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순 ()

경제
인물
해방 이후 한국메리야스수출조합 이사장, 전국경제인연합회 이사 등을 역임한 경제인.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9년
사망 연도
1995년
본관
광산(光山)
출생지
서울
정의
해방 이후 한국메리야스수출조합 이사장, 전국경제인연합회 이사 등을 역임한 경제인.
개설

서울 출신. 1919년 1월 12일서울에서 출생하였고, 서울공민실업학교를 졸업하였다. 경제개발 초창기 섬유산업을 일으키고, 섬유제품의 수출에 기여한 기업인이자 학교법인 심석학원(心石學園)을 설립하여 운영한 육영사업가이기도 하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52년 한성실업주식회사(漢城實業株式會社)를 설립하여 이탈리아에서 원사를 수입 공급하고, 편직공장을 세워 원단을 제조하였는데, 당시 견사와 실크제품이 주종을 이루었다.

1956년 주로 와이셔츠를 생산하여 수출하기 위한 공장을 서울 답십리에서 본격적으로 가동하였다. 당시 주로 미국에 와이셔츠를 수출하였는데, 이것이 업계에서 최초로 미국에 수출신용장을 개설하게 되어 수출시장을 개척하는 데 커다란 기여를 하였다.

우리 나라의 경우 천혜의 자원이 풍부하지 않고 국내 시장이 협소하여 국가 경제발전에 수출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그의 확신에 의해 섬유제품의 수출에 더욱 노력하였다고 한다.

그는 수출환경이 열악한 당시 한국 상품의 인지도와 ‘한성’을 세계에 알린다는 생각으로 미국시장에 진출하였다고 한다. 전성기 때 일본 현지 언론에서 한국 와이셔츠가 일본 시장을 석권하고 있다고 대서특필하는 바람에 광고비를 별도로 들이지 않고도 일본 시장에 진출하여 뿌리내리기도 했다고 한다.

이후 1970대까지는 비약적인 성장을 하여 한성실업을 바탕으로 향후 한성금속·한화섬유 등 여러 기업을 운영하는 기업집단(그룹)으로 성장시켰다. 섬유산업의 수출을 위해 한국메리야스수출조합을 창립하여 초대 이사장을 맡아 섬유산업의 수출에 적극적으로 노력하였다.

이러한 기여도를 인정받아 무역협회 부회장, 증권협회 회장, 재무부장과 고문 등을 역임하였고, 나아가 한국올림픽위원회(KOC) 위원, 한국의류시험검사소(韓國衣類試驗檢査所) 이사장, 전국경제인연합회(全國經濟人聯合會) 이사, 감사 등을 역임하기도 하였다. 특히 그의 강직한 성품으로 증권파동 이후 위기를 수습하고 자본시장의 발전을 위해 증권협회 회장 역할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공적인 활동도 훌륭하게 수행하였다.

그 당시 증권파동을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증권시장을 회생시키고, 나아가 직접금융의 중요한 자본시장으로 육성하는 데 커다란 역할을 했다고 한다. 또한 올림픽위원회 위원을 맡을 때에는 기업이 번 돈을 사회에 환원한다는 차원에서 체육분야에 후원하는 제도를 정착시키는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데도 기여하였다고 한다.

또한 그는 친인척들로 족벌경영 체제를 구축하기보다는 공개채용을 통해 들어와 성실하게 근무한 인재들을 주요 자리에 중용하는 인사제도를 정착시켜 당시 다른 기업집단들의 족벌경영에 경종을 울려주기도 하였다. 아울러 장학생 제도를 두어 각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인재 양성에도 노력하였다고 한다. 기업 외부에서도 인재 양성을 위해 육영사업도 활발하게 하였다.

그 구체적인 결실의 하나로 1972년 학교법인 심석학원(心石學園)을 설립하여 경기도 마석(麻石) 등지에 유치원·중학교·고등학교 등의 이사장을 맡아 육영사업에도 힘을 쏟았다.

기업활동의 현장에서 한발 물러난 이후 경기도 마석에 내려와 생활하면서 직접 육영사업에 혼신의 힘을 기울였다고 한다. 이러한 다양한 활동의 공로를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철탑산업훈장·국무총리 표창 등을 받았다. 종교는 기독교, 취미는 원예였다.

참고문헌

『한경기업정보』(한국경제신문사, 1997)
『재계인사록』(전국경제인연합회, 1990)
『한국재계백인집』(배학철, 한국경제문화사, 1971)
『한국섬유신문』(1991.7.22.)
집필자
이석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