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사지명
단군이 개국한 우리 나라 최초의 국가.
『고조선에 대한 새로운 해석』(김정배,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2010)
『고조선사 연구 100년-고조선사 연구의 현황과 쟁점-』(고조선사연구회·동북아역사재단 편,학연문화사,2009)
『남북 학자들이 함께 쓴 단군과 고조선 연구』(단군학회 편,지식산업사,2005)
『단군과 고조선사』(노태돈 편,사계절,2000)
『단군과 고조선』(이형구 엮음,살림터,1999)
『고조선과 부여의 제문제』(한국고대사연구회,1996)
『북한학계의 단군신화 연구』(서영대 편,1995)
『단군』(윤이흠 외,서울대학교출판부,1994)
『고조선』(유 엠 부찐 저,국사편찬위원회 역,1986)
『단군신화와 민족적 이념』(이홍직,『국사상의 제문제』1,국사편찬위원회,1959)
「고조선」(김정배,『한국사』4,국사편찬위원회,1997)
「고조선의 중심지에 관한 연구」(노태돈,『한국사론』23,서울대학교 국사학과,1988)
「고조선의 재인식」(김정배,『한국사론』14,국사편찬위원회,1985:『한국고대의 국가기원과 형성』,고려대학교출판부,1986)
「단군사회와 청동기문화」(정경희,『한국학보』23,1981)
「아사달의 위치문제와 그 명칭의 의의」(이병도,『한국고대사연구』,박영사,1976)
「고조선의 주민구성과 문화적 복합」(김정배,『백산학보』12,1972:『한국민족문화의 기원』,고려대학교출판부,1973)
「단군신화와 토테미즘」(김정학,『역사학보』7,1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