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상훈 ()

일제 주요감시대상 인물카드 곽상훈 전후면
일제 주요감시대상 인물카드 곽상훈 전후면
정치
인물
일제강점기 때, 동래 3·1운동 및 신간회 활동 등 독립운동을 하다가 해방 이후, 국회의장, 대통령 권한대행 등을 역임한 정치인 · 독립운동가.
이칭
삼연(三然)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6년(고종 33)
사망 연도
1980년
출생지
부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곽상훈은 동래3·1운동 참가, 신간회 활동 등 독립운동을 하다가 해방 이후 국회의장, 대통령 권한 대행 등을 역임한 정치인, 독립운동가이다. 1896년 부산 동래 출신으로, 1919년 고교 재학 중 고향으로 내려가 3·1운동에 참가하다 체포되어 8개월간 옥고를 치렀다. 1920년대 후반, 항일단체인 신간회에 들어가 검찰위원으로 활약했다. 해방 후 '반민족행위자처벌법' 검찰 차장을 지냈다. 2대∼5대 민의원, 1960년 4·19 직후 대통령권한대행, 같은 해 민의원 의장 등을 역임하였다. 5·16군사정변 당시 민주당 탈당 후 박정희 정권을 지지해 비난을 받았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동래 3·1운동 및 신간회 활동 등 독립운동을 하다가 해방 이후, 국회의장, 대통령 권한대행 등을 역임한 정치인 · 독립운동가.
개설

부산 동래 출신. 호는 삼연(三然). 1948년 제헌의원부터 2대∼5대 민의원에 당선 되었다. 국회 전원위원장, 민주당 최고위원, 민의원의장 등을 지냈다. 4 · 19 직후 1960년 대통령권한대행을 잠시 지냈다. 통일원고문 · 육영재단 이사장를 지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19년 경성고등공업전문학교 재학 중 독립선언서를 지참하고 고향인 동래로 내려가 3 · 1운동에 참가, 동래에서 학생만세운동을 조종하다가 체포되어 8개월간 미결수로 옥고를 치렀다. 당시 경인선 열차를 중심으로 계속 일본인 학생과의 싸움을 주동하다가 일본 경찰로부터 그의 고향인 동래지역으로 주거제한을 받았다. 이때 타락생활을 극복하라는 뜻으로 선배로부터 선물받은 아호가 ‘삼연’이다. 삼연은 산자연(山自然) · 수자연(水自然) · 아자연(我自然)으로 ‘인생을 느긋하게 태어난 대로 살아가라’는 뜻이다.

1920년대 후반, 항일단체인 신간회(新幹會)에 들어가 검찰위원으로 활약했다. 일본의 관동대지진 때는 한국인 희생자의 명단을 입수하고, 한국인 학살사건의 진상기록을 수집하였으며, 그로 인해 상해로 망명생활을 하였다.

귀국 후 일본의 예비검속에 걸려 대구경찰서 유치장에서 광복을 맞았다. 광복 후 바로 한국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였으나, 1948년 제헌국회의원 선거 때 후보공천 탈락에 불만을 품고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49년 「반민족행위자처벌법」이 제정되자 검찰차장에 임명되어 친일분자 색출에 힘썼다. 1950년 제2대 민의원의원에 당선되어 전원위원장(全院委員長)을 지냈으며, 1954년 제3대 민의원의원에 당선되어서는 부의장에 뽑혔다. 제헌 및 제2대 의원 때는 원내활동을 하면서 이승만 정권을 지지하였으나, 제3대 국회에서는 반독재 · 민주수호에 앞장섰다.

1955년 민주당 최고위원이 되고, 1958년 제4대 국회의원에 당선, 1960년 4 · 19자유당 국회가 마비되자 개헌국회의 의장으로 보선되었다. 그 해 6월 16일부터 허정(許政) 과도정부가 들어선 22일까지 1주일 동안 법에 따라 대통령 권한대행의 직무를 맡았다.

그 해 7월 제5대 민의원 의원에 당선, 제5대 민의원 의장이 되었다. 민주 당내 신 · 구파의 정쟁에서는 신파의 장면(張勉)을 지지하였다.

국회의장의 자격으로 여러 나라를 순방 친선사절단을 이끌고 여행하던 중 5 · 16군사정변을 맞았다. 1961년 5월, 귀국 즉시 민주당을 탈당, 정계에서 일단 은퇴한 뒤 박정희 정권 지지로 변신하였고, 이로 말미암아 동지들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1969년 통일원고문과 육영재단이사장에 취임하고, 1971년 한국장학재단 이사장직을 맡았다. 1973년 유신헌정(維新憲政)의 출범과 함께 통일주체국민회의에 들어가 그 운영위원회 위원장이 되었다. 1980년 1월 서울 우이동 자택에서 85세로 사망했으며, 사회장으로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상훈

1969년에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받았다

참고문헌

『(20세기)부산을 빛낸 인물(2)』(부산광역시, 2005)
『삼연곽상훈선생사회장보고서(三然郭尙勳先生社會葬報告書)』(통일주체국민회의, 1980)
『한화(閑話)』(서울경제신문, 1979)
『원로(元老)와의 대화(對話)』(서울신문, 1978)
『나의 초대민의원시절(初代民議員時節)』(한국일보, 1975)
『내가 겪은 이십세기(二十世紀): 백발(白髮)의 증언(證言) 원로(元老)와의 대화(對話)』(경향신문사, 1974)
『정계비사, 사실(事實)의 전부(全部)를 기술(記述)한다』(곽상훈, 희망출판사, 1966)
『내가 걸어온 길 내가 걸어갈 길:나의 정치백서(政治白書)』(신태양사, 1957)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제재형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