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피리 (피리)

목차
관련 정보
당피리
당피리
국악
물품
관악기의 하나.
목차
정의
관악기의 하나.
내용

피리는 1076년(문종 30) 당악기인 방향(方響)과 함께 사용되었으며, 그 뒤 1114년(예종 9) 송나라의 신악(新樂)이 들어올 때도 피리가 여러 당악기와 함께 수입되었다. 관(管)은 오래되고 누런 대나무로 만들며, 혀(舌)는 해죽(海竹)의 껍질을 벗겨 만들어서 관에 겹서를 끼워 분다.

『고려사』악지(樂志)에 의하면 당피리(唐觱篥)는 지공(指孔)이 9개이고,『세종실록』권132의 그림에도 9개인데, 그 중 2개는 뒤에 있다. 그러나 『악학궤범』에 의하면 상(上, 즉 仲呂)과 구(句, 즉 蕤賓)의 음은 모두 한 구멍에서 낼 수 있기 때문에 9구멍을 8구멍으로 고쳤다. 그 뒤로 오늘날까지 당피리의 구멍은 향피리와 같이 8개이다.

음역은 황종(黃)에서 청남려(湳)까지 약 1옥타브 반 이상이다. 관대가 크고 혀가 크므로 부는 데 조금 힘이 들지만 음색은 폭넓고 활달하다. 당피리로 연주하는 음악은 「보허자(步虛子)」·「낙양춘(洛陽春)」·「보태평(保太平)」·「정대업(定大業)」·「여민락만(與民樂慢)」·「본령(本令)」·「해령(解令)」등이 있다.

참고문헌

『국역 악학궤범』Ⅱ(민족문화추진회, 1980)
『한국악기대관』(장사훈, 문화재관리국, 1976)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용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