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선정벌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사건
조선 효종 때 조선이 청의 요청으로 러시아를 공격한 사건.
목차
정의
조선 효종 때 조선이 청의 요청으로 러시아를 공격한 사건.
내용

나선은 러시아 사람들, 즉 러시안(Russian)을 한자음으로 옮긴 것이다. 이들은 주2 방면의 풍부한 자원을 탐내어서, 1651년(효종 2) 흑룡강 우안(右岸)의 알바진(雅克薩) 하구에 성을 쌓고 그곳을 근거지로 삼아 모피를 수집하는 등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래서 부근의 수렵민들과 분쟁이 생기고 청나라 군사와 충돌하게 되었다.

이듬 해 러시아인들이 다시 주3 하구에 내려가 성을 쌓고 주4 방면으로 활동 범위를 넓혔다. 이에 청나라에서는 주5에 있는 군사를 보내어 공격, 축출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구식 장비의 청군으로서는 총포를 가진 러시아군을 당하지 못해 번번이 패배하였다.

이에 청나라에서는 조선 조총군의 위력을 잘 알고 있었으므로, 1654년 2월에 청나라 사신 한거원(韓巨源)을 보내어 조총군사 100명을 뽑아 회령을 경유, 3월 10일까지 영고탑에 보내주도록 요구하였다.

조선 정부에서는 영의정 정태화(鄭太和)의 의견에 따라 함경도병마우후 변급(邊岌)에게 조총군 100명과 주1 · 기고수(旗鼓手) 등 50여명을 거느리고 출정하도록 하였다.

그 해 4월 영고탑에 도착한 조선 조총군은 청나라 군사와 합류, 흑룡강 방면으로 떠났으며, 20일에 왈가(曰可) 지방에서 배를 타고 후통강(厚通江)으로 내려갔다.

28일, 흑룡강으로 거슬러 올라오는 러시아군을 만난 조선 조총군들은 맹렬한 공격을 퍼부어 적군의 기세를 꺾고 계속 추격, 적군은 7일 만에 도망갔다. 조선 군사는 전승을 거두고 5월 16일에 회군해 6월에 본국으로 개선하였는데, 이것이 제1차 정벌이었다.

그 뒤에도 러시아군이 흑룡강 방면에서 계속 활동하고 이에 대한 청나라 군사의 출정이 자주 실패로 돌아갔다. 그리하여 1658년 3월 청나라에서 다시 사신을 보내어 조선 조총군의 파견을 요청하였다. 이에 혜산진첨사 신류(申瀏)를 대장으로 삼아 조총군 200명과 초관 · 기고수 등 60여명을 거느리고 정벌에 나섰다.

조선 군사들은 5월에 영고탑에 들어가 청나라 군사와 합류, 흑룡강에 나아갔다. 6월 송화강과 흑룡강이 합류하는 곳에서 러시아 군사를 만났다. 러시아측에서 큰 배 10여척에 군사를 싣고 당당한 기세로 공격하고 육상에서도 적군이 공격을 해오자 청나라 군사는 나아가지 못했다. 그러나 조선 군사가 용감하게 나아가 화전(火箭)으로 적선을 불태우자 흩어져 도망갔다.

이 전투로 흑룡강 방면에서 활동하던 러시아 군사의 주력이 거의 섬멸되었다. 조선 측에서도 8명이 전사하고 25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들은 청나라의 요청으로 얼마 동안 송화강 방면에 머무르다가 그 해 가을 영고탑을 거쳐 개선하였다. 이것이 제2차 정벌이었다.

2차에 걸친 러시아 정벌은 효종의 즉위 후부터 준비해왔던 북벌계획을 간접적으로 실현한 결과였다. 이 때 비록 적은 수의 군사를 보냈으나 큰 전과를 올리게 된 것은 당시 사격술과 전술이 뛰어났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참고문헌

『효종실록』
『비변사등록』
『통문관지』
『오주연문장전산고』
『고사통』(최남선, 삼중당, 1943)
「朝鮮孝宗朝における兩次の滿洲出兵に就いて」(稻葉岩吉, 『靑丘學叢』 15·16, 1934)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한 초(哨)를 거느리던 종구품 무관 벼슬.    우리말샘

주2

러시아와 중국의 국경 부근을 흐르는 강. 몽골 북부의 오논강에서 나와 동쪽으로 흘러 타타르 해협으로 들어간다. 길이는 4,352km.    우리말샘

주3

‘우수리강’의 음역어.    우리말샘

주4

중국 둥베이 지방 길림성(吉林省) 및 흑룡강성(黑龍江省)을 흐르는 강. 백두산 천지(天池)에서 시작하여 북으로 흘러 넌장강과 합류하여 아무르강으로 흐르며, 강기슭에는 길림(吉林) 따위의 도시가 있어 지방 경제의 중심지를 이룬다. 상류의 펑만(豐滿)에는 세계적으로 큰 댐과 인공호인 송화호(松花湖)가 있다. 길이는 1,927km.    우리말샘

주5

중국의 마지막 왕조인 청(淸)의 발상지. 발해 시대에 상경 용천부가 설치되었던 지역이며, 현재의 중국 헤이룽장성(黑龍江省) 닝안현성(寧安縣城) 일대이다.    우리말샘

집필자
김용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