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음 ()

목차
관련 정보
훈민정음언해 중 모음 설명
훈민정음언해 중 모음 설명
언어·문자
개념
허파에서 올라온 공기가 구강통로에서 폐쇄나 마찰에 의한 장애를 받지 않고 성대의 진동과 더불어 나오는 소리. 홀소리.
이칭
이칭
홀소리
내용 요약

모음은 허파에서 올라온 공기가 구강통로에서 폐쇄나 마찰에 의한 장애를 받지 않고 성대의 진동과 함께 나오는 소리이다. 자음과 대립되는 말로서 홀소리라고도 한다. 모음은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구분된다. 모음은 혀의 높이에 따라 고모음·중모음·저모음으로, 혀의 위치에 따라 전설모음·중설모음·후설모음으로, 입술 모양에 따라 원순모음·비원순모음으로 나뉜다. 현대국어의 모음은 ‘ㅣ, ㅡ, ㅜ, ㅟ, ㅔ, ㅗ, ㅚ, ㅓ, ㅐ, ㅏ’가 있다. 이중모음은 반모음과 모음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 모음으로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ㅙ, ㅝ, ㅞ, ㅢ’가 있다.

목차
정의
허파에서 올라온 공기가 구강통로에서 폐쇄나 마찰에 의한 장애를 받지 않고 성대의 진동과 더불어 나오는 소리. 홀소리.
개설

자음(子音)과 대립되는 말로서 ‘홀소리’라고도 한다. 음소로서의 모음과 구별하여 ‘모성(母聲, vocoid)’이라고도 한다. 모음은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구분된다.

모음을 조음(調音)하는 데는 성대 · 혀 · 입술 · 주1 등의 발음기관이 중요한 구실을 하는데 그 중에서 혀의 구실이 가장 중요하다. 혀의 높이와 혀의 위치에 따라 모음의 형태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혀의 높이’는 혀와 구개(口蓋)와의 거리를 말하고 ‘혀의 위치’는 혀와 구개 사이에 가장 좁은 간격이 형성되는 장소를 말한다. 모음은 일반적으로 혀의 높이와 혀의 위치, 그리고 입술의 모양에 의하여 분류된다.

혀의 높이에 의한 분류는 혀가 구개에서 멀어지는 정도에 따라서 고모음(高母音, high vowels) · 중모음(中母音, mid vowels) · 저모음(低母音, low vowels)으로 분류된다.

고모음은 혀의 표면이 마찰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로 구개에 접근된 상태에서 조음되는 모음으로 폐모음(閉母音, close vowels)이라고도 한다. 국어의 ‘ㅣ, ㅡ, ㅜ[i,∔,u]’와 ‘ㅟ[y 또는 ü]’가 이 모음에 속한다.

중모음은 혀의 높이가 고모음을 조음할 때보다는 낮고 저모음을 조음할 때보다는 높은상태에서 조음되는 모음이다. 국어의 ‘ㅔ[e], ㅗ[o]’, ㅚ([ɸ] 또는 [ö], 장모음 ‘ㅓ:[əː]’, 그리고 단모음 ‘ㅓ[ʌ]’가 이 모음에 속한다.

저모음은 혀가 구개에서 가장 멀어진 상태에서 조음되는 모음으로서 개모음(開母音, open vowels)이라고도 한다. 국어의 ‘ㅐ[ɛ], ㅏ:[ɑ:]’와 장모음 ‘ㅏ:[a:]’가 이 모음에 속한다.

혀의 위치에 의한 분류는 혀의 어느 부분이 구개에 가장 가까워지느냐에 따라서 전설모음(前舌母音, front vowels) · 중설모음(中舌母音, central vowels) · 후설모음(後舌母音, back vowels)으로 분류된다.

전설모음은 전설면(前舌面)이 경구개에 접근된 상태에서 조음되는 모음으로서 국어의 ‘ㅣ[i], ㅔ[e], ㅐ[ɛ]’와 ‘ㅟ[y], ㅚ[ɸ]’가 이 모음에 속한다.

중설모음은 중설면(中舌面)이 구개의 중앙부에 접근된 상태에서 조음되는 모음으로서 국어의 ‘ㅓ:[ə:], ㅏ[a]’가 이 모음에 속한다. 후설모음은 후설면이 연구개에 접근된 상태에서 조음되는 모음으로서 국어의 ‘ㅡ[∔], ㅓ[ʌ]], ㅜ[u], ㅗ[o]’와 장모음 ‘ㅏ:[a:]’가 이 모음에 속한다.

입술의 모양에 의한 분류는 입술을 원통(圓筒)모양으로 둥글게 내미는지의 여부에 따라 원순모음(圓唇母音, round vowels)과 비원순모음(非圓唇母音, unrounded vowels)으로 분류된다.

원순모음은 입술을 둥글게 내민 상태에서 조음되는 모음으로 국어의 ‘ㅜ[u], ㅗ[o]’와 단모음 ‘ㅟ[y], ㅚ[ɸ]’가 이 모음에 속한다.

비원순모음은 입술을 평평하게 한 상태에서 조음되는 모음으로 평순모음(平唇母音)이라고도 한다. 원순모음 이외의 모음은 모두 이 모음에 속한다.

이 밖에도 모음은 혀 근육의 긴장, 구개수(口蓋垂, velum)의 위치, 음의 길이, 성대 진동의 유무 등에 따라서 분류되기도 한다.

조음될 때 혀의 근육이 긴장되는 정도에 따라 긴장모음(緊張母音, tense vowels, 예 : 일(事)[i:l], 배(倍)[pɛ:] 등의 [i:], [ɛ:] 등)과 이완모음(弛緩母音, lax vowels, 예 : 일(一)[il], 배(梨)[pɛ] 등의 [i], [ɛ] 등)으로 분류되며, 구개수가 인두(咽頭)의 벽과의 통로를 개방함으로써 구강과 비강(鼻腔) 양쪽에서 다같이 공명이 일어나느냐 구강에서만 공명이 일어나느냐에 따라 비모음(鼻母音, nasal vowels, 예 : 동남방언이나 동북방언에서 발견되는 ‘방아[pãã]’, ‘뿐이다 [p’ũĩda]’ 등의 [a, u, i] 등)과 구모음(口母音, oral vowels, 예 : [a, ũ, ĩ] 등)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음의 길이에 따라 장모음(長母音, long vowels, 예 : [i:, ɛ:] 등)과 단모음(예 : [i,ɛ] 등)으로 분류되며, 조음될 때 성대 진동의 유무에 따라 유성모음(有聲母音, voiced vowels, 예 : [i, ɛ, u] 등)과 무성모음(無聲母音, voiceless vowels, 예 : 십(十)[ʂɕịpᶪ], 흙[h{{%058}}kᶪ], 착착[tʃᶣḁkᶪtʃᶣ] 등의 [ị, {{%058}}, ḁ] 등)으로 분류된다.

국어의 모음은 전체적으로 조음기관의 강한 긴장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모음도(母音圖)의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위에 제시된 국어의 단모음을 도시하면 아래와 같다. 이들 모음은 앞서 제시한 입술의 모양, 혀의 위치, 혀의 높이 등의 분류기준에 따라 불리는데, 예컨대 [i]는 비원순 · 전설 · 고모음으로, [y]는 원순 · 전설 · 고모음으로, [e]는 비원순 · 전설 · 중모음으로, [o]는 원순 · 후설 · 중모음 등으로 불린다.

이 밖에 동남방언에는 ‘ㅡ’와 ‘ㅓ’가 중화된 [Ǝ]와 ‘ㅔ’와 ‘ㅐ’가 중화된 [E]가 있으며, 제주방언에는 어두(語頭)에 나타나는 ‘ · ’[ɐ]가 있다. [Ǝ]는 비원순 · 중설 · 고모음이고 [E]는 비원순 · 전설 · 중모음이며 [ɐ]는 원순 · 후설 · 저모음이다.

이중모음은 하나의 성절요소(成節要素) 속에 결합되어 나타나는 두 모음을 말하는데, ‘반모음+모음’이나 ‘모음+반모음’의 구조를 가진 것으로 정의된다. 반모음이 모음의 앞에 있는 것을 상승이중모음(上昇二重母音, rising diphthong)이라 하고, 반모음이 모음의 뒤에 있는 것을 하강이중모음(下降二重母音, falling diphthong)이라 한다.

국어의 이중모음은 대개 상승이중모음인데, ‘ㅑ[ja], ㅕ[jʌ], ㅛ[jo], ㅠ[ju], ㅒ[jɛ], ㅖ[je]’ 및 ‘ㅘ[wa], ㅙ[wɛ], ㅝ[wʌ], ㅞ[we]’ 등이 그것이다.

이 밖에 ‘ㅟ[y]’는 마찰음 · 파찰음 이외의 자음 뒤에서는 대체로 [wi]로 발음된다. 현대국어에서 유일한 하강이중모음인 ‘ㅢ’[∔j]는 두 성절모음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적 이중모음[∔i]로도 발음된다.

음성의 객관적인 성질과 그에 대한 주관적인 파악방법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중부방언의 경우, ‘밤(夜)’과 ‘밤(栗)’의 ‘ㅏ’는 음성의 객관적인 성질로는 각각 [a]와 [ɑ(ː)]이지만 주관적인 파악에 의하면 모두 ‘ㅏ’로만 인식된다. 이것은 [a]와 [a(ː)]가 국어에서 단어 뜻을 구별시키는 기능, 즉 변별적인 기능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밤(夜)[pam]’의 [a]와 ‘봄(春)[pom]’의 [o]는 주관적인 파악에 의해서도 분명히 다른 음으로 인식되며 동시에 두 단어의 뜻을 달리한다.

이러한 차이는 [a]와 [o]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스스로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서 말의 뜻을 구별짓는 소리를 음운(音韻), 또는 음소(音素, phoneme)라고 하며 음성 [ ]과 구별하여 / /로 표시한다. 그리고 그러한 음운들 사이의 차이를 음운론적 대립이라고 한다.

예컨대, 앞에서 예로 든 ‘밤’과 ‘봄’에서 음운론적 대립은 음성인 [a]와 [o]사이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음운인 /a/와 /o/ 사이에 존재하는 것이다. 따라서 모음체계란 그 언어 안에 존재하는 모음 음소의 음운론적 대립의 총화라고 할 수 있다.

앞에서 국어 모음으로 [i, e, E, ɛ, y, ø ; Ǝ, ə(ː), a ; ∔, ʌ, a(ː), u, o, ɐ]등이 언급되었으나, 이들 모음이 모두 변별적 기능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그 중 일부가 변별적 기능을 가지고 모음체계에 참여한다. 그런데 방언이나 세대차에 따라 음성이 가지고 있는 변별적 기능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데, [e]와 [ɛ]는 중부방언에서는 변별적인 기능을 가지지만, 대부분의 동남방언에서는 변별적 기능을 가지지 못한다. 그러므로 중부방언에서는 ‘베[pe]’와 ‘배[pɛ]’가 구별되어 각기 ‘포(布)’와 ‘이(梨)’ · ‘복(腹)’의 뜻을 가지지만, 동남방언에서는 성조(聲調)나 문맥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pe]와 [pɛ]의 뜻이 구별되지 않는다.

또한 세대차에 따라 변별적 기능이 달라지기도 하는데, 예를 들면, 같은 중부방언에서도 40대 이하 세대의 말에서는 [e]와 [ɛ]가 변별적 기능을 가지지 못한다. 그러므로 국어의 모음체계는 방언차나 세대차에 따라 달리 서술되어야 한다. 현대국어를 구성하는 방언을 중부방언 · 동남방언 · 서남방언 · 동북방언 · 서북방언 · 제주방언 등으로 나누면 각 방언의 모음체계는 다음과 같다.

(1) 중부방언

중부방언의 모음체계는 개인적인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40대를 기준으로 모음체계의 차이를 가진다. 즉, 40대 이상의 세대에서 가장 많은 모음수를 가진 사람을 기준으로 하면, 이 방언은 [표 1]과 같이 10모음체계를 가진다.

40대 이하의 세대에서는/e/와 /ɛ/가 구별되지 않으므로 그 둘의 구별이 없는 음소 /E/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 세대가 가진 모음체계는 [표 2]와 같다.

체계 [표 1]과 체계 [표 2]의 모음들은 모두 ‘음장(音長)’ 또는 ‘긴장성’에 의한 대립을 가진다. 그러므로 이 방언은 동일한 수의 모음으로 구성된 장모음체계 또는 긴장모음체계를 가진다.

한편, 체계 [표 1]과 [표 2]를 구성하는 모음들이 고음성(高音性)과 저음성(低音性), 후설성(後舌性), 그리고 원순성(圓唇性) 등에 대하여 보이는 음운론적 대립은 [표 3] · [표 4]와 같다.

(2) 동남방언

동남방언의 모음체계는 지역에 따라 다르다. 서남방언과 인접한 경상남도의 일부 지역어나 이른바 반촌(班村)이라 불리는 경상북도의 일부 지역어는 [표 5]와 같은 8모음체계나 [표 6]과 같은 7모음체계를 가진다.

그러나 그 밖의 지역어는 [표 7]과 같은 6모음체계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8모음체계나 7모음체계를 가지는 지역어도 40대 이하의 세대로 내려가면 [표 7]과 같은 6모음체계를 가지게 된다. 체계 [표 5] · [표 6] · [표 7]의 모음들이 고음성과 저음성, 후설성, 그리고 원순성에 대하여 나타내는 대립관계는 각기 [표 8] · [표 9] · [표 10]과 같다.

경상북도지역어와 그에 인접한 경상남도지역(울주 · 밀양 등)어의 모음들은 ‘음장’ 또는 ‘긴장성’에 의한 대립을 가진다. 그러므로 이들 지역어는 단모음체계와 같은 수의 장모음 또는 긴장모음을 가진 장모음체계 또는 긴장모음체계를 가진다.

(3) 서남방언과 동북방언

서남방언의 모음체계는 노령산맥을 경계로 하는 북부서남방언과 남부서남방언에 따라 다르다. 북부서남방언은 중부방언과 마찬가지로 체계 [표 1]과 같은 10모음체계를 가지며, 모음들의 대립관계 역시 [표 3]과 같다. 남부서남방언은 [표 2]와 같은 9모음체계나 [표 6]과 같은 7모음체계를 가지며, 체계를 이루는 모음들의 대립관계는 각기 [표 4] · [표 9]와 같다.

이 방언의 모음들도 ‘음장’ 또는 ‘긴장성’에 의한 대립을 가지므로, 각 모음체계와 동일한 수의 모음을 가진 장모음체계 또는 긴장모음체계를 가진다. 동북방언의 모음체계는 중부방언과 마찬가지로 체계 [표 1]과 같은 10모음체계를 가지며, 각 모음들의 대립관계는 [표 3]과 같다.

(4) 서북방언

서북방언의 모음체계는 [표 5]와 같은 8모음체계를 가지며, 체계를 이루는 모음들의 음운론적 대립관계는 [표 8]과 같다. 그리고 각 모음들은 음장 또는 긴장성에의한 대립을 가지므로 단모음체계와 같은 장모음체계나 긴장모음체계를 가진다.

(5) 제주방언

제주방언의 모음체계는 역사적으로 후기중세국어의 ‘ㆍ’에 소급되는 후설 · 저모음 / ɐ/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 모음은 약하기는 하지만 원순성을 가지는데, 어두의 ‘ㄱ’의 뒤에서 원순성이 가장 분명하게 실현된다.

/y/와 /ɸ/는 이 방언에 존재하지 않으며 그것들은 각기 이중모음 [wi]와 [wE]또는 [we]로 실현된다. 그러므로 이 방언은 [표 11]과 같은 9모음체계를 가진다.

그러나 젊은층은 [표 12]와 같은 8모음체계를 가진다. 그리고 체계 [표 11] · [표 12]의 모음들이 고음성 · 저음성 · 후설성 · 원순성 등에 대해 나타내는 음운론적 대립관계는 각각 [표13] · [표14]와 같다.

(6) 요 약

지금까지의 서술에 의하면, 현대국어의 모음체계는 10모음체계를 최대로 하고 6모음체계를 최소로 한다. 그것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① 10모음체계(/i, e, ɛ, y, ø, ∔, ə, a, u, o/):중부방언 및 동북방언, ② 9모음체계 ㉠ (/i, E, y, ø, ∔, θ, a, u, o/) : 중부방언(젊은층), 북부 서남방언, ㉡ (/i, e, ɛ, ∔, ə, a, u, o, ɐ/):제주방언, ③ 8모음체계 ㉠ (/i, e, ɛ, ∔, ə, a, u, o/):동남방언(일부), 서북방언, ㉡ (/i, E, ∔, ə, a, u, o, ɐ/) : 제주방언(젊은층), ④ 7모음체계(/i, E, ∔, ə, a, u, o/) : 동남방언(일부), 남부 서남방언, ⑤ 6 모음체계(/i, E, Ǝ, a, u, o/) : 동남방언(대부분).

참고문헌

『국어음성학연구』(정인섭, 휘문출판사, 1973)
『평안방언의 음운체계연구』(김영배, 동국대학교한국학연구소, 1977)
『경북동해안방언연구』(최명옥, 영남대학교출판부, 1980)
「제주도방언의 형태론적연구」(이숭녕, 『동방학지』 3, 1957)
「국어모음체계의 신고찰」(김완진, 『진단학보』 24, 1963)
「음운-경상남도」(김영송, 『경상남도지』 중, 1963)
「음운론 및 음성학」(김완진, 『국어학개론』, 수도출판사, 1965)
「경남방언의 모음체계」(정연찬, 『국어국문학논집』 2, 단국대학교, 1968)
「전남방언」(이돈주, 『어문학논집』 5, 전남대학교, 1969)
「경기지역어의 모음체계와 비원순모음화」(이병근, 『동아문화』 9, 서울대학교, 1970)
「서울말의 모음체계」(이현복, 『어학연구』 7-2, 1971)
「강릉방언의 형태음소론적 고찰」(이익섭, 『진단학보』 33, 1972)
「경남함양지역어의 음운론적 고찰」(전광현, 『동양학』 9, 1979)
「구례지역어의 음운체계」(이승재, 『국어연구』 45, 1980)
『Accent and Morphology in Korean Dialects-A Descriptive and Historical Study』(Ramsey,S.R., 塔出版社, 1978)
주석
주1

입천장 뒤쪽의 연한 부분. 점막(粘膜) 밑에 가로무늬근이 있어 코로 음식물이 들어가는 것을 막으며, 뒤 끝 중앙에 목젖이 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