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가니즈 (manganese)

목차
관련 정보
망간(심해)
망간(심해)
과학기술
개념
주기율표 제7족에 속하며 은백색의 광택이 나는 금속원소. 망간.
이칭
이칭
망간
목차
정의
주기율표 제7족에 속하며 은백색의 광택이 나는 금속원소. 망간.
내용

원소기호 Mn. 원자번호 25, 원자량 54.938. 녹는 점 1,247℃, 비중은 7.2이다. 외관은 철과 비슷하나 철보다 단단하고 부서지기 쉽다. α, β, γ, δ, 4개의 동소체(同素體)가 있고, 여러 가지 물질과 잘 반응하여 화합물을 만들며 공기 중에서 잘 산화된다.

제선용(製銑用)·철합금(鐵合金)·제강용(製鋼用)·소결용(燒結用) 기타 여러 종류의 합금 원료로 많이 사용된다. 이 밖에 이산화망가니즈는 건전지의 감극제(减極劑), 화학약품, 유리, 법랑(琺瑯)의 착색제, 사진 현상액, 전해아연(電解亞鉛)의 탈산(脫酸), 탈철제(脫鐵劑), 비료 등으로 사용된다.

망가니즈광물은 산화망가니즈광물·탄산망가니즈광물·규산망가니즈광물·유화(硫化)망가니즈광물로 대별되나 이 중 망가니즈의 광석 광물로서 중요한 것은 산화망가니즈광물과 탄산망가니즈광물이다. 초생(初生) 망가니즈광상에는 퇴적광상·열수광상(熱水鑛床) 등이 있고 망가니즈광석을 많이 생산하고 있는 광상은 퇴적광상과 풍화잔류광상이다.

국내의 망가니즈광상에는 열수광상·퇴적광상·풍화잔류광상·변성광상 등이 있다. 열수광상에는 열하충전광상(裂罅充塡鑛床)과 교대광상(交代鑛床)이 있다. 열수광상 중 망가니즈광으로 개발된 것의 대부분은 지표 부근에서 풍화하여 풍화잔류부화(風化殘留富化)된 부위뿐이다.

이 부위의 광석은 연망가니즈석(MnO₂), 경망가니즈석(H₄R₂Mn₈O₂₀)·망가나이트(manganite, Mn₂O₃·H₂O)·버네사이트(birnessite, {{#401}}·1·5H₂O)·엔소타이트(Nsutite,{{#403}})·수(水)망가니즈석 등의 산화망가니즈광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산화광물은 탄산망가니즈광물과 규산망가니즈광물이 지표 부근에서 풍화작용으로 심하게 산화되어 생긴 것이다. 따라서 지표에서 깊어짐에 따라 점차 망가니즈광석광물은 탄산망가니즈광물이나 규산망가니즈광물로 변하며 품위가 낮아진다.

열수광상 중에는 지하심부로 가면 연(鉛)·아연(亞鉛)광석광물의 함량이 증가하여 연·아연 광상으로 개발된 곳이 여러 개 있다. 대표적인 예가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에 있는 제일연화광산(第一蓮花鑛山)이다. 퇴적광상으로는 강원도 김화군 원남면에 있는 김화광산(金化鑛山)과, 강경광산(江慶鑛山)이 있다.

이들 광상은 모두 선캄브리아기의 돌로마이트 중에 배태(胚胎)된 층상광상(層狀鑛床)이다. 경상북도 봉화군 소천면에 있는 장군광산(將軍鑛山)에서도 지표 부근의 풍화대에서 산화망가니즈광석을 다량 생산한 바 있다. 이 망가니즈광산은 일차적으로 열수교대광상이었다는 설과 퇴적광상이었다는 설이 있다.

변성광상은 모두 선캄브리아기의 변성퇴적암류 중에 배태되어 있으며 일차적으로 퇴적된 망가니즈퇴적물이 후에 변성된 것이다. 대표적인 것은 경기도 가평에 있는 가평광산이다. 국내의 망가니즈광상은 대부분이 강원도, 경상북도 북부, 충청북도 동부, 경상북도와 경상남도 동부지역에 분포한다.

국내에서 망가니즈광상으로 처음 개발된 것은 김화광산과 강경광산으로 1938년에 개발되기 시작하였고, 그 뒤 1941년에 장군광산이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남한에서 생산된 망가니즈광석은 대부분이 열수광산이 지표 부근에서 풍화작용을 받아 산화된 산화망가니즈광석들이다.

참고문헌

『자원총람』(동력자원연구소, 1985)
『한국의 지질과 광물자원』(김옥준교수정년퇴임기념지편집위원회, 1982)
『朝鮮鑛床論』(土田定次, 霞介關書房, 1944)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박희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