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연구학회 ()

언어·문자
단체
1908년(순종 2) 주시경(周時經)이 국어를 연구할 목적으로 조직한 학술단체.
정의
1908년(순종 2) 주시경(周時經)이 국어를 연구할 목적으로 조직한 학술단체.
개설

주시경의 이력서에 의하여 ‘국문연구회(國文硏究會)’ 혹은 ‘국문연구학회(國文硏究學會)’로 알려져 왔으나, 이규영(李奎榮)이 편찬한 『한글모죽보기』가 발견됨으로써, 이 단체의 정확한 명칭과 연혁이 밝혀졌다.

연원 및 변천

창립총회는 1908년 8월 31일 돈의문봉원사(奉元寺)에서 하기국어강습소 졸업생들과 국어연구에 뜻이 있는 사람들이 모여 열었다. 이날 김정진(金廷鎭)을 회장으로 뽑고, 사립청년학원(私立靑年學院)에 학회의 위치를 정했다.

그 뒤 관립사범학교 교수, 부속보통학교 훈도, 사범학교 학생, 관립고등학교 학생, 사립학교 교사 및 학생, 그리고 기타 뜻을 같이하는 청년들이 다수 입회하여 학회의 규모가 커졌다. 그리하여 평의회를 구성하고 학회를 당국에 청인(請認)하자는 주시경의 동의가 있었으나, 1911년 9월 조선언문회의 창설과 함께 폐지되었다.

기능과 역할

국어연구학회는 산하에 ‘강습소’를 설립하여 국어강습활동을 펼치는 한편, 주시경을 문전저술위원(文典著述委員)으로 선임하여 문법서의 저술계획을 세우고, 또 고어 및 방언의 채집도 의논하였다. 이러한 계획들은 후속단체인 조선언문회가 창설됨으로써 그 결실을 맺게 되었다.

현황

1909년 국어연구학회 산하에 설립된 ‘강습소’는 1911년 조선언문회 산하의 조선어강습원으로 개편될 때까지 2회에 걸쳐서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수업연한은 1년, 수업시간은 매주 일요일 오후, 과정은 소리 · 기갈 · 듬갈이었고, 강사는 주시경이 맡았다.

제1회 강습은 1909년 11월 7일부터 1910년 6월 30일까지의 일정으로, 상동청년학원(尙洞靑年學院)에서 열려 20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제2회는 1910년 10월에 열려 1911년 6월 27일에 끝났는데, 최현이(崔鉉彛: 최현배의 다른 이름) · 김두봉(金枓奉)을 비롯한 51명이 졸업했다. 장소는 제1회 때와는 달리 사동(寺洞) 천도교사범강습소였으나, 나중에 전동(磚洞) 보성중학교로 옮겨 실시하였다.

참고문헌

『주시경연구(周時經硏究)』(김민수, 탑출판사, 1977)
『주시경전집(周時經全集)』(이기문 편, 아세아문화사, 1976)
「개화기(開化期)의 국어연구단체(國語硏究團體)와 국문보급활동(國文普及活動)」(고영근, 『한국학보』30, 198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