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서린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황해도관찰사, 대사헌, 동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희성(希聖), 응성(應聖)
휴암(休巖)
시호
문헌(文獻)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83년(성종 14)
사망 연도
1541년(중종 36)
본관
창원(昌原)
주요 관직
황해도관찰사|대사헌|동지중추부사
정의
조선 전기에, 황해도관찰사, 대사헌, 동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희성(希聖) · 응성(應聖), 호는 휴암(休巖). 공숙(孔俶)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공제로(孔悌老)이고, 아버지는 공의달(孔義達)이며, 어머니는 박원인(朴元仁)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07년 생원이 되고, 그해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1509년(중종 4) 좌랑으로서 정전예연(正殿禮宴)에서 여악(女樂)을 쓰지 말 것을 건의하였고, 사전체제(祀典體制)를 정비할 때 강경서(姜景敍) · 김안국(金安國)과 더불어 기신재(忌晨齋) 혁파에 노력하였다.

1511년 사간원정언을 거쳐 홍문관부수찬 · 수찬 · 사헌부지평을 역임하였다. 1516년 장령으로 경연(經筵)에 참석하여 노산군(魯山君)과 연산군의 입후문제(立後問題)를 제기하였고, 이듬해 시강관(侍講官)으로 경연에 참석하여 언로(言路)의 확장을 주장하였다.

1518년 『성리대전』을 강독할 능력이 있는 인물로 선발되었고, 승지로 대간을 논박하였다는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물러났다. 1519년 좌승지로 다시 서용되었으나, 기묘사화로 조광조(趙光祖) 등 사림파 인물과 함께 투옥되었다가 곧 풀려났다.

1524년 남곤(南袞)의 주청으로 공조참의가 되었고, 그뒤 파주목사 · 황해도관찰사 · 대사헌 · 동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관직생활은 절검에 있었고, 뒤에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다. 성품이 자상하고 온아하였으며, 사림파의 무죄를 주장하였다.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참고문헌

『중종실록(中宗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국조방목(國朝榜目)』
『청선고(淸選考)』
『대동야승(大東野乘)』
『기묘제현전(己卯諸賢傳)』
『해동잡록(海東雜錄)』
『기묘록보유(己卯錄補遺)』
집필자
이병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