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천군 ()

덕천군읍지안
덕천군읍지안
인문지리
지명
평안남도 북부에 있는 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평안남도 북부에 있는 군.
개관

동쪽은 영원군, 서쪽은 개천군, 남쪽은 맹산군·순천군, 북쪽은 묘향산맥을 경계로 평안북도 영변군과 각각 접하고 있다.

동경 126°06′∼126°34′, 북위 39°20′∼40°00′에 위치하며, 면적 1,039㎢, 인구 4만 6706명(1938년 현재)이다. 6개 면 59개 이로 되어 있으며, 군청 소재지는 덕천면 읍북리이다.

자연환경

평안북도와의 도계를 따라 묘향산맥이 뻗어 용문산(龍門山, 1,180m)·풍덕산(豊德山, 728m)이 있고, 서부에는 월봉산(月峰山, 1,033m)·갈인봉(葛仁峰, 1,088m) 등이 남북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동부에는 낭림산맥의 여맥이 미치고, 남부에는 장안산(長安山, 1,248m)·후선유봉(後仙遊峰, 1,105m) 등이 솟아 있어서, 이 군은 사방이 높은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를 형성하고 있다. 개천군과의 경계에 알일령(戞日嶺, 677m)이 있으며, 이 밖에 금성산(金城山, 571m)·신산(申山, 402m) 등이 있다.

대동강 상류인 마탄강(馬灘江)과 시량강(矢梁江)이 덕천강 본류에 합류하면서 군의 중앙부를 동북에서 서남 방향으로 관통하여 개천군으로 들어간다. 이 강들은 모두가 심한 감입곡류를 이루고, 그 유역에 낮은 구릉 지대가 발달하여 농경지로 이용된다. 꾸불꾸불한 강이 흐르는 곳에는 여울이 많은데 그 가운데 삼탄과 막탄이 유명하다. 지질은 시생대(始生代) 화강편마암계로 되어 있다.

북부 내륙 지방에 위치하여 한서의 차이가 심한 대륙성 기후의 특징을 보여, 연평균 기온 7.9℃, 1월 평균 기온 -11°∼-12℃, 8월 평균 기온 24.3℃ 내외로 여름과 겨울의 연교차가 36℃에 달한다.

연 강수량은 1,142㎜, 서리는 10월 초순부터 이듬해 4월 하순까지 내리며, 얼음은 10월 하순부터 이듬해 4월 초순까지 언다.

역사

[고 대]

평안남도 북방 산간에 있는 이 군은 고조선 때의 역사는 알 길 없고, 고구려 동천왕 때 평안도의 오지로 진출하면서 고구려 세력이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 려]

947년(정종 2) 맹산의 철옹성(鐵甕城), 숙천의 통덕진(通德鎭)과 같이 덕천 땅에 덕성진(德城鎭)이 설치되었다. 이 지방은 고구려 멸망 뒤 통일신라의 세력이 대동강∼원산선에 머무르자 신라의 세력권 밖에 놓였는데, 고려 건국 뒤 북진정책에 따라 고려의 지배력이 북방으로 확대되면서 전초적 군사 요지로 주목되었다.

그 뒤 이 지방을 요원군(遼原郡) 또는 장덕진(長德鎭)으로 부르다가, 1001년(목종 4)덕주(德州)라고 개칭하여 서북면(西北面)에 편제하였으며 방어사를 두었다.

1260년(원종 1) 몽고의 침략이 노골화되자 병란을 피하여 치소를 안주 노도(蘆島)로 옮겼으나, 그 뒤 다섯 차례나 이동하지 않을 수 없었다. 전란이 끝나고 1280년(충렬왕 6)성주(成州 : 성천)에 소속되었다가 1371년(공민왕 20)성주에서 갈라져 지주사(知州事)가 파견되었다.

[조 선]

1413년(태종 13)서북면으로서 군정이 실시되어 오던 서북 지방이 평안도로 개편되고 관찰사가 평양에 파견되었는데, 이 때 이 지역은 평안동도(平安東道)에 속하는 덕천군으로 개편되었다.

그러나 곧 맹산현(孟山縣)과 합쳐져 덕맹현(德孟縣)으로 격하되었으며, 1415년 다시 맹산현을 복설할 때 덕천군으로 승격하였다. 그리고 1466년(세조 12) 진관 체제(鎭管體制)가 실시될 때 덕천군은 성천진관에 소속되었다.

[근 대]

1896년 13도제가 실시되어 평안도가 남북으로 갈릴 때 덕천군은 평안남도의 4등급 군으로 확정되었다. 1917년 10월 행정구역 변경에 따라 태극내면(太極內面)과 태극외면(太極外面)을 합쳐 태극면으로 하였다가 영원군으로 1935년 3월 영원군으로 이속하게 되었다. 한편, 군무면(郡武面)은 1917년 10월 덕천면으로 개칭되었다. 이리하여 덕천군은 6개면 59개 이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1895년 의병대장 유인석(柳麟錫) 부대가 양덕·맹산을 거쳐 덕천으로 이동한 뒤 만주로 넘어갈 때 이 고장 주민의 상당수가 의병에 투신하였다.

그 뒤 이 지역을 근거지로 1920년 봄 대한독립단덕천지단(大韓獨立團德川支團)이라는 비밀단체가 조직되어 독립군 자금을 모금하여 상해임시정부에 보내는 등 독립 운동을 전개하였으나, 그해 5월경 단원들이 일본 경찰에 잡혀 옥고를 치렀다. 1939년 평덕선(平德線 : 勝湖里∼덕천)이 개통되어 교통이 편리해졌다.

유물·유적

덕천면 읍동리남산(南山) 동쪽의 절벽 위에 있는 양벽당(漾碧堂)이라는 정자는 덕천인으로 강계의 교수(敎授)를 지냈던 정현준(丁賢俊)이 건립한 것으로, 임진왜란 때 선조의 비가 두 왕자빈과 함께 피난할 때 머물렀다고 한다.

강변 명승지로 만경대(萬景臺)가 유명하며, 이 밖에 취우정(驟雨亭)·수운정(水雲亭)·휴령정(休寧亭) 등의 정자가 있었으나, 지금은 그 터만 남아 있다.

조선 태조 때 연당리 금성산에 쌓았던 금성도 현재는 터만 남아 있다. 묘향산 줄기의 봉덕산(鳳德山)에 있는 법련사(法蓮寺)는 1105년(숙종 10) 탐밀(探密)·굉랑(宏廊) 두 스님에 의하여 창건되었다가 폐허가 된 것을 지공(指空)·나옹(懶翁)·무학(無學) 등 세 대사의 유촉으로 재건된 유서 깊은 사찰이다.

이 밖에 제남리의 남산사, 읍동리의 백운암, 연당리의 동관암 등의 사찰이 있는데 모두 규모가 작다. 덕천에서 6㎞ 떨어진 곳에서 대동강의 두 지류인 마탄강과 시량강이 합류하는데 그 여울 부근에 굴이 하나 있다. 이 굴의 깊이는 알 수 없으나 예로부터 이 굴의 입구가 마르면 비가 온다고 구전되어 영적지로 여겨졌다.

교육·문화

한말 이전에는 59개의 서당이 있어 한자 교육과 유학의 초보 교육을 담당하였다. 근대식 교육기관으로는 덕천면의 장로교회 안에 설립되었던 의성학교(義城學校)가 신학문과 종교 교육을 위하여 초등부와 중등부를 둔 것이 최초였다.

1911년 1군1교 제도에 의하여 공립보통학교인 덕천공립보통학교가 설립되었으며, 1920년대는 종래의 서당이 개량사숙(改良私塾)으로 변모하였고, 1922년 명신학교(明信學校)가 개설되었다.

한편, 덕천청년회가 회관을 신축한 뒤 문화 선전·지식 보급, 야학과 강습회의 개설, 도서 열람실의 설치 등 사회교육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였다.

청년 단체인 요원동지회(遼原同志會)가 조직되어 학술 발표와 북간도 동포들에 대한 동정금보내기운동을 전개하여 많은 성과를 거두었고, 1927년 창설된 평안협동조합은 군민의 상호부조·협동 합심·경제생활 향상을 목적한 민족운동을 전개하였고, 1928년 면려회(勉勵會)·금싸라기회 등의 소년 단체가 예수교회를 중심으로 민족운동을 폈다.

이런 조직들은 결국 일제에 의하여 강제 해산되었다. 덕천읍내의 향교를 근거로 하는 유림회는 1920년 상해임시정부 자금 모금·무장 독립원 협력 등을 목적으로 하였던 대한독립단사건으로 많은 지도자들이 옥고를 겪었다.

1945년 현재 초등학교 7개교, 간이학교 5개교, 농민학교 1개교가 있다. 그리고 종교 분포를 보면, 1937년 현재 불교 사찰 5개, 천도교 종리원(宗理院) 1개와 집회소 12개, 개신교 교회 13개가 있다.

산업·교통

덕천군은 내륙 산간 지방이므로 논농사보다 밭농사가 활발하다. 1938년 현재 총농경지는 약 142.7㎢로 그중 논 6.66㎢, 밭 136.04㎢이며, 이 밖에 화전도 89.02㎢나 된다.

따라서, 조·콩·팥·밀·수수·옥수수·감자 등의 잡곡이 주산물이며, 쌀도 약간 생산된다. 부업으로는 누에치기가 활발하여 순견포(純絹布)인 항라직(亢羅織)이 전국적으로 유명하며, 특산품으로는 덕천배추가 유명한데 줄기가 연하고 맛이 좋으며, 한랭한 기후에 강한 품종이기 때문에 북한 전지역에서 장려 품종으로 재배된다.

산지를 이용한 축우 사육(畜牛飼育)도 성하다. 지하자원으로는 무연탄이 비교적 풍부하여 평남 북부 탄전의 일부를 형성한다.

원래 이 지방은 교통이 불편하여 그 개발이 활발하지 못하였으나, 1937년 평원선(平元線)·만포선(滿浦線)·서선중앙철도(西鮮中央鐵道) 등이 개통됨에 따라 급격히 발전되어, 역사가 오랜 남부 탄전의 개발을 능가하게 되었다.

이 밖에도 장안석(長安石)이라고도 하는 천연슬레이트가 생산되며, 각처에서 쉽게 채석할 수 있는 석회석은 석회질소비료·시멘트·카바이드 공업의 원료가 된다.

상업 활동은 모두가 5일 정기장이다. 읍내장이읍북리·읍남리에서 2일과 7일, 사둔장은 도령리에서 3일과 8일, 송정장은 송정리에서 1일과 6일에 열리며, 운평리의 서창장, 수하리의 성양장도 있어 농산물·직물·가축·장작 등이 거래된다.

도로망은 대체로 대동강 상류 연변에 있으나 그 밖의 산간지대는 교통이 불편하다. 도로는 신안주∼함흥 간의 2등도로가 덕안면·덕천면·성양면·풍덕면을 관통하고, 평양∼영원 간의 2등도로가 잠도면을 가로지르고 있으며, 덕천·맹산·북창, 덕천·개천·천동 및 덕천·함남·영흥을 연결하는 3등도로가 있다.

읍·면

[덕천면 德川面]

군의 중앙부에 있는 면. 면 소재지는 읍북리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원래의 군내면(郡內面)과 무릉면(武陵面)을 병합하여 군무면으로 개정하였고, 1917년 다시 덕천면으로 개칭하였으며 1935년 덕안면(德安面) 일부를 편입하였다.

동부의 남산(661m)과 동남부의 후선유봉, 서남부의 장안산이 잇달아 있어 산지를 형성하고 있다. 영원에서부터 흘러온 덕천강이 면의 동쪽에서 들어와 중앙을 거쳐 바로 남부의 산지 사이로 흘러 잠도면으로 들어간다.

여기에 시량강이 서쪽에서 유입하여 면의 중앙인 제남리에서 덕천강과 합류한다. 덕천강과 시량강의 합류 지점을 거점으로 중심부에 비옥한 하안단구를 이루고 있다.

주요 농산물은 조·옥수수·콩·팥·밀·감자 등이고, 특용작물로는 잎담배·대마 재배와 양잠이 활발하며, 삼베와 항라·명주 생산으로 농가 소득을 올리고 있다. 천연슬레이트(장안석)와 무연탄이 생산된다.

도로는 신안주∼함흥 간 2등도로가 면의 중앙을 관통하고, 평양∼영원 간의 2등도로도 통과하여 교통은 편리하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1개교, 중학교 2개교가 있다.

읍북(邑北)·읍남(邑南)·읍동(邑東)·제남(濟南)·청룡(靑龍)·운송(雲松)·산양(山陽)·장안(長安)·무릉(武陵)·향원(鄕元)·덕동(德洞)·안동(安洞) 등 12개 이가 있다.

[성양면 城陽面]

군의 동부에 있는 면. 면 소재지는 수하리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본래의 금성면(金城面)과 좌양면(左陽面)을 병합하여 성양면(城陽面)으로 개칭하였다.

동남부에 송봉(松峯, 754m)이 있고, 서남부에 후선유봉이 자리잡고 있다. 서부에 덕장산(德長山, 736m)이 있어 산지를 이루고 있다. 북부에 금성산이 있다.

맹산에서부터 흐르는 마탄강이 면의 동북부를 북류하면서 덕천강과 합류하며, 덕천강은 면의 북부로 심한 굴곡을 이루면서 흐른다. 따라서, 마탄강과 덕천강이 흐르는 지대가 평지를 이루어 밭으로 이용되고 있다.

주요 농산물은 조·옥수수·콩·팥·맥류·메밀·녹두·감자 등이며, 특용작물로는 잎담배·대마 등이며, 양잠도 활발하며 삼베와 항라·명주 생산으로 농가 소득을 올리고 있다. 도로는 신안주와 함흥 간의 2등도로가 면을 관통하고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1개교가 있다.

수하(水下)·금성(金城)·연당(蓮塘)·연풍(淵豊)·삼도관(三都官)·운탄(雲灘)·남중(南中)·좌양(左陽)·남하(南下)·남상(南上) 등 10개 이가 있다.

[일하면 日下面]

군의 서부에 있는 면. 면 소재지는 운평리이다. 1935년 덕안면의 일부를 편입시켰다. 서부에 월봉산과 알일령, 북부에 용문산이 있고, 남부에 호모봉(葫帽峰, 643m)이 있어, 면의 대부분이 산악 지대이며, 시량강이 동류하는 동부에만 강 유역에 좁은 평지가 있다. 알일령에서 발원한 시량강이 면의 동부로 흘러 덕천면으로 흘러간다.

주요 농산물은 조·옥수수·콩·팥·감자·메밀 등이고, 특용작물은 잎담배·대마 등이다. 특히, 대마 생산이 많아 삼베 직조가 활발하다. 양잠 재배 농가가 많아 항라와 명주의 생산으로 농가 소득을 올리고 있다.

한편, 용등탄광(龍登炭鑛)에서 무연탄을 채탄하여 평양으로 반출한다. 교통은 덕천면에서 철도선이 연장 부설되었고, 덕천면에서 평안북도 영변으로 가는 도로가 면의 북부를 통과한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3개교가 있다. 운평(雲坪)·상신(上新)·상심(尙深)·운곡(雲谷)·회둔(檜屯)·전성(錢城)·달하(達下)·흥덕(興德)·구정(九政)·귀상(貴上)·장상(長上) 등 11개 이가 있다.

[잠도면 蠶島面]

군의 남단에 있는 면. 면 소재지는 대평리이다. 원래 순천군의 잠하면(蠶下面)과 용도면(龍島面)이었으나 1906년 이 군에 속하게 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이 2개 면을 병합하여 잠도면으로 개칭하였다.

북부에 장안산, 남부에 백설산(白雪山, 609m)이 있다. 덕천면에서 유입된 덕천강이 맹산군 옥천면과의 경계를 따라 남류하다가 대평리에서 서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면의 중앙을 동서로 관통하여 흐른다. 이 강의 유역을 따라 평지가 형성되어 있다.

주요 농산물은 쌀·조·옥수수·수수·콩·팥·맥류·감자 등이고, 특용작물로는 잎담배·대마 등이 있다. 도로는 평양과 영원 간의 2등도로가 면의 중앙을 통과하고 있고, 신성천∼덕천 간의 철도가 통과하고 있어 교통은 비교적 편리한 편이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2개교가 있다.

대평(大坪)·삼동암(三童巖)·양촌(陽村)·용상(龍上)·송림(松林)·잠평(蠶坪)·원동(院洞) 등 7개 이가 있다.

[잠상면 蠶上面]

군의 서남단에 있는 면. 면 소재지는 도령리이다. 원래 순천군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이 군에 편입되었으며, 1935년 개천군 외동면의 일부를 병합하였다.

북부에 갈인봉·백탑산(白塔山, 1,160m)·장안산 등이 솟아 있어 험한 산지를 형성하고 있다. 덕천강이 면의 중앙을 동에서 서로 가로질러 개천군으로 흘러 들어가며, 산기슭과 강 유역에 평지가 좁고 길게 있어 농경지로 이용된다.

주요 농산물은 쌀·조·옥수수·수수·콩·팥·맥류·감자 등이고, 특용작물로는 양잠과 잎담배·대마 등을 재배하여 삼베와 항라·명주를 생산하여 농가 소득을 올리고 있다. 도로가 없어 교통이 불편한 편이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2개교가 있다.

도령(陶令)·번석(番石)·서학(棲鶴)·동평(洞坪)·선가(船街)·내포(內浦)·길상(吉祥)·용소(龍沼) 등 8개 이가 있다.

[풍덕면 豊德面]

군의 북단에 있는 면. 면 소재지는 송정리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본래의 신덕면(新德面)과 신풍면(新豊面)을 병합하여 풍덕면으로 개칭하였다.

북부에 풍덕산과 사항산(寺項山)의 능선이 있어 산지를 이루며, 남부에 삼봉(三峰, 495m)이 있다. 계곡에 좁은 평지가 형성되고, 면의 동남부의 성양면과 영원군 영원면과의 경계를 따라 덕천강이 흐르고 있다.

주요 농산물은 조·옥수수·콩·팥·메밀·감자 등이고, 특용작물로는 양잠과 잎담배·대마 등을 재배하여 삼베와 향라·명주를 생산하여 농가 소득을 올리고 있다. 도로는 신안주와 함흥 간의 2등도로가 면의 남부를 통과하고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등학교 1개교가 있다.

송정(松亭)·척장(尺長)·추동(楸洞)·신풍(新豊)·옥유(玉踰)·풍덕(豊德)·임하(林下)·신덕(新德)·신평(新坪)·율곡(栗谷)·신흥(新興) 등 11개 이가 있다.

광복 후 변천

1954년 10월 북창군(北倉郡) 삼흥리가 분리되어 덕천군에 편입되고, 1963년 12월 덕천군 안동리 일부가 분리되어 청송리에 편입되면서 청송노동자구로, 형봉리가 형봉노동자구로 각각 개칭되었다.

1967년 10월 무릉리가 장안리에 편입되고 장안리가 장안노동자구로, 제남리가 제남노동자구로 개칭되었으며, 무릉리는 폐지되었다. 1982년 10월 금성리·연당리·수하리·장안노동자구·영웅리·송정리·신흥리가 폐지되었고, 1987년에는 시로 승격되었다. →덕천시

참고문헌

『덕천군지』(덕천군지편찬위원회)
『북한문화재실태와 현황』(문화재관리국, 1985)
『북한지지요람』(통일원, 1993)
『이북5도30년사』(이북5도위원회, 1981)
『인물의 고향』-북한편-(중앙일보사, 1991)
『평안남도지』(평안남도지편찬위원회, 197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