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현학칙 ()

동현학칙
동현학칙
문헌
조선후기 학자 황덕길이 우리나라 선현들의 가언(嘉言)과 선행을 모아 1786년에 편찬한 교양서.
정의
조선후기 학자 황덕길이 우리나라 선현들의 가언(嘉言)과 선행을 모아 1786년에 편찬한 교양서.
서지적 사항

6권 2책. 필사본.

내용

『소학』의 체제를 본떠서 입교(立敎)·명륜(明倫)·경신(敬身)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편찬하였다.

서두에 황덕길의 자서(自序:스스로 쓴 서문)가 있고 후학인 나중석(羅重錫)의 서문이 있다. 이로 보아 1786년에 만들어져 1794년에 간행된 것으로 보이나, 규장각도서에 있는 책은 후사본이다.

황덕길은 서문에서 이 책을 편찬하게 된 동기로, “동현(東賢)을 든 것은 시대가 가장 가깝고 일이 자세하기 때문이며, 또한 이들 서현들에 대한 글이 산재해 있기 때문에 한곳에 모아 뒷날의 자료로 삼기 위함이다.”라고 밝히고 있다.

상편은 가언편으로, 입교에서는 국학지교(國學之敎)·가숙지교(家塾之敎)·가정지교(家庭之敎)·통론(通論)의 4개항으로 되어 있다.

명륜에서는 부자지친·군신지의·부부지별·장유지서·붕우지신·통론 등 6개항이며, 경신에서는 심술지요(心術之要)·위의지칙(威儀之則)·의복지제(衣服之制)·음식지절(飮食之節)·통론의 5개항으로 되어 있다.

하편은 선행편으로, 입교의 4개항, 명륜의 6개항, 경신의 5개항이며 각 항목명은 상편과 같다. 입교에서 상편은 가정·학교·국가에서 각기 교육하는 방법과 목적 및 교육내용 등을 수록하고 있다.

하편은 그 교육의 목적을 실천하기 위하여 선행을 한 여러 사람의 실례를 하나하나 수록하여 교육의 지표로 삼고 있다.

명륜에서는 부자간의 관계와 군신·부부·장유·붕우의 관계에서 지켜야 할 예의와 도덕을 의무적으로 강조하고, 특히 지난날의 사례를 선행편에서 하나하나 들어서 본보기로 하였다.

경신에서는 마음가짐, 행동거조, 의복·음식의 절도와 예절을 조목조목 들고 있다. 이 책에 채록된 선현의 가언·선행은 상편에 70가지, 하편에 175가지로 집대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당시 우리 나라 학자들의 교육에 대한 사상을 살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육제도에 관해서도 중국과는 달리 논의된 점을 알 수 있어, 조선시대 교육 실태 파악에 도움을 주는 자료가 되고 있다. 국회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하려집(下廬集)』(황덕길)
『도학연원(道學淵源)』(황덕길)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권오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