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으면 죽는다는 꿀

목차
구비문학
작품
어린 중이 꾀를 써서 스님이 혼자 먹으려던 꿀을 다 먹어버렸다는 내용의 설화.
이칭
이칭
사미설화, 훈장과 학동
목차
정의
어린 중이 꾀를 써서 스님이 혼자 먹으려던 꿀을 다 먹어버렸다는 내용의 설화.
내용

소화(笑話) 중 지략담(智略譚)에 속하며, ‘사미설화(沙彌說話)’·‘스님과 상좌’·‘훈장과 학동’ 등으로도 불린다.

문헌상으로는 16세기 성현(成俔)의 『용재총화(慵齋叢話)』 권5와 홍만종(洪萬宗)의 『명엽지해(蓂葉志諧)』 설몽포병조(說夢飽餠條) 등에 수록되어 있다. 일본 문헌인 13세기 법사 무주(無住)의 『사석집(沙石集)』에서도 발견된다. 전국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

어떤 스님이 꿀 항아리를 벽장에 넣고 언제나 혼자 몰래 먹다가, 상좌에게 들키자 먹으면 죽는 것이라고 하였다. 어느 날 스님이 나간 사이에 상좌는 꿀을 다 먹어 치우고는 스님이 아끼던 벼루마저 깨뜨려버렸다.

스님이 돌아와 연유를 묻자, 상좌는 실수로 벼루를 깨뜨려서 죽으려고 벽장 속의 것을 다 먹고 누워서 죽기만을 기다린다고 하였다. 이러한 유형의 설화는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각편에 따라 꿀 대신 곶감·조청 등이 나타나는데, 심지어는 불교에서 금하는 고기가 등장하기도 한다.

한편, 등장인물이 훈장과 학동으로 설정되는 경우도 허다한데, 그 기본구조는 마찬가지다. 이 설화는 불교문화와 유교문화의 대표적 담당층으로서 존경받던 인물들인 스님과 훈장을 등장시켜 그들의 이면에 감추어진 허위를 풍자하여 그 권위를 약화시키고 있다. 그 전개과정에서 아랫사람의 재치가 두드러진다.

참고문헌

『용재총화(慵齋叢話)』
『명엽지해(蓂葉志諧)』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6)
『한일민담의 비교연구』(성기열, 일조각, 1979)
『조선민족설화의 연구』(손진태, 을유문화사, 1947)
『사석집(沙石集)』(무주법사, 1283)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