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지가 ()

몽한영고 / 낙지가
몽한영고 / 낙지가
고전시가
작품
조선 중종 때 이서(李緖)가 지은 가사.
정의
조선 중종 때 이서(李緖)가 지은 가사.
구성 및 형식

줄글체 기사형식(記寫形式)에 순한문투의 표기이다. 형식은 모두 4·4조이며,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152구이다. 그의 문집 『몽한영고(夢漢零稿)』에 전한다.

작자는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증손이다. 작자가 1523년(중종 18)을 전후하여 유배지에서 풀려난 뒤에 귀경(歸京)을 단념하고, 전라도 담양 대곡(大谷)에 은거하면서 지은 노래이다.

내용

내용은 만세무궁한 태평성대를 축원하면서, 담주(潭州 : 지금의 전라남도 潭陽)의 경치와 미풍양속을 찬양하고, 거기에 초가삼간을 짓고, 중장통(仲長統)의 ‘낙지론(樂志論)’을 벗삼아 선현의 도를 본받고, 안빈낙도하면서 살아가겠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전고(典故)의 과다한 인용과 추상적인 표현 등이 고루한 감을 주지만, 왕손이 지은 유배가사라는 점에서 이색적이다.

참고문헌

『몽한영고(夢漢零稿)』
「이서(李緖)의 낙지가고찰(樂志歌考察)」(정익섭, 『국어국문학』 24, 1961)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익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