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관련 정보
훈민정음언해 / ㄱ
훈민정음언해 / ㄱ
언어·문자
개념
한글 자음에서 첫 번째로 등장하는 글자. 기역.
이칭
이칭
기역
목차
정의
한글 자음에서 첫 번째로 등장하는 글자. 기역.
내용

국어의 자음 가운데, 목젖으로 콧길을 막고 혀뿌리[舌根]를 높여 연구개(軟口蓋)를 막았다가 뗄 때 나는 소리, 즉 연구개 파열음을 표기하는 데 쓰인다.

그래서 해례본 제자해(制字解)에서는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은 모양을 본떠서(象舌根閉喉之形) 이 글자를 만들었다고 설명하고, 이 소리를 아음(牙音)의 전청음(全淸音)에 소속시켜, 이 소리가 무성 · 무기음(無聲 · 無氣音)인 것을 보였다.

그러나 이 소리는 어두(語頭)에서는 무성음으로 나고, 어중(語中)의 유성음 사이에서는 유성음으로 나며, 음 절의 말음 자리에서는 연구개를 막은 혀뿌리를 떼지 않은 상태로 그친다.

ㄱ음에 대하여 『훈민정음』 본문 예의편(例義篇)에 의하면 “ㄱ은 어금닛소리니 군(君)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ㄱ 牙音 如君字初發聲).”라고 풀이하였고, 『훈민정음언해』에서는 “ㄱᄂᆞᆫ : 엄쏘 · 리 · 니 君군ㄷ字 · ᄍᆞᆼ · 처 · ᅀᅥᆷ · 펴 · 아 · 나ᄂᆞᆫ 소 · 리 · ᄀᆞᄐᆞ · 니라”라고 설명하였다.

『훈몽자회』 범례에 처음으로 자모의 이름이 보여서 초성종성통용팔자(初聲終聲通用八字)란에, ‘ㄱ 其役(기역)’이라고 적혀 있다. 한글 자모의 첫 글자이면서 쉬운 글자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속담에서 아주 무식한 사람을 일컬을 때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고 하여, 낫의 모양이 기역(ㄱ)자처럼 생겼는데도 그렇게 쉬운 글자조차 모르는 사람을 비유하는 데 쓰고 있다.

ㄱ자는 훈민정음이 창제된 무렵에는 국어의 초성, 종성뿐만 아니라, ㆁ으로 끝나는 한자 아래에서 ‘兄ㄱᄠᅳ디’( 용비어천가 8장)처럼 속격조사의 표기에도 쓰였다.

참고문헌

『훈민정음해례(訓民正音解例)』
『훈몽자회(訓蒙字會)』
『국어학개설』(이희승, 민중서관, 1955)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강신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