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성곡 ()

목차
현대음악
개념
아리아 · 레치타티보 · 중창 · 합창 등으로 이루어진 대규모 성악곡. 칸타타(Cantata).
이칭
이칭
칸타타(Cantata)
목차
정의
아리아 · 레치타티보 · 중창 · 합창 등으로 이루어진 대규모 성악곡. 칸타타(Cantata).
내용

칸타타(Cantata)의 번역어이다. 1930년대 일본어의 번역에서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칸타타의 어원은 17세기 이탈리아에서 비롯되었는데 ‘노래부르다’라는 말에서 시작된 것이다.

원래 칸타타는 교회를 중심으로 한 교회칸타타와 실내칸타타 등으로 나누어졌다.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창작, 발표되어 교성곡이라는 이름으로 쓰인 작품으로는, 1948년 채동선(蔡東鮮)의 「한강(漢江)」·「조국」·「조선진혼곡(朝鮮鎭魂曲)」 등이 있었으나, 「한강」만이 1948년에 초연되었고 「조국」은 1966년 방송에 의하여 발표되었다.

1958년 정부수립 10주년을 계기로 정부가 위촉하여 김동진(金東振)의 「국군은 죽어서 말한다」, 김성태(金聖泰)의 「비바람 속에서」가 발표되었으며, 1960년대의 작품으로는 이남수(李南洙)의 「삼월의 함성」, 김규환(金奎桓)의 「조국」 등이 있다.

윤용하는 1940년대 만주에서 「조선의 사계(四季)」라는 교성곡을 피아노반주로 발표한 바 있다. 1975년 광복 30주년 기념으로 공석준(孔錫俊)의 「민족의 행진」이 정부 위촉으로 작곡되었다.

참고문헌

『문예총감(文藝總鑑)』(한국문화예술진흥원(韓國文化藝術振興院), 1976)
『한국현대문화사대계(韓國現代文化史大系)』(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74)
『한국연예연감(韓國演藝年鑑)』(1965)
History of Music(Oxford Press)
집필자
이상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