자료는 고원희가옥, 양과동정, 부용정, 임암동,원산동선사주거지및석곽묘, 양과동계고문서 등이 있다. 고원희가옥은 1987년, 양과동정은 1990년, 부용정은 1990년, 임암동,원산동선사주거지및석곽묘는 1992년, 양과동계고문서는 1992년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다.

교육 · 문화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22개교, 중학교 15개교, 고등학교 17개교, 특수학교 1개교, 기독간호대학, 송원대학교, 호남신학대학교, 광주대학교가 있다. 공공도서관은 시립사직도서관, 금호교육문화회관, 남구문화정보도서관이 있다.

의료시설은 종합병원 1개, 병원 8개, 의원 102개, 치과병(의)원 57개, 한방병(의)원 2개, 한의원 26개, 보건소 1개, 보건진료소 2개가 있다. 사회복지시설과 아동복지시설은 형제사와 신애원이 있고, 장애인복지시설은 귀일민들레집과 소화천사의집이 있다. 노인복지시설은 전남성로원과 성요셉양로원이 있고, 여성복지시설은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 인애복지원, 인애모자원, 인애자립원이 있다. 청소년수련시설은 남구청소년수련관이 있다. 공원은 도시공원 34개, 어린이공원 20개, 근린공원 14개가 있다. 묘지 및 납골시설은 기독교공원묘지와 천주교공원묘지가 있다.

남구의 문화시설은 종합문화예술회관, 시민회관, 광주영상예술센터, 광주공원노인복지회관, 남구노인복지회관, 남구문화원, 임방울국악원, 고싸움전수관 등이 있다.

남구종합문화예술회관은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여가선용을 위해서 문화 복지 공간의 확충을 위해 ‘문예회관’, ‘도서관’, 그리고 ‘청소년수련관’의 기능을 종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공간으로 402석의 공연장 홀과 각종 예술품을 전시할 수 있는 다목적실을 갖추고 있다. 이 공간은 주민들이 문화예술을 가까이 접할 수 있는 장으로 활용되고, 지식정보를 얻을 수 있는 유익한 시설로 주민화합에 기여할 수 있는 공공의 생활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민속

남구의 민속놀이는 현재 대촌동 칠석마을에 고싸움놀이와 석전(石戰)이 전해지고 있다. 고싸움은 민속놀이로서 해마다 정월 열흘 경부터 시작하여 16일에 절정을 이루고, 2월 초하루에 끝을 맺는 세시풍속놀이의 하나이다. 이 민속놀이는 1945년을 전후하여 그 자취를 감추었으나, 1969년에 발굴해 재현하였고, 1970년에는 우리나라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고싸움놀이는 우리나라 민속놀이 중에서 가장 투지가 넘치는 격렬한 놀이로 세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첫째, 종교적 기능이다. 고싸움에 이겨야 풍년이 든다는 믿음은 놀이에 참가하는 사람들을 적극적으로 만들었다. 둘째, 사회적 기능으로 마을 사람들을 통합시키고 협동심을 기를 수 있게 해주었다. 셋째, 농악대의 우수함을 과시하는 예술적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석전은 돌팔매질을 하여 승부를 겨루는 놀이로 ‘편싸움’ 또는 ‘척석희(擲石戲)’라고도 하며 정월 초순이나 한식, 단오에 주로 하였던 민속놀이이다. 이 놀이는 옛날 사람들이 동물을 사냥할 때 추적하는 능력이 약하여 도구를 사용하여 이를 대신했는데, 그중 하나가 돌팔매질이며, 이것이 발전하여 석전이 되었다고 한다.

설화 · 민요

성거산이라 불리는 지금의 광주공원을 둘러싼 전설이 남구에 전해지고 있다. 성거산의 형상이 마치 거북이와 같아서 상서로운 동물인 거북이가 광주의 정기를 안고 있다고 믿은 사람들은 만일 거북이가 멀리 떠난다면 광주가 발전할 수 없을 것이라고 믿었다고 한다. 이에 거북이를 광주에서 떠나지 못하게 하기 위해 목덜미에 성거사를 세우고 오층석탑을 눌러 세웠다고 한다. 그러자 거북이는 광주를 떠나지 않았고 오늘의 번영과 발전이 계속되는 것이 바로 거북이의 덕이라고 전하고 있다.

양림동의 개비(碑)에 대한 전설은 다음과 같다. 양림동 오거리에서 사직공원 쪽으로 50m 지점에 있는 개의 비는 광주 정씨인 양촌이 자신이 길렀던 명견의 넋을 달래기 위해 세운 것이다. 이 개는 양촌이 써주는 상소문이나 조정에 보내는 각종 문서를 보자기에 싸서 목에 걸고 가서 전하는 심부름을 사람 이상으로 해냈다는 것이다.

산업 · 교통

1970년대 초 광주시에 산재되어 있는 소규모 연탄공장을 집약하여 도심의 공해를 해소하고 연료공급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연탄단지를 조성하였고, 1980년대 송암공단이 완공되어 남구의 유일한 공업단지가 되었다. 운수업 및 자동차 정비업체를 중심으로 약 60여 개의 업체가 성업 중에 있다.

남구의 사업체수는 1만 1187개로 농업 및 임업 1개, 광업 2개, 제조업 620개, 전기, 가스 및 수도 사업 3개, 건설업 368개, 도매 및 소매업 2,838개, 숙박 및 음식점업 1,819개, 운수업 1,308개, 통신업 26개, 금융 및 보험업 94개, 부동산 및 임대업 402개, 사업 서비스업 219개,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34개, 교육서비스업 726개, 보건 및 사회복지사업 319개, 오락, 문화 및 운동관련 산업 563개, 기타 공공, 수리 및 개인서비스업 1,845개 등이다.

교통은 광주시 남부의 관문을 담당하고 있는 지역으로 국도 1호선이 구의 중심부를 남북으로 관통하고 있으며, 순환도로와 백운교차로에서 교차하고 있고, 제2순환도로가 구의 중심부를 동서로 관통하여 교통이 매우 편리한 지역이다. 경전선이 효천역을 통과하고 있다.

관광

남구의 관광자원은 자연자원보다는 문화자원이 더 풍부한 곳이다. 포충사와 광주향교, 광주공원, 사직공원, 양림동의 기독교 선교 초기의 유산 등이 있다.

포충사는 임진왜란 당시 호남 지방에서 최초로 의병 7천명을 모집하여 금산전투에서 장렬히 순절한 고경명, 고종후, 고인후 삼부자(三父子)와 유팽노, 안영 등 5위(五位)의 충절을 기리기 위한 사액사당으로 대원군의 서원철폐 때에도 장성의 필암서원과 함께 훼철되지 않았던 전남지방 2대 서원(書院) 중 하나이다.

광주향교는 구동 광주공원과 사동 사이에 있다. 향교의 본 위치는 장원봉 아래에 있었으나 호환(虎患)이 심하여 성 안으로 옮겼다. 그러나 저습한 데다 좁고 퇴락하여 1488년에 현 위치로 다시 옮겨지었다. 광주향교에는 대성전(大成殿), 명륜당(明倫堂), 동 · 서재(東 · 西齋), 내삼문(內三門), 외삼문(外三門), 문회재(文會齋), 양사재(養士齋) 등의 건물이 있다.

동(洞)
  1. 양림동(楊林洞)

조선 중기 광주목 부동방면 지역이었고, 1914년 행정구역의 통폐합에 따라 광주군 부동방면 양림 · 방림 · 원지 · 신사리 각 일부를 합쳐 효천면 양림리가 되었다. 1923년 광주면 양림리가 되었으며, 1947년 양림동으로 개칭되었다. 1995년 3월 1일 남구 신설로 남구 양림동으로 되었다.

1904년 미국 남장로교 유진벨(배유지), 오웬(오원) 등 선교사들이 들어와 교회와 수피아여학교 및 그라함병원(현 기독교병원)을 개설되어 세칭 서양촌으로 불려졌다.

기독병원, 사직도서관, 기독간호대학, 호남신학대학교 등이 있다.

  1. 방림동(芳林洞)

조선 중기에 광주목 부동방면에 속했으며, 1912년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에는 광주군 부동방면 방림리에 해당되고,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광주군 효천면 양림리의 일부가 되었다. 1931년 읍면제의 실시로 광주면 방림정이 되었으며, 1952년 광주시 방림동이 되었다. 1970년 방림동을 방림 1동과 방림 2동으로 분동하였고, 1995년 3월 남구 신설로 남구에 편입되었다.

1980년 중반 방림 · 봉선지구가 대단위 택지로 개발되어 아파트들이 들어서면서 인구가 급증하였다.

  1. 봉선동(鳳仙洞)

조선 중기 광주목 부동방면과 옹정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광주군 도천면과 부동방면 일부를 합해서 광주군 효천면 봉선리가 되었다. 1935년 효천면과 지한면이 통합하면서 효지면이 되어 효지면 봉선리가 되었다. 1955년 광주시로 편입되어 봉선동이 되었다. 1961년 남부출장소 관할 봉주동 내의 봉선동이 되었고, 1970년 봉주동에서 분리되어 방림 2동 관할로 이관되었다. 1990년 방림 2동에서 분동하여 봉선동이 되었고, 1995년 3월 1일 남구 신설로 남구로 편제되고 봉산동은 봉산 1동과 봉선 2동으로 분리되었다.

1984년부터 서민주택공급을 위한 택지로 방림 · 봉선지구가 개발되면서 인구가 크게 늘었다. 개발초기에 주택 수에 비해 도로 등 공공시설 용지가 부족해서 교통 혼잡과 근린공원의 부족에 시달렸으나 현재는 대남로와 인접해있고 주거지구내 이면도로도 잘 발달되어 있으며, 교육 및 의료시설도 잘 갖춰져 있다. 남구청, 남구보건소, 남부경찰서 등 행정관서가 밀접해 있다.

  1. 사직동(社稷洞)

조선 중기 광주목 부동방면에 속하였고,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광주군 공수방면과 도천면 각 일부를 합하여 광주군 효천면 교사리가 되고 광주면 지역은 부동방면과 고수방면 각 일부를 합하여 광주면 향사리라 하였다. 1923년 효천면 교사리가 광주면으로 되었고, 1930년 광주읍 승격 후 구강정, 사정, 서정이 되었다. 1947년 구동, 서동, 사동으로 하였고, 1952년 사동과 구동을 합해 사구동, 서동이 되었다. 1970년 서동을 서 1·2동으로 분동하였고, 1973년 서구 서 1동, 서 2동, 사구동이 되었고. 1995년 남구신설로 남구로 이관되었고, 1998년 사구동, 서 1동, 서 2동을 통합하여 사직동을 신설하였다.

사직동은 광주시가지의 서편 광주천 건너지역으로 공원과 향교가 있어 광주시내에서 가장 고색창연한 지역이다.

  1. 월산동(月山洞)

1759년 『여지도서』에 기록된 옹정면과 공수방면의 일부 지역이었으며, 1912년 지방행정명칭일람에 의하면 광주군 도천면 월산리, 신촌리, 공수방면 덕림리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의해 도천면 일부를 통합하여 효천면 주월리, 공수방면과 도천면 일부를 통합하여 효천면 교사리가 되었다. 1935년 광주부로 승격하면서 광산군 효천면의 교사, 양림, 봉선, 벽도, 주월 등 14개를 편입하여 월산정으로 편제하였다. 1947년 8월 15일 월산정은 월산동으로 개칭되었다. 1970년 월산동은 월산 1·2·3동으로 분동되고, 1973년 서구에 편제되었다. 1979년 5월 1일 월산 2동을 월산 2·4동으로 분동하고, 1985년 월산 4동을 월산 4·5동으로 분동하였다. 1995년 남구신설로 남구로 편제되고 2000년 6월 30일 월산 1·2·3동을 통폐합하여 월산동, 월산 4동, 월산 5동으로 편제되었다.

월산동은 수박등과 덕림산을 이어지는 산등 구릉지를 중심으로 형성된 지역이다. 제2순환도로인 대남로가 대동맥 역할을 하는 지역으로 월산동과 월산 4·5동은 수박등을 경계로 나뉘고, 월산 4·5동은 대남로가 동을 관통하고 있다.

금호교육문화회관, 광주문화방송(주) 등이 있다.

  1. 백운동(白雲洞)

1759년 『여지도서』에 기록된 부동방면, 공수방면, 옹정면의 일부 지역으로 1789년 호구총수에는 광주목 서면 이교로 기록되어 있다. 1912년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에는 광주군 도천면 백운리와 부동방면 벽도리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효천면 벽도리와 교사리가 되었고, 1923년 광주면 확장으로 효천면 교사리가 편입되면서 백운리는 광주면 지역이 되었다. 1935년 광주부로 승격하면서 광산군 효천면 벽도리를 편입하여 백운으로 하여 광주부 백운정으로 편제되었다. 광복 후 백운동이 되었고, 1973년 서구 백운동이 되었다가 1985년 백운동을 백운 1·2동으로 분동하였다. 1995년 남구로 편제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백운동은 서쪽으로 독립로, 남쪽으로 대남로, 북쪽으로 중앙로가 연결되어 교통이 편리한 지역이다. 남쪽에 백운동교차로가 있어 광주의 남쪽의 관문 역할을 하여 교통이 매우 복잡하다.

  1. 주월동(珠月洞)

1759년 『여지도서』에는 광주목 옹정면에 속했고,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광주군 도천면과 효유동면 및 부동방면 일부가 효천면으로 통합되면서 광주군 도천면 일부가 광주군 효천면 주월리가 되었다. 1935년 주월리 일부를 광주읍에 편입하였고, 1955년 광산군 효지면 주월리가 광주시에 편입되어 광주시 주월동이 되었다. 1957년 봉선동과 주월동을 합한 봉주동이 되었고, 1973년 서구에 편제되고 봉주동을 주월동으로 개칭하였다. 1985년 11월 1일 주월동을 주월 1·2동으로 분동하였고, 1995년 남구청 신설로 남구에 편제되었다.

원광대한방병원과 광주지방보훈청이 있다.

  1. 효덕동(孝德洞)

조선시대 광주목 효우동면과 옹정면에 속하였고, 1912년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에는 광주군 효우동면과 도천면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효천면으로 통폐합되었다. 1935년 효천면과 지한면이 통합되면서 광주군 효지면에 속하게 되고, 1935년 광산군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가 1955년 광주시에 편입되어 진월출장소 관할이 되었다. 1957년 효덕동을 설치하여 관할하였고 1961년 효덕동이 되었다.

효덕동은 광주 남쪽의 관문으로 교통이 매우 편리한 지역으로서 전남지역 통근자들의 주거지로 각광받고 있다. 서남로와 제2순환도로가 연결되어 광주 도심과 외곽으로 연결이 좋은 교통요충지이다.

효덕동 관할구역은 진월동, 노대동, 덕남동, 행암동이다.

  1. 송암동(松岩洞)

1759년 광주목 효우동면, 유등곡면, 선도면에 속하였고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당시 효천면으로 통폐합되었고, 1935년 효천면과 지한면이 통합되어 효지면이 되면서 효지면 송하리와 임암리가 되었다. 1955년 광주시 진월출장소 임암동과 송암동이 되었고, 1957년 송암동을 설치하여 송하동과 임암동을 관할하였다. 1986년 서구로, 1995년 남구로 편제되었다.

1970년대 초 광주시에 산재되어 있는 소규모 연탄공장을 집약하여 도심의 공해를 해소하고 연료공급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연탄단지를 조성하였고, 1980년대 송암공단이 완공되어 남구의 유일한 공업단지가 되었다. 운수업 및 자동차 정비업체를 중심으로 약 60여 개 업체가 성업 중에 있다. 광주철도 이설공사로 효천역이 새로이 들어섰다.

  1. 대촌동(大村洞)

고려시대에 양과부곡이 있었고, 1759년 『여지도서』에는 광주목 유등곡면, 칠석면, 대지면, 계촌면 지역이었다. 1914년 통폐합으로 4개 면이 통합하여 대촌면으로 명명하였다. 1935년 광주읍이 광주부로 승격하면서 광산군으로 편제되었고, 1957년 광주시에 편입되어 대촌출장소가 되었다. 1963년 대촌출장소 관할 송석동, 등룡동, 학승동을 광산군 대촌면으로 편제하였다. 1995년 남구의 구역확장으로 광산구 대촌출장소를 남구 대촌동으로 편제하였다.

대촌동은 국도 1호선과 경전선 철도가 지나가고 있으며, 남구 면적의 58%를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 농경지로 이용되어 영산강유역을 중심으로 비닐하우스를 통한 대단위시설원예농업이 발달하였다.

참고문헌

『호구총수(戶口總數)』(1789)
『한국지리지: 전라·제주편』(국토지리정보원, 2004)
『광주 남구마을(동)지』(광주광역시 남구문화원, 2002)
『민속지』(광주광역시 남구문화원, 2001)
『문화유적』(광주광역시 남구문화원, 2001)
『광주·전남의 역사』(무등역사연구회, 2001)
『광주의 자랑』(광주광역시, 2001)
『광주의 재래시장』(광주민속박물관, 2001)
『광주의 민요』(광주민속박물관, 1999)
『광주역사』(광주광역시사편찬위원회, 1998)
『광주시사』(광주광역시사편찬위원회, 1997)
『광주동연혁지』(한국향토문화진흥원, 1991)
『광주의 문화유적』(광주직할시, 1990)
『광주의 전설』(광주직할시, 1990)
『한국지명요람』(건설부국립지리원, 1983)
남구(www.namgu.gwangju.kr)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