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순장 ()

권순장의 묘
권순장의 묘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시대 병자호란 때, 검찰사 김경징 등과 의병을 일으킨 문신.
이칭
효원(孝元)
시호
충렬(忠烈)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07년(선조 40)
사망 연도
1637년(인조 15)
본관
안동(安東)
관련 사건
병자호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시대 병자호란 때, 검찰사 김경징 등과 의병을 일으킨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효원(孝元). 아버지는 형조참판 권진기(權盡己)이다. 아들이 예조판서 권시경(權是經)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24년(인조 2) 주1가 되고, 음보로 의금부도사 · 건원릉참봉(健元陵參奉) · 빙고별제(氷庫別提)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나가지 않았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어머니를 모시고 강화로 피란갔다. 이 때 검찰사(檢察使) 김경징(金慶徵)과 유수 장신(張紳) 등이 수성대책을 세우지 못하자, 동지들과 단합하여 의병을 일으키고 순사(殉死)할 것을 맹세하였다.

이듬해 정월 성이 함락되자 상신 김상용(金尙容) 등과 함께 화약고에 불을 질러 분사하였다. 이튿날 처와 누이동생이 그 소식을 듣고 목매어 자결하였으며, 아우 권순열(權順悅)과 권순경(權順慶)은 적과 싸우다 전사하였다.

상훈과 추모

조정에서는 지평에 이어 좌찬성에 추증하였다. 강화의 충렬사(忠烈祠)에 향사되었다. 시호는 주2

참고문헌

『인조실록(仁祖實錄)』
『효종실록(孝宗實錄)』
『현종실록(顯宗實錄)』
『고종실록』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천계4년갑자10월13일사마방목(天啓四年甲子十月十三日司馬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想白古351.306-B224s-1624])
주석
주1

진사 급제 : 『천계4년갑자10월13일사마방목(天啓四年甲子十月十三日司馬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想白古351.306-B224s-1624])

주2

시호 근거 : 『고종실록』 20권, 1883년(고종 20) 3월 19일. "직부한 권영수에게 사악하도록 하고 충렬공 권순장의 사판에 치제하도록 하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이장희(성균관대학교,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